Course Packaging

Patch History

코스로 돌아가기

Course: 2026년 위험물기능사-new2026forTest

UUID: 786c98c8-aab8-44a2-a34e-2f39276103de

Total Patches: 7 | Successful: 7 | Failed: 0

✓ Success full_upload

Applied: 2025-11-03 14:25:32

Elements Added

76

Elements Updated

0

차시 목록 Affected

2

Summary: 76 elements added, 2 lessons affected

View Patch JSON
{
  "elements": [
    {
      "_id": "aa000001-b1c2-d3e4-f5a6-00000000000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동탱크저장소(탱크로리)의 운전자가 갖추어야 할 자격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위험물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</p><p>② 위험물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</p><p>③ 위험물운송에 관한 안전교육을 수료한 사람</p><p>④ 위험물운송에 관한 안전교육을 수료하고 관련 업무에 1년 이상 종사한 사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1-b1c2-d3e4-f5a6-00000000000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1-b1c2-d3e4-f5a6-00000000000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동탱크저장소 운전자는 ‘국가기술자격(기능장·산업기사·기능사)’ 취득 또는 ‘위험물운송 안전교육 수료’ 중 하나면 충분합니다. ④는 ‘운송책임자’ 요건(안전교육 + 2년 경력)의 축약형으로 운전자 요건이 아닙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2-b1c2-d3e4-f5a6-00000000000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동탱크저장소로 운송할 때 반드시 '운송책임자'의 감독 또는 지원을 받아야 하는 위험물은?</p><p>① 황린</p><p>② 알킬리튬</p><p>③ 특수인화물</p><p>④ 제1석유류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2-b1c2-d3e4-f5a6-00000000000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2-b1c2-d3e4-f5a6-00000000000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운송책임자 감독·지원 대상은 알킬알루미늄, 알킬리튬 및 이를 함유한 위험물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3-b1c2-d3e4-f5a6-00000000000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이동탱크저장소의 운전자가 1명으로 장거리 운송을 할 수 있는 예외 기준 중 휴식 시간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운송 도중에 1시간 이내마다 10분 이상씩 휴식하는 경우</p><p>② 운송 도중에 1시간 이내마다 20분 이상씩 휴식하는 경우</p><p>③ 운송 도중에 2시간 이내마다 10분 이상씩 휴식하는 경우</p><p>④ 운송 도중에 2시간 이내마다 20분 이상씩 휴식하는 경우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3-b1c2-d3e4-f5a6-00000000000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3-b1c2-d3e4-f5a6-00000000000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장거리(고속국도 340km 이상, 그 밖의 도로 200km 이상) 원칙은 2인 운전이나, ‘2시간 이내마다 20분 이상 휴식’이면 1인 운전 예외가 허용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4-b1c2-d3e4-f5a6-00000000000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송책임자가 이동탱크저장소에 동승하지 않고 별도의 사무실에서 원격으로 감독 및 지원 업무를 수행할 때의 의무사항으로 옳지 <u>않은</u> 것은?</p><p>① 운송경로를 미리 파악하고 관할 소방관서 등과 비상연락체계를 갖추어야 한다.</p><p>② 이동탱크저장소 운전자에게 수시로 안전확보 상황을 확인하여야 한다.</p><p>③ 운송 시작 전 이동탱크저장소의 밸브, 뚜껑, 소화기 등을 직접 점검해야 한다.</p><p>④ 비상시 응급처치에 관하여 운전자에게 조언을 할 수 있어야 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4-b1c2-d3e4-f5a6-00000000000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4-b1c2-d3e4-f5a6-00000000000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밸브·뚜껑·소화기 등 운송 전 점검 의무는 ‘운송자(운전자)’에게 있습니다. 원격 운송책임자의 의무는 경로·연락체계, 안전상황 확인, 비상 조언 등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5-b1c2-d3e4-f5a6-00000000000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동탱크저장소 운전자가 위험물안전카드를 <u>반드시</u> 휴대해야 하는 위험물을 운송하는 경우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제2류 위험물인 유황을 운송하는 경우</p><p>② 제3류 위험물인 탄화칼슘을 운송하는 경우</p><p>③ 제4류 위험물인 아세톤(제1석유류)을 운송하는 경우</p><p>④ 제4류 위험물인 경유(제2석유류)를 운송하는 경우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5-b1c2-d3e4-f5a6-00000000000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5-b1c2-d3e4-f5a6-00000000000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카드는 제4류 중 ‘특수인화물’ 및 ‘제1석유류’ 운송 시 휴대 의무가 있습니다. 아세톤은 제1석유류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6-b1c2-d3e4-f5a6-00000000000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기능사 자격을 취득하고 관련 업무에 2년 이상 종사한 사람이 '운송책임자'의 자격을 갖추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요건은?</p><p>① 추가 요건 없음</p><p>② 관련 업무 1년 추가 종사</p><p>③ 위험물운송에 관한 안전교육 이수</p><p>④ 위험물 탱크시험자 기술인력 등록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6-b1c2-d3e4-f5a6-00000000000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6-b1c2-d3e4-f5a6-00000000000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운송책임자 자격은 ① ‘국가기술자격 + 관련 경력 1년’ 또는 ② ‘안전교육 수료 + 관련 경력 2년’입니다. 제시 조건이면 이미 충족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7-b1c2-d3e4-f5a6-00000000000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동탱크저장소 운전자가 1명으로 고속국도 <span class='math-tex'>\\(400{\\rm km}\\)</span>를 운송할 수 있는 경우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운송하는 위험물이 제4류 위험물 중 특수인화물인 경우</p><p>② 운송하는 위험물이 제5류 위험물인 경우</p><p>③ 운송 도중 2시간 이내마다 15분씩 휴식하는 경우</p><p>④ 운송하는 위험물이 제2류 위험물인 유황인 경우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7-b1c2-d3e4-f5a6-00000000000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7-b1c2-d3e4-f5a6-00000000000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장거리 원칙은 2인 운전이나, 예외로 제2류(유황 등), 제3류(일부), 제4류(특수인화물 제외)는 1인 운전이 허용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8-b1c2-d3e4-f5a6-00000000000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이동탱크저장소(탱크로리)를 이용한 '운송'과 차량에 운반용기를 적재하여 나르는 '운반'의 가장 핵심적인 구분 기준은?</p><p>① 운행 거리 (장거리/단거리)</p><p>② 위험물의 종류 (제4류/기타)</p><p>③ 운송·운반 주체 (자격자/일반인)</p><p>④ 위험물을 싣는 용기 (탱크로리/기타 운반용기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8-b1c2-d3e4-f5a6-00000000000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8-b1c2-d3e4-f5a6-00000000000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‘운송’은 이동탱크저장소(탱크로리) 사용, ‘운반’은 운반용기에 수납하여 차량 적재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9-b1c2-d3e4-f5a6-00000000000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송책임자의 자격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위험물기능사 자격을 취득하고 관련 업무에 1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</p><p>② 위험물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고 관련 업무에 1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</p><p>③ 위험물운송에 관한 안전교육을 수료하고 관련 업무에 2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</p><p>④ 위험물운송에 관한 안전교육을 수료하고 관련 업무에 1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9-b1c2-d3e4-f5a6-00000000000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9-b1c2-d3e4-f5a6-00000000000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안전교육 경력 요건은 2년입니다. 1년은 미달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a-b1c2-d3e4-f5a6-00000000001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동탱크저장소로 위험물을 운송하던 중 탱크에서 위험물이 현저하게 새는 것을 발견했을 때 운전자가 취할 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즉시 현장을 이탈하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.</p><p>② 운송을 계속하며 운송책임자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기다린다.</p><p>③ 재난 방지를 위한 응급조치를 강구하고, 동시에 소방관서 등 관계기관에 통보한다.</p><p>④ 동승한 운송책임자가 모든 조치를 하도록 하고 운전자는 차량을 지킨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a-b1c2-d3e4-f5a6-00000000001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a-b1c2-d3e4-f5a6-00000000001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재난 우려 시 응급조치와 동시에 관계기관 통보 의무가 있습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b-b1c2-d3e4-f5a6-00000000001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을 차량에 적재하여 '운반'할 때, 운반용기 외부에 <u>반드시</u> 표시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?</p><p>① 위험물의 품명</p><p>② 위험물의 수량</p><p>③ 제조자의 명칭</p><p>④ 위험등급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b-b1c2-d3e4-f5a6-00000000001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b-b1c2-d3e4-f5a6-00000000001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일반 운반용기 필수 표시는 품명·위험등급·화학명·수용성(해당 시)·수량·주의사항입니다. ‘제조자 명칭’은 ‘기계 하역용 금속제 등’의 추가 표시에 해당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c-b1c2-d3e4-f5a6-00000000001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을 운반용기에 수납할 때, 고체 위험물의 수납율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운반용기 내용적의 90% 이하</p><p>② 운반용기 내용적의 95% 이하</p><p>③ 운반용기 내용적의 98% 이하</p><p>④ 운반용기 내용적의 100% (빈 공간 없이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c-b1c2-d3e4-f5a6-00000000001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c-b1c2-d3e4-f5a6-00000000001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고체는 95% 이하, 액체는 98% 이하(55℃에서 누설되지 않도록 공간용적 확보)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d-b1c2-d3e4-f5a6-00000000001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을 수납한 운반용기를 차량에 겹쳐 쌓아 적재할 경우, 그 높이는 최대 몇 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m}\\)</span>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1.5{\\rm m}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2.0{\\rm m}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3.0{\\rm m}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4.0{\\rm m}\\)</span>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d-b1c2-d3e4-f5a6-00000000001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d-b1c2-d3e4-f5a6-00000000001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겹쌓기 높이는 3m 이하이며 상부 하중은 동종 용기 3m 적층 하중 이하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e-b1c2-d3e4-f5a6-00000000001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반 시 운반용기 외부에 표시해야 하는 '주의사항'이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과염소산칼륨 (제1류 위험물)</p><p>② 과산화수소 (제6류 위험물)</p><p>③ 질산 (제6류 위험물)</p><p>④ 과산화나트륨 (제1류 위험물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e-b1c2-d3e4-f5a6-00000000001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e-b1c2-d3e4-f5a6-00000000001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① “화기·충격주의, 가연물접촉주의”, ②③ “가연물접촉주의”, ④(알칼리금속 과산화물) “화기·충격주의, 물기엄금, 가연물접촉주의”로 ④만 ‘물기엄금’이 추가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0f-b1c2-d3e4-f5a6-00000000001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위험물을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때 '차광성이 있는 피복'으로 가려야 하는 위험물은?</p><p>① 유황 (제2류)</p><p>② 경유 (제4류 제2석유류)</p><p>③ 질산 (제6류)</p><p>④ 나트륨 (제3류 금수성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0f-b1c2-d3e4-f5a6-00000000001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0f-b1c2-d3e4-f5a6-00000000001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차광성 피복 대상: 제1류, 제3류 자연발화성, 제4류 특수인화물, 제5류, 제6류. 질산은 제6류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0-b1c2-d3e4-f5a6-00000000001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반 시 '방수성이 있는 피복'으로 덮어야 하는 위험물은?</p><p>① 과염소산칼륨 (제1류)</p><p>② 마그네슘 (제2류)</p><p>③ 황린 (제3류 자연발화성)</p><p>④ 니트로셀룰로오스 (제5류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0-b1c2-d3e4-f5a6-00000000001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0-b1c2-d3e4-f5a6-00000000001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방수성 피복 대상: ① 제1류 알칼리금속 과산화물, ② 제2류 철분·금속분·마그네슘, ③ 제3류 금수성 물질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1-b1c2-d3e4-f5a6-00000000001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 운반용기에 표시해야 할 '주의사항'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제2류 인화성고체: 화기주의</p><p>② 제3류 금수성물질: 물기엄금</p><p>③ 제4류 위험물: 화기주의</p><p>④ 제5류 위험물: 가연물접촉주의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1-b1c2-d3e4-f5a6-00000000001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1-b1c2-d3e4-f5a6-00000000001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인화성고체는 “화기엄금”, 제4류는 “화기엄금”, 제5류는 “화기엄금·충격주의”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2-b1c2-d3e4-f5a6-00000000001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반 시 유별을 달리하는 위험물을 혼재할 수 <u>없는</u> 경우는? (단, 지정수량의 1/10을 초과하는 경우)</p><p>① 제1류 위험물과 제6류 위험물</p><p>② 제2류 위험물과 제4류 위험물</p><p>③ 제3류 위험물과 제5류 위험물</p><p>④ 제4류 위험물과 제5류 위험물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2-b1c2-d3e4-f5a6-00000000001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2-b1c2-d3e4-f5a6-00000000001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혼재금지 조합 중 제3류–제5류는 혼재 불가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3-b1c2-d3e4-f5a6-00000000001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반 시 제3류 위험물 중 자연발화성물질(황린 등)의 운반용기 수납 방법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파라핀, 경유 등의 보호액으로 채워 밀봉한다.</p><p>② 불활성 기체를 봉입하여 밀봉하는 등 공기와 접하지 않도록 한다.</p><p>③ 내용적의 98% 이하로 수납하고 55℃에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.</p><p>④ 물기엄금 피복으로 덮고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3-b1c2-d3e4-f5a6-00000000001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3-b1c2-d3e4-f5a6-00000000001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자연발화성물질은 공기 접촉을 차단(불활성기체 봉입 등)해야 합니다. 보호액은 금수성물질에 대한 기준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4-b1c2-d3e4-f5a6-00000000002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 운반 시 혼재가 가능한 조합으로 묶인 것은? (단, 지정수량의 1/10을 초과하는 경우)</p><p>① 제1류와 제2류</p><p>② 제2류와 제6류</p><p>③ 제3류와 제4류</p><p>④ 제5류와 제6류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4-b1c2-d3e4-f5a6-00000000002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4-b1c2-d3e4-f5a6-00000000002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3류–제4류는 혼재 가능 조합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5-b1c2-d3e4-f5a6-00000000002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반 시 액체 위험물의 운반용기 수납율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내용적의 90% 이하로 수납하고, 50℃에서 5% 이상의 공간용적 유지</p><p>② 내용적의 95% 이하로 수납</p><p>③ 내용적의 98% 이하로 수납하고, 55℃에서 누설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용적 유지</p><p>④ 내용적의 98% 이하로 수납하고, 60℃에서 누설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용적 유지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5-b1c2-d3e4-f5a6-00000000002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5-b1c2-d3e4-f5a6-00000000002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액체는 98% 이하 + 55℃ 누설 방지 공간용적 확보가 기준입니다. ①은 알킬알루미늄 등 특례(90%, 50℃, 5%)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6-b1c2-d3e4-f5a6-00000000002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차량으로 위험물을 운반할 때, 운반용기 외부에 \"화기엄금\" 주의사항을 표시해야 하는 위험물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제2류 위험물 중 인화성고체</p><p>② 제3류 위험물 중 자연발화성물질</p><p>③ 제4류 위험물</p><p>④ 제6류 위험물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6-b1c2-d3e4-f5a6-00000000002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6-b1c2-d3e4-f5a6-00000000002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6류는 “가연물접촉주의”이며 “화기엄금” 표시는 대상이 아닙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7-b1c2-d3e4-f5a6-00000000002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등급 Ⅱ에 해당하는 위험물은?</p><p>① 제1류 위험물 중 질산염류</p><p>② 제3류 위험물 중 칼륨</p><p>③ 제4류 위험물 중 특수인화물</p><p>④ 제5류 위험물 중 유기과산화물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7-b1c2-d3e4-f5a6-00000000002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7-b1c2-d3e4-f5a6-00000000002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1류 위험물 중 질산염류 등은 위험등급 Ⅱ(지정수량 300kg)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8-b1c2-d3e4-f5a6-00000000002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4류 위험물을 운반하는 차량에 지정수량의 1/10을 초과하는 위험물과 혼재할 수 있는 고압가스는?</p><p>① 내용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L}\\)</span> 용기에 충전된 아르곤(불활성가스)</p><p>② 내용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L}\\)</span> 용기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(LPG)</p><p>③ 내용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L}\\)</span> 용기에 충전된 질소(불활성가스)</p><p>④ 내용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L}\\)</span> 용기에 충전된 액화석유가스(LPG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8-b1c2-d3e4-f5a6-00000000002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8-b1c2-d3e4-f5a6-00000000002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혼재 예외: ① 불활성가스 <span class='math-tex'>\\(120{\\rm L}\\)</span> 미만, ② LPG·CNG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120{\\rm L}\\)</span> 미만이면서 ‘제4류’와 혼재하는 경우에 한해 허용. ②만 요건 충족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9-b1c2-d3e4-f5a6-00000000002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반용기에 \"화기·충격주의\", \"물기엄금\", \"가연물접촉주의\"라는 3가지 주의사항을 <u>모두</u> 표시해야 하는 위험물은?</p><p>① 과염소산칼륨 (제1류)</p><p>② 과산화나트륨 (제1류)</p><p>③ 마그네슘 (제2류)</p><p>④ 칼륨 (제3류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9-b1c2-d3e4-f5a6-00000000002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9-b1c2-d3e4-f5a6-00000000002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1류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은 세 가지 모두 표시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a-b1c2-d3e4-f5a6-00000000002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알킬알루미늄을 운반용기에 수납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내용적의 98% 이하로 수납, 55℃에서 5% 이상 공간용적 유지</p><p>② 내용적의 95% 이하로 수납</p><p>③ 내용적의 90% 이하로 수납, 50℃에서 5% 이상 공간용적 유지</p><p>④ 내용적의 90% 이하로 수납, 55℃에서 2% 이상 공간용적 유지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a-b1c2-d3e4-f5a6-00000000002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a-b1c2-d3e4-f5a6-00000000002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알킬알루미늄 등(자연발화성물질 특례)은 ‘90% 이하 + 50℃에서 5% 이상 공간용적’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b-b1c2-d3e4-f5a6-00000000002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등급 Ⅰ에 해당하는 위험물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제3류 위험물 중 황린</p><p>② 제4류 위험물 중 특수인화물</p><p>③ 제5류 위험물 중 질산에스테르류</p><p>④ 제1류 위험물 중 질산염류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b-b1c2-d3e4-f5a6-00000000002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b-b1c2-d3e4-f5a6-00000000002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질산염류는 제1류 위험등급 Ⅱ입니다. ①②③은 등급 Ⅰ에 해당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c-b1c2-d3e4-f5a6-00000000002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위험물을 차량으로 운반할 때 적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<u>않은</u> 것은?</p><p>① 위험물이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적재해야 한다.</p><p>② 운반용기는 수납구를 항상 위로 향하게 하여 적재해야 한다.</p><p>③ 운반용기를 겹쳐 쌓는 높이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4{\\rm m}\\)</span>를 초과할 수 없다.</p><p>④ 제1류 위험물(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)은 방수성이 있는 피복으로 덮어야 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c-b1c2-d3e4-f5a6-00000000002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c-b1c2-d3e4-f5a6-00000000002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겹쳐 쌓는 높이 기준은 3m 이하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d-b1c2-d3e4-f5a6-00000000002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반 시 \"화기엄금\"과 \"충격주의\" 주의사항을 <u>모두</u> 표시해야 하는 위험물은?</p><p>① 제1류 위험물 (과염소산염류)</p><p>② 제3류 위험물 (자연발화성물질)</p><p>③ 제4류 위험물 (특수인화물)</p><p>④ 제5류 위험물 (유기과산화물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d-b1c2-d3e4-f5a6-00000000002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d-b1c2-d3e4-f5a6-00000000002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는 “화기엄금·충격주의”가 필수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e-b1c2-d3e4-f5a6-00000000003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 운반 시 제2류 위험물과 혼재할 수 <u>없는</u> 위험물은? (단, 지정수량의 1/10을 초과하는 경우)</p><p>① 제1류 위험물</p><p>② 제4류 위험물</p><p>③ 제5류 위험물</p><p>④ 같은 제2류 위험물인 인화성 고체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e-b1c2-d3e4-f5a6-00000000003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e-b1c2-d3e4-f5a6-00000000003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2류는 제1류와 혼재 불가, 제4류·제5류와는 혼재 가능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1f-b1c2-d3e4-f5a6-00000000003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등급 Ⅲ에 해당하는 것은?</p><p>① 제1류 위험물 중 과염소산염류</p><p>② 제2류 위험물 중 마그네슘</p><p>③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</p><p>④ 제6류 위험물 중 과산화수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1f-b1c2-d3e4-f5a6-00000000003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1f-b1c2-d3e4-f5a6-00000000003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2류(마그네슘 등)는 위험등급 Ⅲ(지정수량 500kg 또는 1000kg)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20-b1c2-d3e4-f5a6-00000000003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반차량에 제2류 위험물(마그네슘), 제3류 위험물(칼륨), 제4류 위험물(휘발유)을 혼재하여 운반하려 한다. 이 운반이 허용되기 위한 조건은? (단, 모두 지정수량의 1/10을 초과함)</p><p>① 제2류와 제3류를 분리하여 적재하면 가능하다.</p><p>② 제3류와 제4류를 혼재 기준에 맞게 적재하면 가능하다.</p><p>③ 제2류, 제4류, 제5류의 조합으로 변경하면 가능하다.</p><p>④ 어떠한 경우에도 이 조합은 혼재할 수 없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20-b1c2-d3e4-f5a6-00000000003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20-b1c2-d3e4-f5a6-00000000003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세 유별을 동시에 싣기 위해서는 모든 쌍이 혼재 가능해야 합니다. 제2류–제3류는 혼재 불가여서 전체 조합이 불가능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21-b1c2-d3e4-f5a6-00000000003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반 시 적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<u>않은</u> 것은?</p><p>① 제3류 자연발화성물질은 공기와의 접촉을 막기 위해 불활성 기체를 봉입하여 수납한다.</p><p>② 제5류 위험물은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해 차광성이 있는 피복으로 가려야 한다.</p><p>③ 제2류 금속분은 수분 접촉을 막기 위해 방수성이 있는 피복으로 덮어야 한다.</p><p>④ 제4류 특수인화물은 정전기 방지를 위해 방수성이 있는 피복으로 덮어야 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21-b1c2-d3e4-f5a6-00000000003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21-b1c2-d3e4-f5a6-00000000003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특수인화물은 ‘차광성’ 피복 대상이며 방수성 피복 대상이 아닙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22-b1c2-d3e4-f5a6-00000000003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운반 시나리오에 대한 판단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황린(제3류)과 휘발유(제4류)를 혼재하고 차광성 피복과 방수성 피복을 모두 덮었다.</p><p>② 마그네슘(제2류)과 경유(제4류)를 혼재하고 방수성 피복만 덮었다.</p><p>③ 과산화나트륨(제1류)과 질산(제6류)을 혼재하고 차광성 피복만 덮었다.</p><p>④ 니트로셀룰로오스(제5류)와 유황(제2류)을 혼재하고 차광성 피복과 방수성 피복을 모두 덮었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22-b1c2-d3e4-f5a6-00000000003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22-b1c2-d3e4-f5a6-00000000003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혼재: 2류–4류(O), 3류–4류(O), 1류–6류(O), 5류–2류(O). 피복: 2류(금속분·마그네슘)는 ‘방수성’ 필요, 5류·6류·3류 자연발화성은 ‘차광성’ 필요. 보기 ②만 요건을 정확히 충족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23-b1c2-d3e4-f5a6-00000000003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위험물 운반 시 운반용기 외부에 표시해야 하는 '주의사항'이 <u>잘못</u> 짝지어진 것은?</p><p>① 제1류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: 화기·충격주의, 물기엄금, 가연물접촉주의</p><p>② 제2류 철분, 금속분, 마그네슘: 화기주의, 물기엄금</p><p>③ 제3류 자연발화성물질: 화기엄금, 물기엄금</p><p>④ 제5류 위험물: 화기엄금, 충격주의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23-b1c2-d3e4-f5a6-00000000003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23-b1c2-d3e4-f5a6-00000000003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3류 자연발화성물질의 주의사항은 “화기엄금, 공기접촉엄금”입니다. “물기엄금”은 금수성물질 표기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24-b1c2-d3e4-f5a6-00000000003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운반용기의 최대용적이 1ℓ 이하인 제4류 위험물(위험등급 Ⅰ 제외)을 운반할 때, 운반용기 외부에 표시해야 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품명, 위험등급, 화학명, 수량, 주의사항</p><p>② 통칭명, 수량, 주의사항과 동일한 의미의 다른 표시</p><p>③ 품명, 수량, 주의사항</p><p>④ 통칭명, 위험등급, 화학명, 수량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24-b1c2-d3e4-f5a6-00000000003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24-b1c2-d3e4-f5a6-00000000003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1ℓ 이하(1·2·4류 / 위험등급Ⅰ 제외)는 ‘품명→통칭명’, ‘주의사항→동일 의미의 다른 표시’로 간소화 가능합니다. 수량 표시는 유지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25-b1c2-d3e4-f5a6-00000000003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지정수량의 1/10을 초과하는 제1류 위험물(알칼리금속 과산화물), 제2류 위험물(마그네슘), 제6류 위험물을 한 차량으로 운반하려 한다. 안전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조치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제1류와 제6류는 혼재 가능하므로, 제2류 위험물만 다른 차량으로 운반한다.</p><p>② 제2류 마그네슘은 소량이므로 다른 위험물과 함께 적재한다.</p><p>③ 세 위험물 모두 혼재가 불가능하므로 각각 다른 차량으로 운반한다.</p><p>④ 차광성 피복과 방수성 피복을 모두 덮고 운반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25-b1c2-d3e4-f5a6-00000000003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25-b1c2-d3e4-f5a6-00000000003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혼재: 1류–6류(O), 1류–2류(X), 2류–6류(X). 따라서 1류와 6류를 함께, 2류는 분리 운반이 적절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a000026-b1c2-d3e4-f5a6-00000000003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운반용기(금속제)에 <u>반드시</u> 표시해야 할 사항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운반용기의 제조년월 및 제조자의 명칭</p><p>② 겹쳐쌓기시험하중</p><p>③ 운반용기의 자중 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kg}\\)</span>)</p><p>④ 운반용기의 내압시험압력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b000026-b1c2-d3e4-f5a6-00000000003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b000026-b1c2-d3e4-f5a6-00000000003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금속제 용기의 추가 표시는 제조년월·제조자, 겹쌓기시험하중, 최대총중량(또는 최대수용중량), 20℃ 내용적, 자중, 최근 기밀시험/점검 연월, 최대압력, 본체 재료·최소두께 등입니다. ‘내압시험압력’ 표시는 경질플라스틱제 또는 플라스틱내용기 부착 용기에서 요구됩니다.</p>"
      }
    }
  ],
  "contents": [
    {
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cafe0001-1111-2222-3333-000000000001",
          "_mode": "append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aa000001-b1c2-d3e4-f5a6-000000000001",
            "aa000002-b1c2-d3e4-f5a6-000000000002",
            "aa000003-b1c2-d3e4-f5a6-000000000003",
            "aa000004-b1c2-d3e4-f5a6-000000000004",
            "aa000005-b1c2-d3e4-f5a6-000000000005",
            "aa000006-b1c2-d3e4-f5a6-000000000006",
            "aa000007-b1c2-d3e4-f5a6-000000000007",
            "aa000008-b1c2-d3e4-f5a6-000000000008",
            "aa000009-b1c2-d3e4-f5a6-000000000009",
            "aa00000a-b1c2-d3e4-f5a6-000000000010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cafe0002-1111-2222-3333-000000000002",
          "_mode": "append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aa00000b-b1c2-d3e4-f5a6-000000000011",
            "aa00000c-b1c2-d3e4-f5a6-000000000012",
            "aa00000d-b1c2-d3e4-f5a6-000000000013",
            "aa00000e-b1c2-d3e4-f5a6-000000000014",
            "aa00000f-b1c2-d3e4-f5a6-000000000015",
            "aa000010-b1c2-d3e4-f5a6-000000000016",
            "aa000011-b1c2-d3e4-f5a6-000000000017",
            "aa000012-b1c2-d3e4-f5a6-000000000018",
            "aa000013-b1c2-d3e4-f5a6-000000000019",
            "aa000014-b1c2-d3e4-f5a6-000000000020",
            "aa000015-b1c2-d3e4-f5a6-000000000021",
            "aa000016-b1c2-d3e4-f5a6-000000000022",
            "aa000017-b1c2-d3e4-f5a6-000000000023",
            "aa000018-b1c2-d3e4-f5a6-000000000024",
            "aa000019-b1c2-d3e4-f5a6-000000000025",
            "aa00001a-b1c2-d3e4-f5a6-000000000026",
            "aa00001b-b1c2-d3e4-f5a6-000000000027",
            "aa00001c-b1c2-d3e4-f5a6-000000000028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,
        {
          "id": "cafe0003-1111-2222-3333-000000000003",
          "_mode": "append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aa00001d-b1c2-d3e4-f5a6-000000000029",
            "aa00001e-b1c2-d3e4-f5a6-000000000030",
            "aa00001f-b1c2-d3e4-f5a6-000000000031",
            "aa000020-b1c2-d3e4-f5a6-000000000032",
            "aa000021-b1c2-d3e4-f5a6-000000000033",
            "aa000022-b1c2-d3e4-f5a6-000000000034",
            "aa000023-b1c2-d3e4-f5a6-000000000035",
            "aa000024-b1c2-d3e4-f5a6-000000000036",
            "aa000025-b1c2-d3e4-f5a6-000000000037",
            "aa000026-b1c2-d3e4-f5a6-000000000038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
  ]
}
✓ Success full_upload

Applied: 2025-11-03 13:58:08

Elements Added

128

Elements Updated

0

차시 목록 Affected

3

Summary: 128 elements added, 3 lessons affected

View Patch JSON
{
  "elements": [
    {
      "_id": "00000001-0000-0000-0000-00000000000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에서 정의하는 위험물의 '물리적 위험성'에 해당하는 것은?</p><p>① 물질의 폭발성</p><p>② 물질의 온도 및 압력</p><p>③ 물질의 반응성</p><p>④ 물질과 인체의 생리적 관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1-0000-0000-0000-00000000000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1-0000-0000-0000-00000000000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 위험성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.</p><p>1. 화학적 위험성: 물질의 폭발성, 반응성, 강산성 등 </p><p>2. 물리적 위험성: 물질의 온도, 압력, 전압 등 물리적 상태 </p><p>3. 생리적 위험성: 물질과 인체의 관계에서 오는 위험성 </p><p>따라서 물질의 온도 및 압력은 물리적 위험성에 해당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2-0000-0000-0000-00000000000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메탄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H_4\\)</span>)의 증기비중은 약 얼마인가? (단, 공기의 평균 분자량은 29, 탄소(C)의 원자량은 12, 수소(H)의 원자량은 1이다.)</p><p>① 0.41</p><p>② 0.55</p><p>③ 1.00</p><p>④ 1.52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2-0000-0000-0000-00000000000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2-0000-0000-0000-00000000000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증기비중은 물질의 분자량을 공기의 평균 분자량으로 나눈 값입니다.</p><p>1. 메탄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H_4\\)</span>)의 분자량: <span class='math-tex'>\\(12 + (1 \\times 4) = 16\\)</span></p><p>2. 공기의 평균 분자량: 29 (주어진 값)</p><p>3. 증기비중: <span class='math-tex'>\\(\\dfrac{16}{29} \\approx 0.55\\)</span>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3-0000-0000-0000-00000000000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'제조소등'의 구분에 해당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제조소</p><p>② 저장소</p><p>③ 운반시설</p><p>④ 취급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3-0000-0000-0000-00000000000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3-0000-0000-0000-00000000000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 '제조소등'이란 제조소, 저장소 및 취급소를 통틀어 지칭하는 용어입니다. '운반시설'은 별도의 기준으로 관리되며 '제조소등'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4-0000-0000-0000-00000000000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'지정수량'의 의미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?</p><p>① 해당 위험물을 저장할 수 있는 최대 수량</p><p>② 해당 위험물을 운반할 때 1회 운반 가능 수량</p><p>③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허가 등의 최저 기준이 되는 수량</p><p>④ 소화설비 1 소요단위를 산정하기 위한 기준 수량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4-0000-0000-0000-00000000000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4-0000-0000-0000-00000000000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'지정수량'이란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,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을 말합니다. 소화설비 1 소요단위는 지정수량의 10배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5-0000-0000-0000-00000000000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시설의 안전거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<u>않은</u> 것은?</p><p>① 주거용 시설과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10{\\rm m}\\)</span> 이상의 안전거리가 필요하다.</p><p>② 사용전압 <span class='math-tex'>\\(30,000{\\rm V}\\)</span>의 특고압 가공전선과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 이상의 안전거리가 필요하다.</p><p>③ 병원급 의료기관과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30{\\rm m}\\)</span> 이상의 안전거리가 필요하다.</p><p>④ 지정문화재와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\\)</span> 이상의 안전거리가 필요하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5-0000-0000-0000-00000000000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5-0000-0000-0000-00000000000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[그림 1-1] 에 따르면 위험물 제조소의 안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• 주거용: <span class='math-tex'>\\(10{\\rm m}\\)</span> 이상 </p><p>• 병원, 학교 등: <span class='math-tex'>\\(30{\\rm m}\\)</span> 이상 </p><p>• 지정문화재: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\\)</span> 이상 </p><p>• 특고압 가공전선: <span class='math-tex'>\\(7,000{\\rm V} \\sim 35,000{\\rm V}\\)</span> 이하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 이상 , <span class='math-tex'>\\(35,000{\\rm V}\\)</span> 초과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 이상입니다. 따라서 <span class='math-tex'>\\(30,000{\\rm V}\\)</span>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 이상의 안전거리가 필요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6-0000-0000-0000-00000000000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에서 제시된 [그림 1-2] 위험물안전관리법 규정 체계도에서, 지정수량 '미만'의 위험물(소량위험물)의 안전관리에 대한 사항은 무엇으로 정하는가?</p><p>① 대통령령</p><p>② 행정안전부령</p><p>③ 산업통상자원부령</p><p>④ 시·도의 조례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6-0000-0000-0000-00000000000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6-0000-0000-0000-00000000000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[그림 1-2] 에 따르면, 지정수량 '미만'인 소량위험물의 안전관리는 시·도 위험물안전관리조례로 정합니다. 지정수량 '이상'의 위험물이 위험물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습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7-0000-0000-0000-00000000000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연소의 3요소에 해당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가연물</p><p>② 산소공급원</p><p>③ 연쇄반응</p><p>④ 점화원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7-0000-0000-0000-00000000000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7-0000-0000-0000-00000000000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 연소의 3요소는 가연 물질, 산소 공급원, 점화원입니다. 연쇄반응은 이러한 연소의 3요소에 추가되어 연소의 4요소를 구성합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8-0000-0000-0000-00000000000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성 액화가스 탱크 주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탱크 벽면이 장시간 화염에 노출될 경우, 내부 압력 상승으로 탱크가 파열되어 폭발하는 현상은?</p><p>① 슬롭오버 (Slopover)</p><p>②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③ 백드래프트 (Backdraft)</p><p>④ 블레비 (BLEVE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8-0000-0000-0000-00000000000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8-0000-0000-0000-00000000000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인화성 액체가 가득 차 있지 않은 저장탱크 주위 화재로 탱크 벽면이 약해지고 내부 압력 상승으로 파열되어 폭발하는 현상을 블레비(BLEVE: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)라고 합니다.</p><p>① 슬롭오버: 점성이 큰 중질유 화재 시 소화용수 유입으로 기름이 탱크 외부로 분출하는 현상입니다. </p><p>② 보일오버: 중질유 탱크 화재 시 바닥의 물이 끓어오르며 기름을 분출시키는 현상입니다. </p><p>③ 백드래프트: 환기(산소)가 부족한 실내 화재 시 공기가 유입되며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9-0000-0000-0000-00000000000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의 원리 중 연소의 4요소 중 하나인 '연쇄반응'을 차단하거나 억제하는 화학적 소화 방법은?</p><p>① 억제소화 (부촉매소화)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냉각소화</p><p>④ 제거소화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9-0000-0000-0000-00000000000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9-0000-0000-0000-00000000000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연쇄반응을 약화시켜 소화하는 방법을 억제소화 또는 부촉매소화라고 하며, 이는 화학적 소화 방법에 해당합니다. 나머지 질식, 냉각, 제거는 물리적 소화 방법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a-0000-0000-0000-00000000000a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물이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산화제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하면서 산화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?</p><p>① 연소</p><p>② 폭발</p><p>③ 발화</p><p>④ 인화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a-0000-0000-0000-00000000000a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a-0000-0000-0000-00000000000a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서는 연소를 '가연물이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산화제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하면서 산화하는 현상'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b-0000-0000-0000-00000000000b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일반화재(A급)에 해당하며, 물을 이용한 냉각소화가 가장 효과적인 연소 형태는?</p><p>① 금속 표면에서 연소하는 표면연소</p><p>② 파라핀(양초)이 녹아 증발하며 연소하는 증발연소</p><p>③ 니트로셀룰로오스가 자체 산소를 이용해 연소하는 자기연소</p><p>④ 목재, 종이 등이 열분해되며 발생한 가스가 연소하는 분해연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b-0000-0000-0000-00000000000b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b-0000-0000-0000-00000000000b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일반화재(A급)는 주로 목재, 종이, 섬유 등 고체 가연물의 화재를 말합니다. 이러한 물질들은 '분해연소'를 합니다. 물을 이용한 냉각소화는 이러한 분해연소 화재(A급)에 가장 기본적인 소화 방법입니다. </p><p>① 표면연소(숯, 금속)나 ③ 자기연소(제5류 위험물)는 A급 화재가 아닙니다.</p><p>② 증발연소(양초, 왁스)도 A급 화재로 분류되긴 하나(기출 20150719 Q10), A급 화재의 주된 대상인 목재, 종이 등은 분해연소를 하며 물을 이용한 냉각소화(심부화재 진압)가 가장 효과적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c-0000-0000-0000-00000000000c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 원리 중 '질식소화'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?</p><p>① 연소물을 착화온도 이하로 낮추어 소화한다.</p><p>②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15\\%\\)</span> 이하로 억제하여 소화한다.</p><p>③ 산불 화재 시 진행 방향의 나무를 제거하여 소화한다.</p><p>④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연쇄반응을 차단하여 소화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c-0000-0000-0000-00000000000c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c-0000-0000-0000-00000000000c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질식소화는 산소 공급원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으로,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15\\%\\)</span> 이하로 억제하여 화재를 소화하는 방법입니다.</p><p>① 냉각소화에 대한 설명입니다. </p><p>③ 제거소화에 대한 설명입니다. </p><p>④ 억제소화(부촉매소화)에 대한 설명입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d-0000-0000-0000-00000000000d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중질유 탱크 화재가 장시간 진행되어 탱크 저부의 물이 끓어오르면서 연소유를 탱크 밖으로 비산시키는 현상은?</p><p>① 블레비 (BLEVE)</p><p>② 플래시오버 (Flashover)</p><p>③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④ 슬롭오버 (Slopover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d-0000-0000-0000-00000000000d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d-0000-0000-0000-00000000000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중질유 탱크 화재 시 열류층이 탱크 저부의 수분을 비등시켜 연소 상태의 유류를 비산분출하게 하는 현상을 '보일오버'라고 합니다.</p><p>④ 슬롭오버는 연소유의 뜨거운 액 표면에 소화용수 등이 유입되어 급 비등하며 유류를 분출시키는 현상입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e-0000-0000-0000-00000000000e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촛불을 입으로 불어서 끄는 소화 방법의 주된 원리는?</p><p>① 냉각소화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제거소화</p><p>④ 억제소화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e-0000-0000-0000-00000000000e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e-0000-0000-0000-00000000000e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서 촛불을 입으로 불어 가연성 증기를 순간적으로 날려 보내는 방법은 '제거소화'의 예시로 설명하고 있습니다. 불꽃 주변의 가연성 증기(파라핀 증기)를 제거하여 연소를 중단시키는 원리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0f-0000-0000-0000-00000000000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유류 화재 현장에 포(Foam) 소화약제를 방사하였다. 주된 소화 원리로 옳은 것은?</p><p>① 가연물을 제거하고 열을 냉각시킨다.</p><p>② 연소의 연쇄반응을 차단한다.</p><p>③ 산소 공급을 차단하고 유면을 냉각시킨다.</p><p>④ 가연성 증기의 농도를 희석시킨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0f-0000-0000-0000-00000000000f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0f-0000-0000-0000-00000000000f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포소화약제는 형성된 미세한 기포(포거품)가 연소 생성물의 표면을 차단하는 '질식 효과'와 포에 함유된 수분에 의한 '냉각 효과'가 주된 소화 효과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0-0000-0000-0000-00000000001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현장에서 산소 농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21\\%\\)</span>에서 <span class='math-tex'>\\(14\\%\\)</span>로 낮추어 질식소화를 시도할 때,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약 몇 <span class='math-tex'>\\(\\%\\)</span>가 되어야 하는가? (단, 이산화탄소 방출로 공기만 대체한다고 가정한다.)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33.3\\%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50.0\\%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66.7\\%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7.0\\%\\)</span>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0-0000-0000-0000-00000000001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0-0000-0000-0000-00000000001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질식소화에 필요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구하는 이론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CO}_2 (\\%) = \\dfrac{21 - {\\rm O}_2}{21} \\times 100\\)</span> (여기서 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O}_2\\)</span>는 목표 산소 농도)</p><p>목표 산소 농도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O}_2\\)</span>)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14\\%\\)</span>로 설정하면,</p><p>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CO}_2 (\\%) = \\dfrac{21 - 14}{21} \\times 100 = \\dfrac{7}{21} \\times 100 \\approx 33.3\\%\\)</span> (참고: 기출 20140406-3, 20140720-1)</p><p>※ 이 계산식은 공기가 이산화탄소로 완전히 대체된다고 가정하는 이론값입니다. 실제 소화설비 설계 시에는 질식 기준(일반적으로 산소 농도 15% 이하 )과 더불어 인명 피난 안전(허용 농도)을 함께 고려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1-0000-0000-0000-00000000001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가연물의 연소 형태가 나머지 셋과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숯</p><p>② 코크스</p><p>③ 목탄</p><p>④ 석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1-0000-0000-0000-00000000001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1-0000-0000-0000-00000000001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숯, 코크스, 목탄은 열분해 과정이 거의 끝나 고체 표면에서 직접 산소와 반응하는 '표면연소'를 합니다. (기출 20150719 Q10)</p><p>반면, 석탄은 가열 시 열분해되어 가연성 가스를 방출하고, 이 가스가 연소하는 '분해연소'를 합니다. (기출 20140406 Q14)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2-0000-0000-0000-00000000001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4요소 중 하나가 부족하여 연소가 중단되는 소화 원리를 적용한 시나리오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유류 탱크 화재 시 폼(Foam)을 방사하여 화염면을 덮었다.</p><p>② 가스레인지 밸브를 잠가 화재를 진압하였다.</p><p>③ 컴퓨터 서버실 화재에 할론 1301 가스를 방출하였다.</p><p>④ 불타고 있는 목재 더미에 다량의 물을 방수하였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2-0000-0000-0000-00000000001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2-0000-0000-0000-00000000001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4요소는 가연물, 산소공급원, 점화원, 연쇄반응입니다. 이 중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것이 억제소화(부촉매소화)입니다. </p><p>③ 할론(할로겐화합물) 소화약제는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부촉매 효과가 주된 소화 원리입니다. </p><p>① 폼 방사는 질식소화(산소 차단) 및 냉각소화입니다. </p><p>② 밸브를 잠그는 것은 제거소화(가연물 차단)입니다. </p><p>④ 물을 방수하는 것은 냉각소화(점화원 차단)입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3-0000-0000-0000-00000000001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소방시설의 구분이 나머지 셋과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옥내소화전설비</p><p>② 자동화재탐지설비</p><p>③ 스프링클러설비</p><p>④ 포소화설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3-0000-0000-0000-00000000001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3-0000-0000-0000-00000000001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 소방시설은 크게 소화설비, 경보설비, 피난구조설비 등으로 구분됩니다.</p><p>• 소화설비: 옥내소화전설비 , 스프링클러설비 , 포소화설비 </p><p>• 경보설비: 자동화재탐지설비 </p><p>따라서 자동화재탐지설비는 경보설비에 속하며 나머지는 소화설비에 속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4-0000-0000-0000-00000000001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탄산수소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HCO_3\\)</span>)</p><p>② 탄산수소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HCO_3\\)</span>)</p><p>③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의 반응물</p><p>④ 제1인산암모늄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H_2PO_4\\)</span>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4-0000-0000-0000-00000000001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4-0000-0000-0000-00000000001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및 기출문제(20150125 Q1)에 따르면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• 제1종: 탄산수소나트륨 (BC급)</p><p>• 제2종: 탄산수소칼륨 (BC급)</p><p>• 제3종: 제1인산암모늄 (ABC급)</p><p>• 제4종: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의 반응물 (BC급)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5-0000-0000-0000-00000000001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A급, B급, C급 화재에 모두 적응성이 있어 'ABC 소화기'라고도 불리는 분말소화약제는?</p><p>① 제1종 분말소화약제</p><p>② 제3종 분말소화약제</p><p>③ 제4종 분말소화약제</p><p>④ 제2종 분말소화약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5-0000-0000-0000-00000000001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5-0000-0000-0000-00000000001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3종 분말소화약제(제1인산암모늄)는 유류(B급) 및 전기(C급) 화재뿐만 아니라, 열분해 시 생성되는 메타인산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PO_3\\)</span>)의 방진 작용(탈수탄화)으로 일반화재(A급)에도 적응성이 있습니다. 따라서 ABC급 소화기에 사용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6-0000-0000-0000-00000000001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중 할론(Halon) 1211의 화학식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Cl_4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H_3Br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F_2ClBr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F_3Br\\)</span>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6-0000-0000-0000-00000000001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6-0000-0000-0000-00000000001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할론 번호는 탄소(C), 불소(F), 염소(Cl), 브롬(Br)의 원자 개수를 순서대로 나타냅니다. (기출 20140406 Q9, 20151010 Q5)</p><p>• 할론 1211: C 1개, F 2개, Cl 1개, Br 1개 →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F_2ClBr\\)</span></p><p>• 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F_3Br\\)</span>은 할론 1301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7-0000-0000-0000-00000000001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내소화전설비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층마다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15{\\rm m}\\)</span>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.</p><p>② 수원의 수량은 최대 설치 개수(최대 2개)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7.8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③ 노즐 선단의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7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30{\\rm L}/{\\rm min}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④ 비상 전원을 설치해야 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7-0000-0000-0000-00000000001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7-0000-0000-0000-00000000001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른 옥내소화전설비 설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①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25{\\rm m}\\)</span>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. </p><p>② 수원의 수량은 최대 설치 개수(최대 5개)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7.8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합니다. </p><p>③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5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260{\\rm L}/{\\rm min}\\)</span> 이상이어야 합니다. </p><p>④ 옥내소화전설비에는 비상 전원을 설치해야 합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8-0000-0000-0000-00000000001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에 설치하는 환기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환기는 강제 배기 방식으로만 하여야 한다.</p><p>②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하고 인화 방지망을 설치한다.</p><p>③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<span class='math-tex'>\\(1{\\rm m}\\)</span>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.</p><p>④ 급기구의 크기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800{\\rm cm}^2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8-0000-0000-0000-00000000001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8-0000-0000-0000-00000000001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른 <b>환기설비(자연 배기 방식)</b>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① 환기는 자연 배기 방식으로 합니다. </p><p>② 급기구는 '낮은 곳'에 설치하고 인화 방지망을 설치합니다. </p><p>③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<span class='math-tex'>\\(2{\\rm m}\\)</span> '이상'의 높이에 설치합니다. </p><p>④ 급기구는 바닥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마다 1개 이상, 크기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800{\\rm cm}^2\\)</span> 이상으로 합니다. </p><p>※ 참고: '배출설비'(가연성 증기 체류 우려 시) 는 '강제 배기 방식'이며 , 배출 능력은 1시간당 용적의 20배 이상 등 환기설비와 기준이 다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9-0000-0000-0000-00000000001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소화약제로 물을 사용하였을 때 냉각 효과가 큰 주된 이유는?</p><p>① 물의 비열과 증발잠열이 크기 때문이다.</p><p>② 물의 표면장력이 크기 때문이다.</p><p>③ 물이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^\\circ{\\rm C}\\)</span>에서 끓기 때문이다.</p><p>④ 물이 기화 시 부피가 약 100배 팽창하기 때문이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9-0000-0000-0000-00000000001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9-0000-0000-0000-00000000001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물이 소화약제로 쓰이는 주된 이유(냉각 효과)는 비열(<span class='math-tex'>\\(1.0\\,{\\rm kcal}/{\\rm kg}^\\circ{\\rm C}\\)</span>)과 증발잠열(<span class='math-tex'>\\(539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)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. 이로 인해 연소물로부터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.</p><p>④ 기화 시 부피 팽창(약 1,670배)은 질식 효과와 관련됩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a-0000-0000-0000-00000000001a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소화설비의 '소요단위' 산정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제조소의 건축물(내화구조)은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를 1 소요단위로 한다.</p><p>② 저장소의 건축물(비내화구조)은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^2\\)</span>를 1 소요단위로 한다.</p><p>③ 위험물은 지정수량의 10배를 1 소요단위로 한다.</p><p>④ 옥외 공작물(내화구조)은 수평최대투영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^2\\)</span>를 1 소요단위로 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a-0000-0000-0000-00000000001a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a-0000-0000-0000-00000000001a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및 기출문제(20141011 Q1)에 따른 소요단위 산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• 제조소 또는 취급소: 내화구조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, 비내화구조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^2\\)</span>를 1 소요단위로 합니다. </p><p>• 저장소: 내화구조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, 비내화구조 <span class='math-tex'>\\(75{\\rm m}^2\\)</span>를 1 소요단위로 합니다. </p><p>• 위험물: 지정수량의 10배를 1 소요단위로 합니다. </p><p>• 옥외 공작물은 외벽이 내화구조인 것으로 간주하여, 해당 공작물이 제조소/취급소인지 저장소인지에 따라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 또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를 적용합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b-0000-0000-0000-00000000001b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마른 모래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L}\\)</span>와 팽창질석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80{\\rm L}\\)</span>가 비치되어 있을 때, 총 소화능력단위는?</p><p>① 1.5 단위</p><p>② 1.0 단위</p><p>③ 2.0 단위</p><p>④ 0.5 단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b-0000-0000-0000-00000000001b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b-0000-0000-0000-00000000001b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[표 3-16] 에 따르면 기타 소화설비의 능력 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• 마른 모래(삽 1개 포함):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L}\\)</span>가 0.5 단위</p><p>•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(삽 1개 포함):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{\\rm L}\\)</span>가 1.0 단위</p><p>따라서, 마른 모래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L}\\)</span>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(100 / 50) \\times 0.5 = 1.0\\)</span> 단위입니다.</p><p>팽창질석 <span class='math-tex'>\\(80{\\rm L}\\)</span>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(80 / 160) \\times 1.0 = 0.5\\)</span> 단위입니다.</p><p>총 능력단위 = <span class='math-tex'>\\(1.0 + 0.5 = 1.5\\)</span> 단위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c-0000-0000-0000-00000000001c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소화설비 중 알코올형포를 사용해야 하는 화재는?</p><p>① 휘발유 화재</p><p>② 등유 화재</p><p>③ 메틸알코올 화재</p><p>④ 경유 화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c-0000-0000-0000-00000000001c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c-0000-0000-0000-00000000001c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메틸알코올과 같은 수용성 액체 화재에는 일반포를 사용하면 포가 용해되어 소화 효과가 없습니다. 따라서 내알코올포(알코올형포)를 사용해야 합니다. 휘발유, 등유, 경유는 비수용성이므로 일반포(단백포, 수성막포 등)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d-0000-0000-0000-00000000001d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산화탄소 소화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<u>않은</u> 것은?</p><p>① 주된 소화 효과는 질식 효과이다.</p><p>② 방출 시 드라이아이스가 생성되어 냉각 효과도 있다.</p><p>③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여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.</p><p>④ 제5류 위험물 화재에 주된 소화약제로 사용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d-0000-0000-0000-00000000001d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d-0000-0000-0000-00000000001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이산화탄소는 질식 및 냉각 효과가 주된 소화 원리입니다. 하지만 제5류 위험물(자기반응성 물질)은 자체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질식 효과가 없으므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비적응성입니다. 제5류 위험물은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e-0000-0000-0000-00000000001e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소화전설비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수원의 수량은 옥외소화전 최대 설치 개수(최대 5개)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13.5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으로 한다.</p><p>② 노즐 선단의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5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450{\\rm L}/{\\rm min}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③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25{\\rm m}\\)</span>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.</p><p>④ 옥외소화전함은 호스 접속구로부터 <span class='math-tex'>\\(10{\\rm m}\\)</span>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e-0000-0000-0000-00000000001e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e-0000-0000-0000-00000000001e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및 기출(20140126 Q20)에 따른 옥외소화전설비 설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① 수원의 수량은 최대 설치 개수(최대 4개)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13.5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으로 합니다. </p><p>②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5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450{\\rm L}/{\\rm min}\\)</span> 이상이어야 합니다. </p><p>③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40{\\rm m}\\)</span> 이하가 되도록 설치합니다. </p><p>④ 옥외소화전함은 옥외소화전으로부터 보행거리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 이내에 설치합니다. (기출 20140126 Q12)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1f-0000-0000-0000-00000000001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인화성 고체(제2류 위험물) 화재에 적응성이 있으나, 금속분(제2류 위험물) 화재에는 적응성이 <u>없는</u> 소화설비는?</p><p>① 건조사</p><p>② 팽창질석</p><p>③ 물분무소화설비</p><p>④ 탄산수소염류 분말소화설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1f-0000-0000-0000-00000000001f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1f-0000-0000-0000-00000000001f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[표 3-14] 에 따르면, 인화성 고체는 물로 냉각소화가 가능하지만, 금속분(철분, 마그네슘, 알루미늄분 등)은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(수소)를 발생시키므로 주수소화(물분무 포함)가 금지됩니다. 건조사, 팽창질석, 탄산수소염류 분말은 금속분 화재에 적응성이 있습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0-0000-0000-0000-00000000002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소방시설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유도등</p><p>② 완강기</p><p>③ 비상방송설비</p><p>④ 인명구조기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0-0000-0000-0000-00000000002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0-0000-0000-0000-00000000002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 소방시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.</p><p>• 피난구조설비: 유도등 , 완강기(피난기구) , 인명구조기구 </p><p>• 경보설비: 비상방송설비 </p><p>따라서 비상방송설비는 경보설비이고, 나머지는 피난구조설비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1-0000-0000-0000-00000000002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조소의 건축물 구조 기준 중, 연소의 우려가 있는 외벽에 설치하는 출입구에 설치해야 하는 방화문은?</p><p>① 수시로 열 수 있는 을종 방화문</p><p>② 자동 폐쇄식의 을종 방화문</p><p>③ 자동 폐쇄식의 갑종 방화문</p><p>④ 수시로 열 수 있는 갑종 방화문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1-0000-0000-0000-00000000002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1-0000-0000-0000-00000000002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제조소의 출입구에는 갑종 방화문 또는 을종 방화문을 설치할 수 있으나, '연소의 우려가 있는 외벽'에 설치하는 출입구에는 '자동 폐쇄식의 갑종 방화문'을 설치해야 합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2-0000-0000-0000-00000000002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조소에 설치하는 배출설비(환기설비 아님)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배출은 자연 배기 방식으로 한다.</p><p>② 배출 능력은 1시간당 배출 장소 용적의 10배 이상으로 한다.</p><p>③ 배풍기는 강제 배기 방식으로 한다.</p><p>④ 배출구는 지상 1m 이하의 낮은 곳에 설치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2-0000-0000-0000-00000000002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2-0000-0000-0000-00000000002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른 배출설비(가연성 증기 또는 미분 체류 우려 시)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① 배출설비는 배풍기, 덕트 등을 이용하여 '강제적'으로 배출해야 합니다. (자연 배기는 환기설비)</p><p>② 배출 능력은 1시간당 배출 장소 용적의 '20배' 이상이어야 합니다. </p><p>③ 배풍기는 강제 배기 방식으로 합니다. </p><p>④ 배출구는 지상 '2m 이상'으로서 연소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합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3-0000-0000-0000-00000000002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소화 난이도 등급 I의 옥내저장소에 설치해야 하는 소화설비로 옳지 <u>않은</u> 것은? (단, 처마 높이가 6m 이상인 단층건물 또는 다른 용도 부분이 있는 건축물 기준)</p><p>① 스프링클러설비</p><p>② 옥외소화전설비</p><p>③ 이동식 외의 물분무등소화설비</p><p>④ 이동식 포소화설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3-0000-0000-0000-00000000002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3-0000-0000-0000-00000000002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[표 3-9] 에 따르면, 소화 난이도 등급 I의 옥내저장소 중 \"처마 높이가 6m 이상인 단층건물 또는 다른 용도의 부분이 있는 건축물\"에 설치하는 소화설비는 '스프링클러설비' 또는 '이동식 외의 물분무등소화설비'입니다.</p><p>옥외소화전설비나 이동식 포소화설비는 \"그 밖의 것\"에 해당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4-0000-0000-0000-00000000002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조소등에 설치된 전기설비가 화재의 점화원이 될 수 있다. 이에 대한 예방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<u>먼</u> 것은?</p><p>①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한다.</p><p>② 지정수량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곳에는 피뢰설비를 설치한다.</p><p>③ 전기 기계·기구는 방폭구조로 한다.</p><p>④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30\\%\\)</span> 이하로 건조하게 유지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4-0000-0000-0000-00000000002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4-0000-0000-0000-00000000002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로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70\\%\\)</span> '이상'으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습도를 건조하게 유지하면 정전기 발생 위험이 커집니다.</p><p>① 접지, 공기 이온화, 습도 <span class='math-tex'>\\(70\\%\\)</span> 이상 유지는 정전기 제거 설비 기준입니다. </p><p>② 지정수량 10배 이상 취급 시 피뢰설비를 설치합니다. </p><p>③ 가연성 증기/미분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곳의 전기설비는 방폭구조로 해야 합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5-0000-0000-0000-00000000002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소화설비의 능력단위가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마른 모래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L}\\)</span></p><p>② 소화 전용 물통 <span class='math-tex'>\\(8{\\rm L}\\)</span> 1개</p><p>③ 팽창질석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80{\\rm L}\\)</span></p><p>④ 수조(소화 전용 물통 3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80{\\rm L}\\)</span>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5-0000-0000-0000-00000000002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5-0000-0000-0000-00000000002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[표 3-16] 에 따른 기타 소화설비의 능력 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• ① 마른 모래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L}\\)</span> = 0.5 단위</p><p>• ② 소화 전용 물통 <span class='math-tex'>\\(8{\\rm L}\\)</span> 1개 = 0.3 단위</p><p>• ③ 팽창질석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{\\rm L}\\)</span>가 1.0 단위이므로, <span class='math-tex'>\\(80{\\rm L}\\)</span>는 0.5 단위입니다.</p><p>• ④ 수조(소화 전용 물통 3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80{\\rm L}\\)</span> = 1.5 단위</p><p>따라서 ④ 수조가 능력 단위가 다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6-0000-0000-0000-00000000002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은 위험물 제조소의 '보유 공지'에 대한 설명이다. ( ) 안에 들어갈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위험물 시설 주위에 확보해야 하는 절대공간으로, 화재 시 연소 방지 및 소방 활동을 위해 설치한다.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인 경우에는 ( ) 이상, 1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( ) 이상의 공지를 보유해야 한다.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1{\\rm m}\\)</span>,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, <span class='math-tex'>\\(6{\\rm m}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,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, <span class='math-tex'>\\(10{\\rm m}\\)</span>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6-0000-0000-0000-00000000002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6-0000-0000-0000-00000000002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및 [표 1-2] 에 따르면, 제조소의 보유 공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• 지정수량의 10배 이하: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• 지정수량의 10배 초과: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 이상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7-0000-0000-0000-00000000002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화재 시 소화약제로 물을 사용할 수 <u>없는</u> 경우는?</p><p>① 제1류 위험물 중 과염소산염류 화재</p><p>② 제2류 위험물 중 유황 화재</p><p>③ 제4류 위험물 중 알코올류 화재</p><p>④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화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7-0000-0000-0000-00000000002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7-0000-0000-0000-00000000002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(예: 과산화나트륨, 과산화칼륨)은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고 산소를 발생시키므로 주수소화(물 사용)를 금지해야 합니다. 이 경우 마른 모래 등을 사용한 질식소화가 적합합니다. </p><p>①, ②, ③의 경우는 물(알코올류는 알코올포 또는 다량의 물)을 사용한 냉각소화가 가능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8-0000-0000-0000-00000000002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정기점검을 실시한 후, 그 점검 결과를 얼마간 보존해야 하는가?</p><p>① 6개월</p><p>② 1년</p><p>③ 3년</p><p>④ 5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8-0000-0000-0000-00000000002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8-0000-0000-0000-00000000002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65조(정기점검의 점검항목 등) 제3항에 따르면,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정기점검 결과를 3년간 보존하여야 합니다. 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에서는 에서 정기점검 결과를 기록하고 보존할 의무를 명시하고 있으며, 구체적인 보존 기간(숫자)은 관련 법령 원문을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9-0000-0000-0000-00000000002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메탄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H_4\\)</span>)의 증기비중은 약 얼마인가? (단, 공기의 평균 분자량은 29, 탄소(C)의 원자량은 12, 수소(H)의 원자량은 1이다.)</p><p>① 0.41</p><p>② 0.55</p><p>③ 1.00</p><p>④ 1.52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9-0000-0000-0000-00000000002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9-0000-0000-0000-00000000002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증기비중은 물질의 분자량을 공기의 평균 분자량으로 나눈 값입니다.</p><p>1. 메탄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H_4\\)</span>)의 분자량: <span class='math-tex'>\\(12 + (1 \\times 4) = 16\\)</span></p><p>2. 공기의 평균 분자량: 29 (주어진 값)</p><p>3. 증기비중: <span class='math-tex'>\\(\\dfrac{16}{29} \\approx 0.55\\)</span>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a-0000-0000-0000-00000000002a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'제조소등'의 구분에 해당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제조소</p><p>② 저장소</p><p>③ 운반시설</p><p>④ 취급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a-0000-0000-0000-00000000002a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a-0000-0000-0000-00000000002a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 '제조소등'이란 제조소, 저장소 및 취급소를 통틀어 지칭하는 용어입니다. '운반시설'은 별도의 기준으로 관리되며 '제조소등'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b-0000-0000-0000-00000000002b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'지정수량'의 의미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?</p><p>① 해당 위험물을 저장할 수 있는 최대 수량</p><p>② 해당 위험물을 운반할 때 1회 운반 가능 수량</p><p>③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허가 등의 최저 기준이 되는 수량</p><p>④ 소화설비 1 소요단위를 산정하기 위한 기준 수량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b-0000-0000-0000-00000000002b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b-0000-0000-0000-00000000002b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'지정수량'이란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,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을 말합니다. 소화설비 1 소요단위는 지정수량의 10배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c-0000-0000-0000-00000000002c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시설의 안전거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<u>않은</u> 것은?</p><p>① 주거용 시설과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10{\\rm m}\\)</span> 이상의 안전거리가 필요하다.</p><p>② 사용전압 <span class='math-tex'>\\(30,000{\\rm V}\\)</span>의 특고압 가공전선과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 이상의 안전거리가 필요하다.</p><p>③ 병원급 의료기관과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30{\\rm m}\\)</span> 이상의 안전거리가 필요하다.</p><p>④ 지정문화재와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\\)</span> 이상의 안전거리가 필요하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c-0000-0000-0000-00000000002c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c-0000-0000-0000-00000000002c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[그림 1-1] 에 따르면 위험물 제조소의 안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• 주거용: <span class='math-tex'>\\(10{\\rm m}\\)</span> 이상 </p><p>• 병원, 학교 등: <span class='math-tex'>\\(30{\\rm m}\\)</span> 이상 </p><p>• 지정문화재: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\\)</span> 이상 </p><p>• 특고압 가공전선: <span class='math-tex'>\\(7,000{\\rm V} \\sim 35,000{\\rm V}\\)</span> 이하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 이상 , <span class='math-tex'>\\(35,000{\\rm V}\\)</span> 초과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 이상입니다. 따라서 <span class='math-tex'>\\(30,000{\\rm V}\\)</span>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 이상의 안전거리가 필요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d-0000-0000-0000-00000000002d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에서 제시된 [그림 1-2] 위험물안전관리법 규정 체계도에서, 지정수량 '미만'의 위험물(소량위험물)의 안전관리에 대한 사항은 무엇으로 정하는가?</p><p>① 대통령령</p><p>② 행정안전부령</p><p>③ 산업통상자원부령</p><p>④ 시·도의 조례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d-0000-0000-0000-00000000002d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d-0000-0000-0000-00000000002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[그림 1-2] 에 따르면, 지정수량 '미만'인 소량위험물의 안전관리는 시·도 위험물안전관리조례로 정합니다. 지정수량 '이상'의 위험물이 위험물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습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e-0000-0000-0000-00000000002e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연소의 3요소에 해당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가연물</p><p>② 산소공급원</p><p>③ 연쇄반응</p><p>④ 점화원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e-0000-0000-0000-00000000002e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e-0000-0000-0000-00000000002e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 연소의 3요소는 가연 물질, 산소 공급원, 점화원입니다. 연쇄반응은 이러한 연소의 3요소에 추가되어 연소의 4요소를 구성합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2f-0000-0000-0000-00000000002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성 액화가스 탱크 주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탱크 벽면이 장시간 화염에 노출될 경우, 내부 압력 상승으로 탱크가 파열되어 폭발하는 현상은?</p><p>① 슬롭오버 (Slopover)</p><p>②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③ 백드래프트 (Backdraft)</p><p>④ 블레비 (BLEVE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2f-0000-0000-0000-00000000002f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2f-0000-0000-0000-00000000002f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인화성 액체가 가득 차 있지 않은 저장탱크 주위 화재로 탱크 벽면이 약해지고 내부 압력 상승으로 파열되어 폭발하는 현상을 블레비(BLEVE: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)라고 합니다.</p><p>① 슬롭오버: 점성이 큰 중질유 화재 시 소화용수 유입으로 기름이 탱크 외부로 분출하는 현상입니다. </p><p>② 보일오버: 중질유 탱크 화재 시 바닥의 물이 끓어오르며 기름을 분출시키는 현상입니다. </p><p>③ 백드래프트: 환기(산소)가 부족한 실내 화재 시 공기가 유입되며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0-0000-0000-0000-00000000003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의 원리 중 연소의 4요소 중 하나인 '연쇄반응'을 차단하거나 억제하는 화학적 소화 방법은?</p><p>① 억제소화 (부촉매소화)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냉각소화</p><p>④ 제거소화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0-0000-0000-0000-00000000003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0-0000-0000-0000-00000000003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연쇄반응을 약화시켜 소화하는 방법을 억제소화 또는 부촉매소화라고 하며, 이는 화학적 소화 방법에 해당합니다. 나머지 질식, 냉각, 제거는 물리적 소화 방법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1-0000-0000-0000-00000000003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물이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산화제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하면서 산화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?</p><p>① 연소</p><p>② 폭발</p><p>③ 발화</p><p>④ 인화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1-0000-0000-0000-00000000003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1-0000-0000-0000-00000000003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서는 연소를 '가연물이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산화제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하면서 산화하는 현상'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2-0000-0000-0000-00000000003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일반화재(A급)에 해당하며, 물을 이용한 냉각소화가 가장 효과적인 연소 형태는?</p><p>① 금속 표면에서 연소하는 표면연소</p><p>② 파라핀(양초)이 녹아 증발하며 연소하는 증발연소</p><p>③ 니트로셀룰로오스가 자체 산소를 이용해 연소하는 자기연소</p><p>④ 목재, 종이 등이 열분해되며 발생한 가스가 연소하는 분해연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2-0000-0000-0000-00000000003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2-0000-0000-0000-00000000003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일반화재(A급)는 주로 목재, 종이, 섬유 등 고체 가연물의 화재를 말합니다. 이러한 물질들은 '분해연소'를 합니다. 물을 이용한 냉각소화는 이러한 분해연소 화재(A급)에 가장 기본적인 소화 방법입니다. </p><p>① 표면연소(숯, 금속)나 ③ 자기연소(제5류 위험물)는 A급 화재가 아닙니다.</p><p>② 증발연소(양초, 왁스)도 A급 화재로 분류되긴 하나, 주된 가연물은 목재, 종이 등 분해연소 물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3-0000-0000-0000-00000000003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 원리 중 '질식소화'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?</p><p>① 연소물을 착화온도 이하로 낮추어 소화한다.</p><p>②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15\\%\\)</span> 이하로 억제하여 소화한다.</p><p>③ 산불 화재 시 진행 방향의 나무를 제거하여 소화한다.</p><p>④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연쇄반응을 차단하여 소화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3-0000-0000-0000-00000000003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3-0000-0000-0000-00000000003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질식소화는 산소 공급원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으로,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15\\%\\)</span> 이하로 억제하여 화재를 소화하는 방법입니다.</p><p>① 냉각소화에 대한 설명입니다. </p><p>③ 제거소화에 대한 설명입니다. </p><p>④ 억제소화(부촉매소화)에 대한 설명입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4-0000-0000-0000-00000000003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중질유 탱크 화재가 장시간 진행되어 탱크 저부의 물이 끓어오르면서 연소유를 탱크 밖으로 비산시키는 현상은?</p><p>① 블레비 (BLEVE)</p><p>② 플래시오버 (Flashover)</p><p>③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④ 슬롭오버 (Slopover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4-0000-0000-0000-00000000003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4-0000-0000-0000-00000000003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중질유 탱크 화재 시 열류층이 탱크 저부의 수분을 비등시켜 연소 상태의 유류를 비산분출하게 하는 현상을 '보일오버'라고 합니다.</p><p>④ 슬롭오버는 연소유의 뜨거운 액 표면에 소화용수 등이 유입되어 급 비등하며 유류를 분출시키는 현상입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5-0000-0000-0000-00000000003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촛불을 입으로 불어서 끄는 소화 방법의 주된 원리는?</p><p>① 냉각소화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제거소화</p><p>④ 억제소화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5-0000-0000-0000-00000000003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5-0000-0000-0000-00000000003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서 촛불을 입으로 불어 가연성 증기를 순간적으로 날려 보내는 방법은 '제거소화'의 예시로 설명하고 있습니다. 불꽃 주변의 가연성 증기(파라핀 증기)를 제거하여 연소를 중단시키는 원리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6-0000-0000-0000-00000000003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유류 화재 현장에 포(Foam) 소화약제를 방사하였다. 주된 소화 원리로 옳은 것은?</p><p>① 가연물을 제거하고 열을 냉각시킨다.</p><p>② 연소의 연쇄반응을 차단한다.</p><p>③ 산소 공급을 차단하고 유면을 냉각시킨다.</p><p>④ 가연성 증기의 농도를 희석시킨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6-0000-0000-0000-00000000003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6-0000-0000-0000-00000000003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포소화약제는 형성된 미세한 기포(포거품)가 연소 생성물의 표면을 차단하는 '질식 효과'와 포에 함유된 수분에 의한 '냉각 효과'가 주된 소화 효과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7-0000-0000-0000-00000000003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현장에서 산소 농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21\\%\\)</span>에서 <span class='math-tex'>\\(14\\%\\)</span>로 낮추어 질식소화를 시도할 때,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약 몇 <span class='math-tex'>\\(\\%\\)</span>가 되어야 하는가? (단, 이산화탄소 방출로 공기만 대체한다고 가정한다.)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33.3\\%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50.0\\%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66.7\\%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7.0\\%\\)</span>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7-0000-0000-0000-00000000003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7-0000-0000-0000-00000000003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질식소화에 필요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구하는 이론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CO}_2 (\\%) = \\dfrac{21 - {\\rm O}_2}{21} \\times 100\\)</span> (여기서 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O}_2\\)</span>는 목표 산소 농도)</p><p>목표 산소 농도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O}_2\\)</span>)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14\\%\\)</span>로 설정하면,</p><p>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CO}_2 (\\%) = \\dfrac{21 - 14}{21} \\times 100 = \\dfrac{7}{21} \\times 100 \\approx 33.3\\%\\)</span>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8-0000-0000-0000-00000000003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가연물의 연소 형태가 나머지 셋과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숯</p><p>② 코크스</p><p>③ 목탄</p><p>④ 석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8-0000-0000-0000-00000000003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8-0000-0000-0000-00000000003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숯, 코크스, 목탄은 열분해 과정이 거의 끝나 고체 표면에서 직접 산소와 반응하는 '표면연소'를 합니다. (기출 20150719 Q10)</p><p>반면, 석탄은 가열 시 열분해되어 가연성 가스를 방출하고, 이 가스가 연소하는 '분해연소'를 합니다. (기출 20140406 Q14)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9-0000-0000-0000-00000000003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4요소 중 하나가 부족하여 연소가 중단되는 소화 원리를 적용한 시나리오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유류 탱크 화재 시 폼(Foam)을 방사하여 화염면을 덮었다.</p><p>② 가스레인지 밸브를 잠가 화재를 진압하였다.</p><p>③ 컴퓨터 서버실 화재에 할론 1301 가스를 방출하였다.</p><p>④ 불타고 있는 목재 더미에 다량의 물을 방수하였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9-0000-0000-0000-00000000003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9-0000-0000-0000-00000000003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4요소는 가연물, 산소공급원, 점화원, 연쇄반응입니다. 이 중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것이 억제소화(부촉매소화)입니다. </p><p>③ 할론(할로겐화합물) 소화약제는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부촉매 효과가 주된 소화 원리입니다. </p><p>① 폼 방사는 질식소화(산소 차단) 및 냉각소화입니다. </p><p>② 밸브를 잠그는 것은 제거소화(가연물 차단)입니다. </p><p>④ 물을 방수하는 것은 냉각소화(점화원 차단)입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a-0000-0000-0000-00000000003a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소방시설의 구분이 나머지 셋과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옥내소화전설비</p><p>② 자동화재탐지설비</p><p>③ 스프링클러설비</p><p>④ 포소화설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a-0000-0000-0000-00000000003a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a-0000-0000-0000-00000000003a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 소방시설은 크게 소화설비, 경보설비, 피난구조설비 등으로 구분됩니다.</p><p>• 소화설비: 옥내소화전설비 , 스프링클러설비 , 포소화설비 </p><p>• 경보설비: 자동화재탐지설비 </p><p>따라서 자동화재탐지설비는 경보설비에 속하며 나머지는 소화설비에 속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b-0000-0000-0000-00000000003b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탄산수소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HCO_3\\)</span>)</p><p>② 탄산수소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HCO_3\\)</span>)</p><p>③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의 반응물</p><p>④ 제1인산암모늄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H_2PO_4\\)</span>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b-0000-0000-0000-00000000003b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b-0000-0000-0000-00000000003b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및 기출문제(20150125 Q1)에 따르면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• 제1종: 탄산수소나트륨 (BC급)</p><p>• 제2종: 탄산수소칼륨 (BC급)</p><p>• 제3종: 제1인산암모늄 (ABC급)</p><p>• 제4종: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의 반응물 (BC급)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c-0000-0000-0000-00000000003c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A급, B급, C급 화재에 모두 적응성이 있어 'ABC 소화기'라고도 불리는 분말소화약제는?</p><p>① 제1종 분말소화약제</p><p>② 제3종 분말소화약제</p><p>③ 제4종 분말소화약제</p><p>④ 제2종 분말소화약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c-0000-0000-0000-00000000003c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c-0000-0000-0000-00000000003c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3종 분말소화약제(제1인산암모늄)는 유류(B급) 및 전기(C급) 화재뿐만 아니라, 열분해 시 생성되는 메타인산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PO_3\\)</span>)의 방진 작용(탈수탄화)으로 일반화재(A급)에도 적응성이 있습니다. 따라서 ABC급 소화기에 사용됩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d-0000-0000-0000-00000000003d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중 할론(Halon) 1211의 화학식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Cl_4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H_3Br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F_2ClBr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F_3Br\\)</span>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d-0000-0000-0000-00000000003d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d-0000-0000-0000-00000000003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할론 번호는 탄소(C), 불소(F), 염소(Cl), 브롬(Br)의 원자 개수를 순서대로 나타냅니다. (기출 20140406 Q9, 20151010 Q5)</p><p>• 할론 1211: C 1개, F 2개, Cl 1개, Br 1개 →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F_2ClBr\\)</span></p><p>• 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F_3Br\\)</span>은 할론 1301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e-0000-0000-0000-00000000003e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내소화전설비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층마다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15{\\rm m}\\)</span>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.</p><p>② 수원의 수량은 최대 설치 개수(최대 2개)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7.8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③ 노즐 선단의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7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30{\\rm L}/{\\rm min}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④ 비상 전원을 설치해야 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e-0000-0000-0000-00000000003e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e-0000-0000-0000-00000000003e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른 옥내소화전설비 설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①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25{\\rm m}\\)</span>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. </p><p>② 수원의 수량은 최대 설치 개수(최대 5개)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7.8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합니다. </p><p>③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5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260{\\rm L}/{\\rm min}\\)</span> 이상이어야 합니다. </p><p>④ 옥내소화전설비에는 비상 전원을 설치해야 합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3f-0000-0000-0000-00000000003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에 설치하는 환기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환기는 강제 배기 방식으로만 하여야 한다.</p><p>②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하고 인화 방지망을 설치한다.</p><p>③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<span class='math-tex'>\\(1{\\rm m}\\)</span>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.</p><p>④ 급기구의 크기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800{\\rm cm}^2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3f-0000-0000-0000-00000000003f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3f-0000-0000-0000-00000000003f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른 <b>환기설비(자연 배기 방식)</b>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</p><p>① 환기는 자연 배기 방식으로 합니다. </p><p>② 급기구는 '낮은 곳'에 설치하고 인화 방지망을 설치합니다. </p><p>③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<span class='math-tex'>\\(2{\\rm m}\\)</span> '이상'의 높이에 설치합니다. </p><p>④ 급기구는 바닥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마다 1개 이상, 크기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800{\\rm cm}^2\\)</span> 이상으로 합니다. 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00000040-0000-0000-0000-00000000004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소화약제로 물을 사용하였을 때 냉각 효과가 큰 주된 이유는?</p><p>① 물의 비열과 증발잠열이 크기 때문이다.</p><p>② 물의 표면장력이 크기 때문이다.</p><p>③ 물이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^\\circ{\\rm C}\\)</span>에서 끓기 때문이다.</p><p>④ 물이 기화 시 부피가 약 100배 팽창하기 때문이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a0000040-0000-0000-0000-00000000004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0000040-0000-0000-0000-00000000004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NCS 학습모듈(LM0502010612_20v1) 에 따르면, 물이 소화약제로 쓰이는 주된 이유(냉각 효과)는 비열(<span class='math-tex'>\\(1.0\\,{\\rm kcal}/{\\rm kg}^\\circ{\\rm C}\\)</span>)과 증발잠열(<span class='math-tex'>\\(539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)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. 이로 인해 연소물로부터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.</p><p>④ 기화 시 부피 팽창(약 1,670배)은 질식 효과와 관련됩니다. </p>"
      }
    }
  ],
  "contents": [
    {
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20000000-0000-0000-0000-000000000001",
          "_mode": "append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00000001-0000-0000-0000-000000000001",
            "00000002-0000-0000-0000-000000000002",
            "00000003-0000-0000-0000-000000000003",
            "00000004-0000-0000-0000-000000000004",
            "00000005-0000-0000-0000-000000000005",
            "00000006-0000-0000-0000-000000000006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20000000-0000-0000-0000-000000000002",
          "_mode": "append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00000007-0000-0000-0000-000000000007",
            "00000008-0000-0000-0000-000000000008",
            "00000009-0000-0000-0000-000000000009",
            "0000000a-0000-0000-0000-00000000000a",
            "0000000b-0000-0000-0000-00000000000b",
            "0000000c-0000-0000-0000-00000000000c",
            "0000000d-0000-0000-0000-00000000000d",
            "0000000e-0000-0000-0000-00000000000e",
            "0000000f-0000-0000-0000-00000000000f",
            "00000010-0000-0000-0000-000000000010",
            "00000011-0000-0000-0000-000000000011",
            "00000012-0000-0000-0000-000000000012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20000000-0000-0000-0000-000000000003",
          "_mode": "append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00000013-0000-0000-0000-000000000013",
            "00000014-0000-0000-0000-000000000014",
            "00000015-0000-0000-0000-000000000015",
            "00000016-0000-0000-0000-000000000016",
            "00000017-0000-0000-0000-000000000017",
            "00000018-0000-0000-0000-000000000018",
            "00000019-0000-0000-0000-000000000019",
            "0000001a-0000-0000-0000-00000000001a",
            "0000001b-0000-0000-0000-00000000001b",
            "0000001c-0000-0000-0000-00000000001c",
            "0000001d-0000-0000-0000-00000000001d",
            "0000001e-0000-0000-0000-00000000001e",
            "0000001f-0000-0000-0000-00000000001f",
            "00000020-0000-0000-0000-000000000020",
            "00000021-0000-0000-0000-000000000021",
            "00000022-0000-0000-0000-000000000022",
            "00000023-0000-0000-0000-000000000023",
            "00000024-0000-0000-0000-000000000024",
            "00000025-0000-0000-0000-000000000025",
            "00000026-0000-0000-0000-000000000026",
            "00000027-0000-0000-0000-000000000027",
            "00000028-0000-0000-0000-000000000028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
  ]
}
View Snapshot Before
{
  "__type": 2,
  "__version": 2,
  "course": {
    "_id": "b4e66dc5-0d14-4207-accc-a9f248089a36",
    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-new",
    "_type": 2,
    "_sub_type": 0,
    "_cdate": "2025-10-31 01:55:53.132409+00:00",
    "_udate": "2025-10-31 13:03:25.322824+00:00",
    "_year": 2025,
    "contents": [
      {
  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c0000001-0000-4000-8000-000000000001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,
  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  "20000251-0000-4000-8000-000000000251",
              "20000252-0000-4000-8000-000000000252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c0000002-0000-4000-8000-000000000002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,
  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  "20000253-0000-4000-8000-000000000253",
              "20000254-0000-4000-8000-000000000254",
              "20000260-0000-4000-8000-000000000260",
              "20000261-0000-4000-8000-000000000261",
              "20000265-0000-4000-8000-000000000265",
              "20000271-0000-4000-8000-000000000271",
              "20000279-0000-4000-8000-000000000279",
              "20000282-0000-4000-8000-000000000282",
              "20000289-0000-4000-8000-000000000289",
              "20000295-0000-4000-8000-000000000295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c0000003-0000-4000-8000-000000000003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,
  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  "20000255-0000-4000-8000-000000000255",
              "20000256-0000-4000-8000-000000000256",
              "20000257-0000-4000-8000-000000000257",
              "20000262-0000-4000-8000-000000000262",
              "20000263-0000-4000-8000-000000000263",
              "20000266-0000-4000-8000-000000000266",
              "20000267-0000-4000-8000-000000000267",
              "20000269-0000-4000-8000-000000000269",
              "20000272-0000-4000-8000-000000000272",
              "20000274-0000-4000-8000-000000000274",
              "20000276-0000-4000-8000-000000000276",
              "20000278-0000-4000-8000-000000000278",
              "20000280-0000-4000-8000-000000000280",
              "20000283-0000-4000-8000-000000000283",
              "20000284-0000-4000-8000-000000000284",
              "20000287-0000-4000-8000-000000000287",
              "20000288-0000-4000-8000-000000000288",
              "20000290-0000-4000-8000-000000000290",
              "20000292-0000-4000-8000-000000000292",
              "20000293-0000-4000-8000-000000000293",
              "20000296-0000-4000-8000-000000000296",
              "20000297-0000-4000-8000-000000000297",
              "20000299-0000-4000-8000-000000000299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c0000004-0000-4000-8000-000000000004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,
  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  "20000258-0000-4000-8000-000000000258",
              "20000259-0000-4000-8000-000000000259",
              "20000264-0000-4000-8000-000000000264",
              "20000268-0000-4000-8000-000000000268",
              "20000270-0000-4000-8000-000000000270",
              "20000273-0000-4000-8000-000000000273",
              "20000275-0000-4000-8000-000000000275",
              "20000277-0000-4000-8000-000000000277",
              "20000281-0000-4000-8000-000000000281",
              "20000285-0000-4000-8000-000000000285",
              "20000286-0000-4000-8000-000000000286",
              "20000291-0000-4000-8000-000000000291",
              "20000294-0000-4000-8000-000000000294",
              "20000298-0000-4000-8000-000000000298",
              "20000300-0000-4000-8000-000000000300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
    ],
    "kls": [],
    "lists": [
      {
  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. 화재 및 소화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물질의 화학적 성질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화재 및 소화이론의 이해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약제 및 소방시설의 기초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2. 제1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3. 제2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4. 제3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5. 제4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c0000001-0000-4000-8000-000000000001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6. 제5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c0000002-0000-4000-8000-000000000002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c0000003-0000-4000-8000-000000000003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c0000004-0000-4000-8000-000000000004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7. 제6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8. 위험물 운송·운반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운송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운반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9. 위험물 제조소 등의 유지관리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제조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저장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위험물 취급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4.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점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0. 위험물 저장·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저장 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취급 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1. 위험물안전관리 감독 및 행정처리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시설 유지관리감독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행정사항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
    ]
  },
  "elements": [
    {
      "_id": "20000251-0000-4000-8000-00000000025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2898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4류 위험물 중 알코올류에 대한 소화 시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소화약제는 무엇인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포말소화약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분말소화약제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51-0000-4000-9000-000000000251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1-0000-4000-9000-00000000025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3987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알코올류는 수용성 물질로, 일반 물로 소화 시 오히려 화재가 확산될 수 있어 포말소화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. 이산화탄소와 분말소화약제도 사용 가능하지만, 포말이 가장 효과적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2-0000-4000-8000-00000000025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4339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4류 위험물인 아세톤 화재를 진압할 때 가장 적합한 소화방법은 무엇인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을 직접 분사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포말을 사용하여 질식시킨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분말소화약제를 이용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모래로 덮어 소화한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52-0000-4000-9000-000000000252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2-0000-4000-9000-00000000025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4790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아세톤은 휘발성 유기용제로 포말소화약제가 효과적이며, 물은 확산 가능성이 있어 적절하지 않다. 분말소화약제도 사용 가능하지만 포말이 우선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3-0000-4000-8000-00000000025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5196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성상과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고체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주로 산화성이 강한 물질이 포함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주로 가연성 액체로 분류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주로 가스 상태로 취급된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53-0000-4000-9000-000000000253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3-0000-4000-9000-00000000025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5669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 및 액체가 포함되며 산화성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. 고체가 많으나 가연성 액체는 주로 제4류에 해당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4-0000-4000-8000-00000000025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5947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산화수소수는 제5류 위험물 중 어떤 성질 때문에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한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화성이 강해 발화 위험이 있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인화점이 매우 낮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독성이 강해 인체에 해롭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수용성이 낮아 저장이 어렵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54-0000-4000-9000-000000000254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4-0000-4000-9000-00000000025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6366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산화수소수는 강한 산화성으로 인해 발화 및 폭발 위험이 크므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5-0000-4000-8000-00000000025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6675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을 저장할 때 지켜야 할 일반적인 기준으로 옳지 \\u003cu\\u003e않은\\u003c/u\\u003e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저장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직사광선을 피해서 저장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가연성 물질과 혼합하여 저장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온도 변화가 적은 곳에 저장한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55-0000-4000-9000-000000000255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5-0000-4000-9000-00000000025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7139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은 가연성 물질과 혼합 저장하면 위험하므로 반드시 분리하여 저장해야 한다. 통풍, 직사광선 회피, 온도 안정성 확보는 필수 조건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6-0000-4000-8000-00000000025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7424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저장시설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저장시설은 방폭구조가 필요 없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저장 용기는 금속재질을 원칙으로 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저장시설은 습기가 많아도 무방하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저장시설은 밀폐형으로 환기가 불필요하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56-0000-4000-9000-000000000256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6-0000-4000-9000-00000000025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7853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저장 용기는 주로 금속재질을 사용하며 방폭구조가 필요하고 습기 및 환기에 주의해야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7-0000-4000-8000-00000000025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8552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취급 시 안전수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흡연과 발화원 근처에서 작업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작업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밀폐된 공간에서 대량 취급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인화점이 낮은 곳에서 가열한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57-0000-4000-9000-000000000257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7-0000-4000-9000-00000000025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9117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은 산화성이 강하므로 보호장비 착용과 발화원 제거가 필수이며, 밀폐공간과 가열은 위험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8-0000-4000-8000-00000000025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9422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소화 시 주로 사용되는 소화약제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포말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분말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58-0000-4000-9000-000000000258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8-0000-4000-9000-00000000025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69995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 및 액체로 분말 소화약제가 효과적이며, 물은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부적합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9-0000-4000-8000-00000000025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70896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산화칼륨을 포함한 제5류 위험물의 화재 진압 시 적합한 소화방법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 분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포말 소화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분말 소화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모래 덮기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59-0000-4000-9000-000000000259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9-0000-4000-9000-00000000025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71674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산화칼륨 등 산화성 고체는 분말 소화약제를 사용해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적합하다. 물은 반응성이 커서 위험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0-0000-4000-8000-00000000026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72173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이 산소 공급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높은 인화점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강한 산화성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낮은 발화점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가연성 성분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60-0000-4000-9000-000000000260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0-0000-4000-9000-00000000026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75530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은 강한 산화성으로 인해 주변 가연물의 연소를 촉진시키는 산소 공급원 역할을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1-0000-4000-8000-00000000026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76788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중 과망간산칼륨의 취급 시 주의사항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유기물과 접촉을 피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높은 온도에서 보관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수분과 혼합하여 보관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성 용액과 혼합한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61-0000-4000-9000-000000000261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1-0000-4000-9000-00000000026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77827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망간산칼륨은 유기물과 접촉 시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분리하여 취급해야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2-0000-4000-8000-00000000026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78105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온도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온도가 높으면 산화 반응이 촉진되어 화재 위험이 증가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온도 변화는 무관하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낮은 온도에서 저장하면 반응성이 증가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온도는 저장 장소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62-0000-4000-9000-000000000262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2-0000-4000-9000-00000000026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78994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온도가 높아지면 산화 반응 속도가 빨라져 발화 위험이 높아지므로 온도 관리가 중요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3-0000-4000-8000-00000000026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79309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적합하지 \\u003cu\\u003e않은\\u003c/u\\u003e 장소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습기가 적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직사광선이 강한 장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온도 변화가 적은 장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화기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63-0000-4000-9000-000000000263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3-0000-4000-9000-00000000026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79759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직사광선이 강한 장소는 온도 상승으로 화재 위험이 커지므로 피해야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4-0000-4000-8000-00000000026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0028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소화방법 중 분말 소화약제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과 혼합하여 사용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호흡기 보호구를 착용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분말이 습기를 잘 흡수하므로 습도 관리는 무관하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분말 소화약제는 산성 물질에는 사용하지 않는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64-0000-4000-9000-000000000264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4-0000-4000-9000-00000000026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0579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분말 소화약제 사용 시 분진이 발생하여 호흡기 자극이 심하므로 보호구 착용이 필수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5-0000-4000-8000-00000000026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0897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중 과산화물 화재의 특성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과 접촉 시 발화하거나 폭발할 수 있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산소 공급원이 아니므로 물로만 진압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연소 시 독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포말 소화약제가 가장 효과적이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65-0000-4000-9000-000000000265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5-0000-4000-9000-00000000026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1360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산화물은 물과 접촉 시 발화 또는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6-0000-4000-8000-00000000026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1711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취급 시 산소 농도에 대한 관리 기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소 농도는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21\\\\%\\\\)\\u003c/span\\u003e 이상으로 유지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산소 농도는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16\\\\%\\\\)\\u003c/span\\u003e 이하로 유지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소 농도는 중요하지 않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소 농도는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30\\\\%\\\\)\\u003c/span\\u003e 이상으로 유지한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66-0000-4000-9000-000000000266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6-0000-4000-9000-00000000026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2231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소 농도를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16\\\\%\\\\)\\u003c/span\\u003e 이하로 유지하면 연소가 어려워져 화재 예방에 효과적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7-0000-4000-8000-00000000026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2512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용기 라벨에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제조 일자와 취급자 이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위험물의 종류와 성상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보관 장소와 온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소화약제 종류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67-0000-4000-9000-000000000267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7-0000-4000-9000-00000000026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2951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용기 라벨에는 위험물의 종류와 성상을 명확히 표시하여 취급 시 혼동을 방지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8-0000-4000-8000-00000000026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3281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소화 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경우 적합한 상황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화성 고체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밀폐된 공간 내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수용성 액체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대형 개방 화재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68-0000-4000-9000-000000000268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8-0000-4000-9000-00000000026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3720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이산화탄소는 산소를 배제하여 밀폐 공간에서 화재 진압에 효과적이나, 개방된 공간이나 산화성 고체에는 부적합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9-0000-4000-8000-00000000026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3995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중 과산화수소수의 저장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금속 용기에 저장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에 저장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소 공급원이 되는 물질과 혼합 저장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열에 강한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한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69-0000-4000-9000-000000000269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9-0000-4000-9000-00000000026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4403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산화수소수는 빛과 열에 분해되기 쉬우므로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한 곳에 저장해야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0-0000-4000-8000-00000000027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4744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소화 시 물을 사용하는 것이 \\u003cu\\u003e적합하지 않은\\u003c/u\\u003e 경우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화성 고체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액체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가연성 기체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금속 화재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70-0000-4000-9000-000000000270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0-0000-4000-9000-00000000027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5155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화성 고체는 물과 반응하여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물 사용이 부적합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1-0000-4000-8000-00000000027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5398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산화성 물질이 주변 가연물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연소를 억제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연소를 촉진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가연물의 냉각 효과를 준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71-0000-4000-9000-000000000271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1-0000-4000-9000-00000000027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5879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화성 물질은 주변 가연물의 연소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2-0000-4000-8000-00000000027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6159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취급 시 안전관리자의 역할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취급 장소 내 흡연 허용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위험물 취급 작업자의 교육 및 감독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소화기 점검을 생략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위험물 저장량을 무제한으로 허용한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72-0000-4000-9000-000000000272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2-0000-4000-9000-00000000027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6573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안전관리자는 위험물 취급자의 교육과 감독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3-0000-4000-8000-00000000027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6843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화재 발생 시 분말 소화약제 사용 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분말이 물과 반응하는지 확인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분진 흡입으로 인한 호흡기 보호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분말의 산화성 여부를 무시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분말 소화약제는 가연성 가스에만 사용한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73-0000-4000-9000-000000000273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3-0000-4000-9000-00000000027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7293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분말 소화약제 사용 시 분진 발생으로 호흡기 자극이 심하므로 반드시 호흡기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4-0000-4000-8000-00000000027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7559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저장 용기에 적용되는 규격 기준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플라스틱 용기만 허용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금속 용기는 부식 방지 처리가 필수이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유리 용기가 가장 안전하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용기 소재는 중요하지 않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74-0000-4000-9000-000000000274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4-0000-4000-9000-00000000027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7977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금속 용기는 부식 방지 처리를 하여 내용물과의 반응을 방지해야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5-0000-4000-8000-00000000027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8266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인 과산화물 화재를 진압할 때 사용할 수 \\u003cu\\u003e없는\\u003c/u\\u003e 소화약제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분말 소화약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이산화탄소 소화약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포말 소화약제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75-0000-4000-9000-000000000275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5-0000-4000-9000-00000000027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8659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산화물은 물과 접촉 시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물 사용은 금지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6-0000-4000-8000-00000000027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8908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중 과망간산칼륨 저장 시 적합한 보관 조건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성 용액과 혼합하여 보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서늘하고 건조한 장소에 보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직사광선이 강한 장소에 보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가연성 물질과 혼합 보관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76-0000-4000-9000-000000000276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6-0000-4000-9000-00000000027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9364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망간산칼륨은 서늘하고 건조한 장소에서 보관하여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7-0000-4000-8000-00000000027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89616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화재 발생 시 포말 소화약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모든 제5류 위험물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산화성 액체가 포함된 경우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화성 고체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금속 화재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77-0000-4000-9000-000000000277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7-0000-4000-9000-00000000027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0045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화성 액체에 대해서는 포말 소화약제가 사용 가능하나, 고체나 금속 화재에는 적합하지 않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8-0000-4000-8000-00000000027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0291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산소와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하는 주된 이유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부식 방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산화 반응 촉진 방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냉각 효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중화 반응 유도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78-0000-4000-9000-000000000278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8-0000-4000-9000-00000000027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0716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소와 접촉하면 산화 반응이 촉진되어 화재 위험이 증가하므로 최소화해야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9-0000-4000-8000-00000000027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1000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취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중 산소 농도 증가로 인한 위험은 무엇인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폭발 위험 감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연소 촉진 및 폭발 위험 증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독성 가스 발생 감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화성 감소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79-0000-4000-9000-000000000279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9-0000-4000-9000-00000000027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1398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소 농도가 증가하면 연소가 촉진되어 폭발 위험이 커진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0-0000-4000-8000-00000000028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1650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취급 시 작업자에게 가장 필요한 안전장비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방독 마스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방화복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절연 장갑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안전모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80-0000-4000-9000-000000000280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0-0000-4000-9000-00000000028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2071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화성 물질로 인한 유해 가스 발생 가능성 때문에 방독 마스크 착용이 필수적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1-0000-4000-8000-00000000028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2421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소화 시 분말 소화약제의 주요 작용기전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소 공급 차단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열 차단 및 화학 반응 억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물리적 냉각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질식 작용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81-0000-4000-9000-000000000281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1-0000-4000-9000-00000000028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2936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분말 소화약제는 화학 반응을 억제하며 열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2-0000-4000-8000-00000000028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3214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중 과산화물의 특성으로 \\u003cu\\u003e틀린\\u003c/u\\u003e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화성이 강하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물과 접촉 시 반응이 일어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인화점이 매우 높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발화 및 폭발 위험이 있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82-0000-4000-9000-000000000282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2-0000-4000-9000-00000000028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3644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산화물은 인화점이 낮고 물과 접촉 시 위험한 반응을 일으킨다. 따라서 인화점이 높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3-0000-4000-8000-00000000028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3921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용기 손상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내용물 누출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위험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내용물의 무해화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화재 진압 용이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저장 용기 내 압력 감소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83-0000-4000-9000-000000000283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3-0000-4000-9000-00000000028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4403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용기 손상 시 내용물이 누출되어 화재나 폭발 위험이 커진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4-0000-4000-8000-00000000028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4682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취급 시 작업장 내 화기 사용에 대한 규정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화기 사용은 장소 제한 없이 가능하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화기 사용은 위험물 저장소 내에서만 허용된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화기 사용은 엄격히 금지되며 관리자의 승인이 필요하다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화기 사용 시 분말 소화약제는 필수적이지 않다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84-0000-4000-9000-000000000284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4-0000-4000-9000-00000000028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5159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위험물 취급 시 화기 사용은 엄격히 금지되며 반드시 관리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5-0000-4000-8000-00000000028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5422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화재 진압 시 포말 소화약제가 효과적인 이유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를 억제하기 때문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냉각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분진 발생이 적기 때문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화성 물질과 반응하여 소화 효과가 높기 때문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85-0000-4000-9000-000000000285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5-0000-4000-9000-00000000028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5889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포말 소화약제는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를 억제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6-0000-4000-8000-00000000028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6197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중 과망간산칼륨 화재 진압에 적합한 소화약제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분말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포말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86-0000-4000-9000-000000000286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6-0000-4000-9000-00000000028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6612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망간산칼륨은 산화성 고체로 분말 소화약제가 적합하며, 물은 반응 위험으로 부적합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7-0000-4000-8000-00000000028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6895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저장 용기가 부식되었을 경우 발생 가능한 문제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저장물질의 화학적 변질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저장 용기의 압력 상승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소화약제의 성능 향상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취급자의 안전성 증가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87-0000-4000-9000-000000000287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7-0000-4000-9000-00000000028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7868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부식된 저장 용기는 내용물과 반응하여 화학적 변질 및 누출 위험이 커진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8-0000-4000-8000-00000000028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8567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취급 시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조치로 적절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누출 방지 및 신속한 처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취급 후 세척 없이 방치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폐기물 혼합 보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폐기물 무단 배출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88-0000-4000-9000-000000000288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8-0000-4000-9000-00000000028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4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4.99603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누출 사고 예방과 발생 시 신속한 처리가 환경오염 방지에 필수적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9-0000-4000-8000-00000000028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00504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중 과산화수소수의 주된 위험성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독성 가스 발생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강한 산화성으로 인한 발화 위험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중독성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무취성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89-0000-4000-9000-000000000289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9-0000-4000-9000-00000000028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01915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산화수소수는 산화성이 강해 발화 및 폭발 위험이 크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0-0000-4000-8000-00000000029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02687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 시 작업장 내 통풍이 중요한 이유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작업자의 쾌적성 유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유해가스 및 증기의 축적 방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온도 상승 방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습기 공급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90-0000-4000-9000-000000000290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0-0000-4000-9000-00000000029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03768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통풍은 유해가스와 증기 축적을 방지하여 작업장 안전을 확보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1-0000-4000-8000-00000000029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04292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소화 시 분말 소화약제의 사용 목적이 \\u003cu\\u003e아닌\\u003c/u\\u003e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화학 반응 억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열 차단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소 공급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소 확산 방지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91-0000-4000-9000-000000000291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1-0000-4000-9000-00000000029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05494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분말 소화약제는 산소 공급이 아니라 차단하여 연소를 억제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2-0000-4000-8000-00000000029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06436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저장 용기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원인으로 적절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온도 상승에 따른 증기압 증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용기 외부 압력 감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내용물의 안정성 향상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분말 소화약제 영향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92-0000-4000-9000-000000000292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2-0000-4000-9000-00000000029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07593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온도 상승으로 인해 내용물의 증기압이 증가하여 용기 내부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3-0000-4000-8000-00000000029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08360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취급장소에서 흡연이 \\u003cu\\u003e허용되는\\u003c/u\\u003e 경우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위험물 저장소 외부 안전구역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위험물 취급 작업장 내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밀폐된 저장시설 내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작업 중 모든 장소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93-0000-4000-9000-000000000293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3-0000-4000-9000-00000000029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09800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흡연은 위험물 취급 작업장 및 저장시설 내에서는 엄격히 금지되며, 안전구역에서만 허용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4-0000-4000-8000-00000000029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10672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소화 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가 \\u003cu\\u003e가장 효과적인\\u003c/u\\u003e 상황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밀폐 공간 내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대형 개방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화성 고체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소 중인 기름 화재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94-0000-4000-9000-000000000294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4-0000-4000-9000-00000000029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11874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이산화탄소는 밀폐 공간 내에서 산소 배제를 통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5-0000-4000-8000-00000000029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12762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중 과망간산칼륨의 주요 용도는 무엇인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화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환원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연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소화약제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95-0000-4000-9000-000000000295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5-0000-4000-9000-00000000029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13612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망간산칼륨은 산화성 물질로 산화제로 주로 사용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6-0000-4000-8000-00000000029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14317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용기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환경 문제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중화 반응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누출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소화 효과 증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소 농도 저하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96-0000-4000-9000-000000000296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6-0000-4000-9000-00000000029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15435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저장 용기 손상 시 위험물이 누출되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7-0000-4000-8000-00000000029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16042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 시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온도 및 습도 조절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산소 공급 확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가연성 물질과 혼합 저장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밀폐 저장 용기 미사용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97-0000-4000-9000-000000000297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7-0000-4000-9000-00000000029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17505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온도와 습도 조절로 위험물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화재 위험성을 감소시킨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8-0000-4000-8000-00000000029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18264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화재진압 시 포말 소화약제 사용 시 주로 기대하는 효과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냉각 작용 및 산소 차단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화학 반응 촉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분진 발생 억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화 촉진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98-0000-4000-9000-000000000298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8-0000-4000-9000-00000000029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19498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포말 소화약제는 냉각과 산소 차단을 통해 연소를 억제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9-0000-4000-8000-00000000029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20077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중 과산화수소수를 저장할 때 적용되는 주요 안전 규정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직사광선 차단 및 낮은 온도 유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고온 유지 및 산소 공급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가연성 물질과 혼합 보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밀폐 용기 미사용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299-0000-4000-9000-000000000299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9-0000-4000-9000-00000000029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20954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과산화수소수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한 온도를 유지해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300-0000-4000-8000-00000000030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21238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 소화 시 분말 소화약제를 선택하는 이유로 적절하지 \\u003cu\\u003e않은\\u003c/u\\u003e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화학 반응 억제 효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분진으로 인한 호흡기 자극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열 차단 작용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소 확산 방지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20000300-0000-4000-9000-000000000300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300-0000-4000-9000-00000000030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15925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2:59:25.21654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분진으로 인한 호흡기 자극은 분말 소화약제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, 선택 이유가 아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
  ]
}
✓ Success full_upload

Applied: 2025-11-01 21:59:25

Elements Added

100

Elements Updated

0

차시 목록 Affected

4

Summary: 100 elements added, 4 lessons affected

View Patch JSON
{
  "elements": [
    {
      "_id": "20000251-0000-4000-8000-00000000025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4류 위험물 중 알코올류에 대한 소화 시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소화약제는 무엇인가?</p><p>① 이산화탄소</p><p>② 포말소화약제</p><p>③ 물</p><p>④ 분말소화약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51-0000-4000-9000-00000000025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1-0000-4000-9000-00000000025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알코올류는 수용성 물질로, 일반 물로 소화 시 오히려 화재가 확산될 수 있어 포말소화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. 이산화탄소와 분말소화약제도 사용 가능하지만, 포말이 가장 효과적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2-0000-4000-8000-00000000025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4류 위험물인 아세톤 화재를 진압할 때 가장 적합한 소화방법은 무엇인가?</p><p>① 물을 직접 분사한다</p><p>② 포말을 사용하여 질식시킨다</p><p>③ 분말소화약제를 이용한다</p><p>④ 모래로 덮어 소화한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52-0000-4000-9000-00000000025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2-0000-4000-9000-00000000025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아세톤은 휘발성 유기용제로 포말소화약제가 효과적이며, 물은 확산 가능성이 있어 적절하지 않다. 분말소화약제도 사용 가능하지만 포말이 우선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3-0000-4000-8000-00000000025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성상과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고체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</p><p>② 주로 산화성이 강한 물질이 포함된다</p><p>③ 주로 가연성 액체로 분류된다</p><p>④ 주로 가스 상태로 취급된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53-0000-4000-9000-00000000025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3-0000-4000-9000-00000000025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 및 액체가 포함되며 산화성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. 고체가 많으나 가연성 액체는 주로 제4류에 해당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4-0000-4000-8000-00000000025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산화수소수는 제5류 위험물 중 어떤 성질 때문에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한가?</p><p>① 산화성이 강해 발화 위험이 있다</p><p>② 인화점이 매우 낮다</p><p>③ 독성이 강해 인체에 해롭다</p><p>④ 수용성이 낮아 저장이 어렵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54-0000-4000-9000-00000000025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4-0000-4000-9000-00000000025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산화수소수는 강한 산화성으로 인해 발화 및 폭발 위험이 크므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5-0000-4000-8000-00000000025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을 저장할 때 지켜야 할 일반적인 기준으로 옳지 <u>않은</u> 것은?</p><p>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저장한다</p><p>② 직사광선을 피해서 저장한다</p><p>③ 가연성 물질과 혼합하여 저장한다</p><p>④ 온도 변화가 적은 곳에 저장한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55-0000-4000-9000-00000000025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5-0000-4000-9000-00000000025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은 가연성 물질과 혼합 저장하면 위험하므로 반드시 분리하여 저장해야 한다. 통풍, 직사광선 회피, 온도 안정성 확보는 필수 조건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6-0000-4000-8000-00000000025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저장시설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?</p><p>① 저장시설은 방폭구조가 필요 없다</p><p>② 저장 용기는 금속재질을 원칙으로 한다</p><p>③ 저장시설은 습기가 많아도 무방하다</p><p>④ 저장시설은 밀폐형으로 환기가 불필요하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56-0000-4000-9000-00000000025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6-0000-4000-9000-00000000025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저장 용기는 주로 금속재질을 사용하며 방폭구조가 필요하고 습기 및 환기에 주의해야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7-0000-4000-8000-00000000025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취급 시 안전수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흡연과 발화원 근처에서 작업한다</p><p>②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작업한다</p><p>③ 밀폐된 공간에서 대량 취급한다</p><p>④ 인화점이 낮은 곳에서 가열한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57-0000-4000-9000-00000000025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7-0000-4000-9000-00000000025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은 산화성이 강하므로 보호장비 착용과 발화원 제거가 필수이며, 밀폐공간과 가열은 위험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8-0000-4000-8000-00000000025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소화 시 주로 사용되는 소화약제로 옳은 것은?</p><p>① 물</p><p>② 포말</p><p>③ 분말</p><p>④ 이산화탄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58-0000-4000-9000-00000000025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8-0000-4000-9000-00000000025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 및 액체로 분말 소화약제가 효과적이며, 물은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부적합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9-0000-4000-8000-00000000025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산화칼륨을 포함한 제5류 위험물의 화재 진압 시 적합한 소화방법은?</p><p>① 물 분사</p><p>② 포말 소화</p><p>③ 분말 소화</p><p>④ 모래 덮기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59-0000-4000-9000-00000000025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59-0000-4000-9000-00000000025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산화칼륨 등 산화성 고체는 분말 소화약제를 사용해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적합하다. 물은 반응성이 커서 위험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0-0000-4000-8000-00000000026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이 산소 공급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?</p><p>① 높은 인화점</p><p>② 강한 산화성</p><p>③ 낮은 발화점</p><p>④ 가연성 성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60-0000-4000-9000-00000000026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0-0000-4000-9000-00000000026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은 강한 산화성으로 인해 주변 가연물의 연소를 촉진시키는 산소 공급원 역할을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1-0000-4000-8000-00000000026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중 과망간산칼륨의 취급 시 주의사항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유기물과 접촉을 피한다</p><p>② 높은 온도에서 보관한다</p><p>③ 수분과 혼합하여 보관한다</p><p>④ 산성 용액과 혼합한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61-0000-4000-9000-00000000026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1-0000-4000-9000-00000000026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망간산칼륨은 유기물과 접촉 시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분리하여 취급해야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2-0000-4000-8000-00000000026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온도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온도가 높으면 산화 반응이 촉진되어 화재 위험이 증가한다</p><p>② 온도 변화는 무관하다</p><p>③ 낮은 온도에서 저장하면 반응성이 증가한다</p><p>④ 온도는 저장 장소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62-0000-4000-9000-00000000026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2-0000-4000-9000-00000000026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온도가 높아지면 산화 반응 속도가 빨라져 발화 위험이 높아지므로 온도 관리가 중요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3-0000-4000-8000-00000000026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적합하지 <u>않은</u> 장소는?</p><p>① 습기가 적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</p><p>② 직사광선이 강한 장소</p><p>③ 온도 변화가 적은 장소</p><p>④ 화기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63-0000-4000-9000-00000000026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3-0000-4000-9000-00000000026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직사광선이 강한 장소는 온도 상승으로 화재 위험이 커지므로 피해야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4-0000-4000-8000-00000000026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소화방법 중 분말 소화약제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물과 혼합하여 사용한다</p><p>② 호흡기 보호구를 착용한다</p><p>③ 분말이 습기를 잘 흡수하므로 습도 관리는 무관하다</p><p>④ 분말 소화약제는 산성 물질에는 사용하지 않는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64-0000-4000-9000-00000000026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4-0000-4000-9000-00000000026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분말 소화약제 사용 시 분진이 발생하여 호흡기 자극이 심하므로 보호구 착용이 필수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5-0000-4000-8000-00000000026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중 과산화물 화재의 특성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물과 접촉 시 발화하거나 폭발할 수 있다</p><p>② 산소 공급원이 아니므로 물로만 진압한다</p><p>③ 연소 시 독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</p><p>④ 포말 소화약제가 가장 효과적이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65-0000-4000-9000-00000000026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5-0000-4000-9000-00000000026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산화물은 물과 접촉 시 발화 또는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6-0000-4000-8000-00000000026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취급 시 산소 농도에 대한 관리 기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산소 농도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21\\%\\)</span> 이상으로 유지한다</p><p>② 산소 농도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16\\%\\)</span> 이하로 유지한다</p><p>③ 산소 농도는 중요하지 않다</p><p>④ 산소 농도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30\\%\\)</span> 이상으로 유지한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66-0000-4000-9000-00000000026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6-0000-4000-9000-00000000026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소 농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16\\%\\)</span> 이하로 유지하면 연소가 어려워져 화재 예방에 효과적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7-0000-4000-8000-00000000026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용기 라벨에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제조 일자와 취급자 이름</p><p>② 위험물의 종류와 성상</p><p>③ 보관 장소와 온도</p><p>④ 소화약제 종류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67-0000-4000-9000-00000000026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7-0000-4000-9000-00000000026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용기 라벨에는 위험물의 종류와 성상을 명확히 표시하여 취급 시 혼동을 방지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8-0000-4000-8000-00000000026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소화 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경우 적합한 상황은?</p><p>① 산화성 고체 화재</p><p>② 밀폐된 공간 내 화재</p><p>③ 수용성 액체 화재</p><p>④ 대형 개방 화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68-0000-4000-9000-00000000026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8-0000-4000-9000-00000000026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산화탄소는 산소를 배제하여 밀폐 공간에서 화재 진압에 효과적이나, 개방된 공간이나 산화성 고체에는 부적합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9-0000-4000-8000-00000000026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중 과산화수소수의 저장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금속 용기에 저장한다</p><p>②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에 저장한다</p><p>③ 산소 공급원이 되는 물질과 혼합 저장한다</p><p>④ 열에 강한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한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69-0000-4000-9000-00000000026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69-0000-4000-9000-00000000026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산화수소수는 빛과 열에 분해되기 쉬우므로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한 곳에 저장해야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0-0000-4000-8000-00000000027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소화 시 물을 사용하는 것이 <u>적합하지 않은</u> 경우는?</p><p>① 산화성 고체 화재</p><p>② 액체 화재</p><p>③ 가연성 기체 화재</p><p>④ 금속 화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70-0000-4000-9000-00000000027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0-0000-4000-9000-00000000027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화성 고체는 물과 반응하여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물 사용이 부적합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1-0000-4000-8000-00000000027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산화성 물질이 주변 가연물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연소를 억제한다</p><p>② 연소를 촉진한다</p><p>③ 가연물의 냉각 효과를 준다</p><p>④ 연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71-0000-4000-9000-00000000027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1-0000-4000-9000-00000000027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화성 물질은 주변 가연물의 연소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2-0000-4000-8000-00000000027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취급 시 안전관리자의 역할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취급 장소 내 흡연 허용</p><p>② 위험물 취급 작업자의 교육 및 감독</p><p>③ 소화기 점검을 생략한다</p><p>④ 위험물 저장량을 무제한으로 허용한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72-0000-4000-9000-00000000027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2-0000-4000-9000-00000000027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안전관리자는 위험물 취급자의 교육과 감독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3-0000-4000-8000-00000000027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화재 발생 시 분말 소화약제 사용 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?</p><p>① 분말이 물과 반응하는지 확인한다</p><p>② 분진 흡입으로 인한 호흡기 보호</p><p>③ 분말의 산화성 여부를 무시한다</p><p>④ 분말 소화약제는 가연성 가스에만 사용한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73-0000-4000-9000-00000000027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3-0000-4000-9000-00000000027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분말 소화약제 사용 시 분진 발생으로 호흡기 자극이 심하므로 반드시 호흡기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4-0000-4000-8000-00000000027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저장 용기에 적용되는 규격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플라스틱 용기만 허용된다</p><p>② 금속 용기는 부식 방지 처리가 필수이다</p><p>③ 유리 용기가 가장 안전하다</p><p>④ 용기 소재는 중요하지 않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74-0000-4000-9000-00000000027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4-0000-4000-9000-00000000027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금속 용기는 부식 방지 처리를 하여 내용물과의 반응을 방지해야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5-0000-4000-8000-00000000027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인 과산화물 화재를 진압할 때 사용할 수 <u>없는</u> 소화약제는?</p><p>① 분말 소화약제</p><p>② 이산화탄소 소화약제</p><p>③ 물</p><p>④ 포말 소화약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75-0000-4000-9000-00000000027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5-0000-4000-9000-00000000027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산화물은 물과 접촉 시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물 사용은 금지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6-0000-4000-8000-00000000027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중 과망간산칼륨 저장 시 적합한 보관 조건은?</p><p>① 산성 용액과 혼합하여 보관</p><p>② 서늘하고 건조한 장소에 보관</p><p>③ 직사광선이 강한 장소에 보관</p><p>④ 가연성 물질과 혼합 보관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76-0000-4000-9000-00000000027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6-0000-4000-9000-00000000027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망간산칼륨은 서늘하고 건조한 장소에서 보관하여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7-0000-4000-8000-00000000027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화재 발생 시 포말 소화약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?</p><p>① 모든 제5류 위험물 화재</p><p>② 산화성 액체가 포함된 경우</p><p>③ 산화성 고체 화재</p><p>④ 금속 화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77-0000-4000-9000-00000000027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7-0000-4000-9000-00000000027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화성 액체에 대해서는 포말 소화약제가 사용 가능하나, 고체나 금속 화재에는 적합하지 않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8-0000-4000-8000-00000000027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산소와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하는 주된 이유는?</p><p>① 부식 방지</p><p>② 산화 반응 촉진 방지</p><p>③ 냉각 효과</p><p>④ 중화 반응 유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78-0000-4000-9000-00000000027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8-0000-4000-9000-00000000027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소와 접촉하면 산화 반응이 촉진되어 화재 위험이 증가하므로 최소화해야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9-0000-4000-8000-00000000027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취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중 산소 농도 증가로 인한 위험은 무엇인가?</p><p>① 폭발 위험 감소</p><p>② 연소 촉진 및 폭발 위험 증가</p><p>③ 독성 가스 발생 감소</p><p>④ 산화성 감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79-0000-4000-9000-00000000027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79-0000-4000-9000-00000000027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소 농도가 증가하면 연소가 촉진되어 폭발 위험이 커진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0-0000-4000-8000-00000000028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취급 시 작업자에게 가장 필요한 안전장비는?</p><p>① 방독 마스크</p><p>② 방화복</p><p>③ 절연 장갑</p><p>④ 안전모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80-0000-4000-9000-00000000028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0-0000-4000-9000-00000000028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화성 물질로 인한 유해 가스 발생 가능성 때문에 방독 마스크 착용이 필수적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1-0000-4000-8000-00000000028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소화 시 분말 소화약제의 주요 작용기전은?</p><p>① 산소 공급 차단</p><p>② 열 차단 및 화학 반응 억제</p><p>③ 물리적 냉각</p><p>④ 질식 작용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81-0000-4000-9000-00000000028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1-0000-4000-9000-00000000028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분말 소화약제는 화학 반응을 억제하며 열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2-0000-4000-8000-00000000028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중 과산화물의 특성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산화성이 강하다</p><p>② 물과 접촉 시 반응이 일어난다</p><p>③ 인화점이 매우 높다</p><p>④ 발화 및 폭발 위험이 있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82-0000-4000-9000-00000000028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2-0000-4000-9000-00000000028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산화물은 인화점이 낮고 물과 접촉 시 위험한 반응을 일으킨다. 따라서 인화점이 높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3-0000-4000-8000-00000000028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용기 손상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내용물 누출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위험</p><p>② 내용물의 무해화</p><p>③ 화재 진압 용이</p><p>④ 저장 용기 내 압력 감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83-0000-4000-9000-00000000028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3-0000-4000-9000-00000000028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용기 손상 시 내용물이 누출되어 화재나 폭발 위험이 커진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4-0000-4000-8000-00000000028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취급 시 작업장 내 화기 사용에 대한 규정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화기 사용은 장소 제한 없이 가능하다</p><p>② 화기 사용은 위험물 저장소 내에서만 허용된다</p><p>③ 화기 사용은 엄격히 금지되며 관리자의 승인이 필요하다</p><p>④ 화기 사용 시 분말 소화약제는 필수적이지 않다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84-0000-4000-9000-00000000028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4-0000-4000-9000-00000000028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위험물 취급 시 화기 사용은 엄격히 금지되며 반드시 관리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5-0000-4000-8000-00000000028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화재 진압 시 포말 소화약제가 효과적인 이유는?</p><p>①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를 억제하기 때문</p><p>② 냉각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</p><p>③ 분진 발생이 적기 때문</p><p>④ 산화성 물질과 반응하여 소화 효과가 높기 때문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85-0000-4000-9000-00000000028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5-0000-4000-9000-00000000028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포말 소화약제는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를 억제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6-0000-4000-8000-00000000028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중 과망간산칼륨 화재 진압에 적합한 소화약제는?</p><p>① 물</p><p>② 분말</p><p>③ 이산화탄소</p><p>④ 포말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86-0000-4000-9000-00000000028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6-0000-4000-9000-00000000028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망간산칼륨은 산화성 고체로 분말 소화약제가 적합하며, 물은 반응 위험으로 부적합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7-0000-4000-8000-00000000028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저장 용기가 부식되었을 경우 발생 가능한 문제는?</p><p>① 저장물질의 화학적 변질</p><p>② 저장 용기의 압력 상승</p><p>③ 소화약제의 성능 향상</p><p>④ 취급자의 안전성 증가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87-0000-4000-9000-00000000028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7-0000-4000-9000-00000000028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부식된 저장 용기는 내용물과 반응하여 화학적 변질 및 누출 위험이 커진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8-0000-4000-8000-00000000028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취급 시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조치로 적절한 것은?</p><p>① 누출 방지 및 신속한 처리</p><p>② 취급 후 세척 없이 방치</p><p>③ 폐기물 혼합 보관</p><p>④ 폐기물 무단 배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88-0000-4000-9000-00000000028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8-0000-4000-9000-00000000028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누출 사고 예방과 발생 시 신속한 처리가 환경오염 방지에 필수적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9-0000-4000-8000-00000000028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중 과산화수소수의 주된 위험성은?</p><p>① 독성 가스 발생</p><p>② 강한 산화성으로 인한 발화 위험</p><p>③ 중독성</p><p>④ 무취성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89-0000-4000-9000-00000000028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89-0000-4000-9000-00000000028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산화수소수는 산화성이 강해 발화 및 폭발 위험이 크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0-0000-4000-8000-00000000029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 시 작업장 내 통풍이 중요한 이유는?</p><p>① 작업자의 쾌적성 유지</p><p>② 유해가스 및 증기의 축적 방지</p><p>③ 온도 상승 방지</p><p>④ 습기 공급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90-0000-4000-9000-00000000029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0-0000-4000-9000-00000000029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통풍은 유해가스와 증기 축적을 방지하여 작업장 안전을 확보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1-0000-4000-8000-00000000029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소화 시 분말 소화약제의 사용 목적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화학 반응 억제</p><p>② 열 차단</p><p>③ 산소 공급</p><p>④ 연소 확산 방지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91-0000-4000-9000-00000000029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1-0000-4000-9000-00000000029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분말 소화약제는 산소 공급이 아니라 차단하여 연소를 억제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2-0000-4000-8000-00000000029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저장 용기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원인으로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온도 상승에 따른 증기압 증가</p><p>② 용기 외부 압력 감소</p><p>③ 내용물의 안정성 향상</p><p>④ 분말 소화약제 영향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92-0000-4000-9000-00000000029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2-0000-4000-9000-00000000029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온도 상승으로 인해 내용물의 증기압이 증가하여 용기 내부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3-0000-4000-8000-00000000029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취급장소에서 흡연이 <u>허용되는</u> 경우는?</p><p>① 위험물 저장소 외부 안전구역</p><p>② 위험물 취급 작업장 내부</p><p>③ 밀폐된 저장시설 내부</p><p>④ 작업 중 모든 장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93-0000-4000-9000-00000000029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3-0000-4000-9000-00000000029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흡연은 위험물 취급 작업장 및 저장시설 내에서는 엄격히 금지되며, 안전구역에서만 허용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4-0000-4000-8000-00000000029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소화 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가 <u>가장 효과적인</u> 상황은?</p><p>① 밀폐 공간 내 화재</p><p>② 대형 개방 화재</p><p>③ 산화성 고체 화재</p><p>④ 연소 중인 기름 화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94-0000-4000-9000-00000000029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4-0000-4000-9000-00000000029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산화탄소는 밀폐 공간 내에서 산소 배제를 통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5-0000-4000-8000-00000000029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중 과망간산칼륨의 주요 용도는 무엇인가?</p><p>① 산화제</p><p>② 환원제</p><p>③ 연료</p><p>④ 소화약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95-0000-4000-9000-00000000029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5-0000-4000-9000-00000000029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망간산칼륨은 산화성 물질로 산화제로 주로 사용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6-0000-4000-8000-00000000029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저장 시 용기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환경 문제는?</p><p>① 중화 반응</p><p>② 누출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</p><p>③ 소화 효과 증가</p><p>④ 산소 농도 저하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96-0000-4000-9000-00000000029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6-0000-4000-9000-00000000029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저장 용기 손상 시 위험물이 누출되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7-0000-4000-8000-00000000029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 시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온도 및 습도 조절</p><p>② 산소 공급 확대</p><p>③ 가연성 물질과 혼합 저장</p><p>④ 밀폐 저장 용기 미사용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97-0000-4000-9000-00000000029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7-0000-4000-9000-00000000029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온도와 습도 조절로 위험물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화재 위험성을 감소시킨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8-0000-4000-8000-00000000029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화재진압 시 포말 소화약제 사용 시 주로 기대하는 효과는?</p><p>① 냉각 작용 및 산소 차단</p><p>② 화학 반응 촉진</p><p>③ 분진 발생 억제</p><p>④ 산화 촉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98-0000-4000-9000-00000000029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8-0000-4000-9000-00000000029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포말 소화약제는 냉각과 산소 차단을 통해 연소를 억제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9-0000-4000-8000-00000000029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중 과산화수소수를 저장할 때 적용되는 주요 안전 규정은?</p><p>① 직사광선 차단 및 낮은 온도 유지</p><p>② 고온 유지 및 산소 공급</p><p>③ 가연성 물질과 혼합 보관</p><p>④ 밀폐 용기 미사용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299-0000-4000-9000-00000000029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299-0000-4000-9000-00000000029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과산화수소수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한 온도를 유지해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300-0000-4000-8000-00000000030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 소화 시 분말 소화약제를 선택하는 이유로 적절하지 <u>않은</u> 것은?</p><p>① 화학 반응 억제 효과</p><p>② 분진으로 인한 호흡기 자극</p><p>③ 열 차단 작용</p><p>④ 연소 확산 방지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20000300-0000-4000-9000-00000000030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20000300-0000-4000-9000-00000000030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분진으로 인한 호흡기 자극은 분말 소화약제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, 선택 이유가 아니다.</p>"
      }
    }
  ],
  "contents": [
    {
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c0000001-0000-4000-8000-000000000001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20000251-0000-4000-8000-000000000251",
            "20000252-0000-4000-8000-000000000252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c0000002-0000-4000-8000-000000000002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20000253-0000-4000-8000-000000000253",
            "20000254-0000-4000-8000-000000000254",
            "20000260-0000-4000-8000-000000000260",
            "20000261-0000-4000-8000-000000000261",
            "20000265-0000-4000-8000-000000000265",
            "20000271-0000-4000-8000-000000000271",
            "20000279-0000-4000-8000-000000000279",
            "20000282-0000-4000-8000-000000000282",
            "20000289-0000-4000-8000-000000000289",
            "20000295-0000-4000-8000-000000000295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c0000003-0000-4000-8000-000000000003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20000255-0000-4000-8000-000000000255",
            "20000256-0000-4000-8000-000000000256",
            "20000257-0000-4000-8000-000000000257",
            "20000262-0000-4000-8000-000000000262",
            "20000263-0000-4000-8000-000000000263",
            "20000266-0000-4000-8000-000000000266",
            "20000267-0000-4000-8000-000000000267",
            "20000269-0000-4000-8000-000000000269",
            "20000272-0000-4000-8000-000000000272",
            "20000274-0000-4000-8000-000000000274",
            "20000276-0000-4000-8000-000000000276",
            "20000278-0000-4000-8000-000000000278",
            "20000280-0000-4000-8000-000000000280",
            "20000283-0000-4000-8000-000000000283",
            "20000284-0000-4000-8000-000000000284",
            "20000287-0000-4000-8000-000000000287",
            "20000288-0000-4000-8000-000000000288",
            "20000290-0000-4000-8000-000000000290",
            "20000292-0000-4000-8000-000000000292",
            "20000293-0000-4000-8000-000000000293",
            "20000296-0000-4000-8000-000000000296",
            "20000297-0000-4000-8000-000000000297",
            "20000299-0000-4000-8000-000000000299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c0000004-0000-4000-8000-000000000004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20000258-0000-4000-8000-000000000258",
            "20000259-0000-4000-8000-000000000259",
            "20000264-0000-4000-8000-000000000264",
            "20000268-0000-4000-8000-000000000268",
            "20000270-0000-4000-8000-000000000270",
            "20000273-0000-4000-8000-000000000273",
            "20000275-0000-4000-8000-000000000275",
            "20000277-0000-4000-8000-000000000277",
            "20000281-0000-4000-8000-000000000281",
            "20000285-0000-4000-8000-000000000285",
            "20000286-0000-4000-8000-000000000286",
            "20000291-0000-4000-8000-000000000291",
            "20000294-0000-4000-8000-000000000294",
            "20000298-0000-4000-8000-000000000298",
            "20000300-0000-4000-8000-000000000300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
  ]
}
View Snapshot Before
{
  "__type": 2,
  "__version": 2,
  "course": {
    "_id": "b4e66dc5-0d14-4207-accc-a9f248089a36",
    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-new",
    "_type": 2,
    "_sub_type": 0,
    "_cdate": "2025-10-31 01:55:53.132409+00:00",
    "_udate": "2025-10-31 13:03:25.322824+00:00",
    "_year": 2025,
    "contents": [
      {
  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d1e2f3a4-b5c6-4d7e-8f9a-0b1c2d3e4f5a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,
  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  "7e9f3b1a-0a1b-4c2d-8e3f-4a5b6c7d8e9f",
              "10000001-0000-4000-8000-000000000001",
              "10000002-0000-4000-8000-000000000002",
              "10000004-0000-4000-8000-000000000004",
              "10000005-0000-4000-8000-000000000005",
              "10000006-0000-4000-8000-000000000006",
              "10000007-0000-4000-8000-000000000007",
              "10000008-0000-4000-8000-000000000008",
              "10000009-0000-4000-8000-000000000009",
              "1000000a-0000-4000-8000-00000000000a",
              "1000000f-0000-4000-8000-00000000000f",
              "10000015-0000-4000-8000-000000000015",
              "10000016-0000-4000-8000-000000000016",
              "1000001c-0000-4000-8000-00000000001c",
              "1000001d-0000-4000-8000-00000000001d",
              "10000021-0000-4000-8000-000000000021",
              "10000023-0000-4000-8000-000000000023",
              "10000026-0000-4000-8000-000000000026",
              "10000028-0000-4000-8000-000000000028",
              "1000002d-0000-4000-8000-00000000002d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e2f3a4b5-c6d7-4e8f-9a0b-1c2d3e4f5a6b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,
  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  "8f0a1b2c-3d4e-4f5a-b6c7-d8e9f0a1b2c3",
              "10000003-0000-4000-8000-000000000003",
              "1000000c-0000-4000-8000-00000000000c",
              "1000000d-0000-4000-8000-00000000000d",
              "1000000e-0000-4000-8000-00000000000e",
              "10000017-0000-4000-8000-000000000017",
              "10000019-0000-4000-8000-000000000019",
              "1000001a-0000-4000-8000-00000000001a",
              "10000024-0000-4000-8000-000000000024",
              "10000029-0000-4000-8000-000000000029",
              "1000002e-0000-4000-8000-00000000002e",
              "10000031-0000-4000-8000-000000000031",
              "10000032-0000-4000-8000-000000000032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f3a4b5c6-d7e8-4f9a-a0b1-c2d3e4f5a6b7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,
  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  "a2b3c4d5-e6f7-4a8b-b9c0-d1e2f3a4b5c6",
              "1000000b-0000-4000-8000-00000000000b",
              "10000010-0000-4000-8000-000000000010",
              "10000011-0000-4000-8000-000000000011",
              "10000012-0000-4000-8000-000000000012",
              "10000013-0000-4000-8000-000000000013",
              "10000014-0000-4000-8000-000000000014",
              "10000018-0000-4000-8000-000000000018",
              "1000001b-0000-4000-8000-00000000001b",
              "1000001e-0000-4000-8000-00000000001e",
              "1000001f-0000-4000-8000-00000000001f",
              "10000020-0000-4000-8000-000000000020",
              "10000022-0000-4000-8000-000000000022",
              "10000025-0000-4000-8000-000000000025",
              "10000027-0000-4000-8000-000000000027",
              "1000002a-0000-4000-8000-00000000002a",
              "1000002b-0000-4000-8000-00000000002b",
              "1000002c-0000-4000-8000-00000000002c",
              "1000002f-0000-4000-8000-00000000002f",
              "10000030-0000-4000-8000-000000000030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,
              0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
    ],
    "kls": [],
    "lists": [
      {
  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. 화재 및 소화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물질의 화학적 성질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d1e2f3a4-b5c6-4d7e-8f9a-0b1c2d3e4f5a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화재 및 소화이론의 이해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e2f3a4b5-c6d7-4e8f-9a0b-1c2d3e4f5a6b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약제 및 소방시설의 기초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f3a4b5c6-d7e8-4f9a-a0b1-c2d3e4f5a6b7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,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2. 제1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3. 제2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4. 제3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5. 제4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6. 제5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7. 제6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8. 위험물 운송·운반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운송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운반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9. 위험물 제조소 등의 유지관리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제조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저장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위험물 취급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4.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점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0. 위험물 저장·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저장 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취급 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1. 위험물안전관리 감독 및 행정처리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시설 유지관리감독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행정사항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
    ]
  },
  "elements": [
    {
      "_id": "7e9f3b1a-0a1b-4c2d-8e3f-4a5b6c7d8e9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56:01.11799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111「위험물안전관리법」 상 '지정수량'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지닌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지정 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제조 외의 목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장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위험물 시설 또는 그 구성 부분의 주위에 확보해야 할 절대공간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a2b3c4d-5e6f-4a7b-8c9d-0e1f2a3b4c5d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a2b3c4d-5e6f-4a7b-8c9d-0e1f2a3b4c5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07:32.58588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'지정수량'이란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,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을 말합니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은 '위험물'의 정의입니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은 '취급소'의 정의입니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는 '보유 공지'의 정의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8f0a1b2c-3d4e-4f5a-b6c7-d8e9f0a1b2c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07:32.59207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다음 소화 방법 중 연소의 3요소(가연물, 산소 공급원, 점화원)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 \\u003cu\\u003e아닌\\u003c/u\\u003e, 화학적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제거소화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질식소화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냉각소화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억제소화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4\",\"level\":3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9a1b2c3d-4e5f-4a6b-b7c8-d9e0f1a2b3c4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9a1b2c3d-4e5f-4a6b-b7c8-d9e0f1a2b3c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07:32.60248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억제소화(부촉매 소화)는 연소의 4요소 중 하나인 화학적 연쇄반응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입니다. 제거소화는 가연물을 제거하는 방법, 질식소화는 산소 공급원을 차단하는 방법, 냉각소화는 점화원(열)을 제거하여 발화점 이하로 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모두 연소의 3요소를 제어하는 원리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a2b3c4d5-e6f7-4a8b-b9c0-d1e2f3a4b5c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07:32.61808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이산화탄소(CO₂) 소화약제는 질식소화 및 냉각소화 효과가 있으나, 특정 위험물 화재에는 적응성이 \\u003cu\\u003e없다\\u003c/u\\u003e. 다음 중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위험물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제2류 위험물 (가연성 고체)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제4류 위험물 (인화성 액체)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제5류 위험물 (자기반응성 물질)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제6류 위험물 (산화성 액체)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4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b3c4d5e6-f7a8-4b9c-bad1-e2f3a4b5c6d7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b3c4d5e6-f7a8-4b9c-bad1-e2f3a4b5c6d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07:32.63230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(자기반응성 물질)은 분자 내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외부의 산소 공급 차단(질식소화)만으로는 소화가 어렵습니다. 따라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제5류 위험물에 비적응성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1-0000-4000-8000-00000000000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12391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의 4대 요소 중에서 연소가 지속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질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수소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1-0000-4000-9000-000000000001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1-0000-4000-9000-00000000000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17907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연소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가연물, 산소, 점화원, 그리고 연쇄반응의 4대 요소가 필요하다. 질소나 이산화탄소는 연소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2-0000-4000-8000-00000000000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18592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가연물의 연소속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습도 증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가연물의 입자 크기 감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소 농도 감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소 온도 감소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2-0000-4000-9000-000000000002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2-0000-4000-9000-00000000000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19532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가연물 입자가 작아질수록 표면적이 증가하여 연소속도가 빨라진다. 습도 증가나 산소 농도 감소, 연소 온도 감소는 연소속도를 낮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3-0000-4000-8000-00000000000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21201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의 종류 중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분류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A급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B급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C급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D급 화재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3-0000-4000-9000-000000000003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3-0000-4000-9000-00000000000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22687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C급 화재는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화재로, 전기적 특성을 고려한 소화방법이 필요하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전기기기 화재는 C급 화재로 분류되며, 정답은 ③번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4-0000-4000-8000-00000000000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23867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연소 과정에서 연쇄 반응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열과 빛이 발생하는 현상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가연물과 산소가 결합하는 과정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반응 생성물이 다시 반응을 지속시키는 과정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소가 끝난 상태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4-0000-4000-9000-000000000004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4-0000-4000-9000-00000000000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25301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연쇄 반응은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활성 입자가 연쇄적으로 반응을 계속하여 연소를 유지시키는 과정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5-0000-4000-8000-00000000000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26097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가연성 가스의 발화점과 관련이 \\u003cu\\u003e않은\\u003c/u\\u003e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발화점은 가스가 스스로 연소하는 최저 온도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발화점은 압력과 관계가 있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발화점이 낮을수록 화재 위험이 높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발화점은 가연성 가스의 색깔에 따라 결정된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4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5-0000-4000-9000-000000000005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5-0000-4000-9000-00000000000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27128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발화점은 가연성 가스가 스스로 연소하는 최저 온도로, 압력 등 환경조건에 영향을 받지만 가스의 색깔과는 무관하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따라서 발화점이 가연성 가스의 색깔에 따라 결정된다는 ④번 선지는 사실과 다르며, 정답은 ④번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6-0000-4000-8000-00000000000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27613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확산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가연물의 종류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소화약제의 성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주변 온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의 색깔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6-0000-4000-9000-000000000006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6-0000-4000-9000-00000000000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28877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가연물의 종류에 따라 연소 속도와 화재 확산 속도가 크게 달라진다. 소화약제나 주변 온도도 영향을 미치지만 가연물 종류가 가장 직접적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7-0000-4000-8000-00000000000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29309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산소 농도가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10\\\\%\\\\)\\u003c/span\\u003e 이하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온도가 발화점 이상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가연물이 충분한 상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점화원이 존재하는 상태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7-0000-4000-9000-000000000007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7-0000-4000-9000-00000000000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29988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소 농도가 일정 수준 이하(약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10\\\\%\\\\)\\u003c/span\\u003e 이하)이면 연소가 유지되지 못하고 화재가 일어나지 않는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8-0000-4000-8000-00000000000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30455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삼요소 중 점화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불꽃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고온의 표면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가연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전기 스파크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8-0000-4000-9000-000000000008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8-0000-4000-9000-00000000000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31571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가연물은 연소에 필요한 요소이나 점화원은 아니며, 점화원에는 불꽃, 고온 표면, 전기 스파크 등이 포함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따라서 점화원에 해당하지 않는 가연물이 정답이며, 정답은 ③번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9-0000-4000-8000-00000000000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32797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의 연소 형태 중에서 불완전 연소의 결과로 발생하는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수증기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일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소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9-0000-4000-9000-000000000009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9-0000-4000-9000-00000000000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33902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불완전 연소 시 산소 부족으로 일산화탄소가 발생하며, 이는 매우 유독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a-0000-4000-8000-00000000000a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34293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다음 중 가연성 액체의 증기압이 높을수록 화재 위험이 \\u003cu\\u003e않은\\u003c/u\\u003e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증기 농도가 위험 범위 내에 쉽게 도달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발화점이 낮을 가능성이 크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증기가 빠르게 확산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증기압과는 관계없이 화재 위험은 일정하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4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a-0000-4000-9000-00000000000a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a-0000-4000-9000-00000000000a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35030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가연성 액체의 증기압이 높으면 증기가 쉽게 생성되어 화재 위험이 증가한다. 증기압과 화재 위험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b-0000-4000-8000-00000000000b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36067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소화가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소화약제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가연물을 추가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연쇄 반응을 촉진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연소에 필요한 요소를 차단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소 공급을 증가시킨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b-0000-4000-9000-00000000000b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b-0000-4000-9000-00000000000b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39048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소화약제는 연소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를 차단하거나 냉각하여 화재를 진압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정답은 ③번으로, 소화약제가 연소에 필요한 요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해야 소화가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c-0000-4000-8000-00000000000c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39529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에서 '발화점'과 '인화점'의 차이점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발화점은 불이 붙는 온도, 인화점은 증기가 연소하는 최저 온도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인화점은 불이 붙는 온도, 발화점은 증기가 연소하는 최저 온도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발화점과 인화점은 같은 의미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발화점은 연소를 유지하는 최소 온도, 인화점은 연소 시작 온도이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c-0000-4000-9000-00000000000c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c-0000-4000-9000-00000000000c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0117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발화점은 가연물이 스스로 연소하는 최저 온도이며, 인화점은 가연성 증기가 공기와 혼합되어 점화원에 의해 불이 붙는 최저 온도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d-0000-4000-8000-00000000000d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1083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의 연쇄 반응을 차단하는 소화 약제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냉각 작용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질식 작용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희석 작용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화학적 억제 작용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4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d-0000-4000-9000-00000000000d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d-0000-4000-9000-00000000000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1785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학적 억제 작용은 연쇄 반응을 차단하여 연소를 중단시키는 것으로, 할론 소화약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e-0000-4000-8000-00000000000e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2151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다음 중 화재의 3요소에서 산소 농도가 떨어지면 연소가 중단되는 이유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연쇄 반응이 빨라지기 때문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가연물이 소진되기 때문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연소 반응이 지속되지 못하기 때문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점화원이 없어지기 때문이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e-0000-4000-9000-00000000000e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e-0000-4000-9000-00000000000e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3112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소는 연소 반응에 필수적이며,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연소에 필요한 산화제가 부족해져 연소가 중단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f-0000-4000-8000-00000000000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4205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가연성 가스의 폭발 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폭발 한계는 가연성 가스가 공기 중에서 연소할 수 있는 농도 범위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폭발 한계는 온도와 무관하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폭발 하한계가 상한계보다 높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폭발 한계는 가연성 가스의 색깔에 따라 달라진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0f-0000-4000-9000-00000000000f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f-0000-4000-9000-00000000000f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5076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폭발 한계는 가연성 가스가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 또는 폭발할 수 있는 최소 및 최대 농도 범위를 의미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따라서 폭발 한계는 '가연성 가스'가 '공기 중'에서 연소 가능한 '농도 범위'를 나타내는 것이 핵심 키워드입니다. 정답은 ①번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0-0000-4000-8000-00000000001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5485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소화 약제의 냉각 작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할론류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폼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0-0000-4000-9000-000000000010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0-0000-4000-9000-00000000001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6035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할론류는 화학적 억제 작용을 통해 연쇄 반응을 차단하며, 냉각 작용은 주로 물과 폼이 한다. 이산화탄소는 질식 작용을 주로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1-0000-4000-8000-00000000001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6359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소화기의 적절한 사용법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소화기 노즐을 불꽃에 직접 대고 사용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불꽃이 아닌 연소 물질의 근처에 분사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바람을 등지고 소화기를 사용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소화기를 흔들면서 분사한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1-0000-4000-9000-000000000011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1-0000-4000-9000-00000000001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7047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소화기 사용 시 바람을 등지고 사용해야 소화약제가 역류하거나 흩어지지 않고 효과적으로 분사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2-0000-4000-8000-00000000001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7505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소화약제 중에서 유류화재에 가장 적합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할론류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포소화약제(폼)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4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2-0000-4000-9000-000000000012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2-0000-4000-9000-00000000001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8172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유류화재는 물을 사용하면 확산 위험이 있으므로, 포소화약제(폼)를 사용하여 유류 표면을 덮어 질식시킨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3-0000-4000-8000-00000000001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8482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는 원리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연기 감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온도 상승에 따른 감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소화약제 감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불꽃 감지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3-0000-4000-9000-000000000013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3-0000-4000-9000-00000000001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9114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스프링클러는 온도가 일정 기준 이상 상승하면 내장된 유리관이 파열되어 소화약제가 방출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따라서 스프링클러는 '온도 상승에 따른 감지' 원리를 이용하며, 정답은 ②번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4-0000-4000-8000-00000000001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49439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현장에서 질식 소화약제가 주로 사용되는 화재 종류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A급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B급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C급 화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D급 화재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4-0000-4000-9000-000000000014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4-0000-4000-9000-00000000001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0111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C급 화재(전기화재)에는 전기 절연성이 좋은 이산화탄소 등 질식 소화약제가 적합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5-0000-4000-8000-00000000001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2392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의 유해 성분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수증기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일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질소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5-0000-4000-9000-000000000015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5-0000-4000-9000-00000000001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3531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유독가스로서 화재 시 가장 위험한 유해 성분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6-0000-4000-8000-00000000001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3949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연소의 3요소에 포함되는 가연물의 성질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전기 전도성이 좋아야 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발화점이 낮아야 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점화원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소가 풍부해야 한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6-0000-4000-9000-000000000016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6-0000-4000-9000-00000000001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4739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가연물은 발화점이 낮을수록 연소가 쉽게 일어나며, 전기 전도성이나 점화원 포함 여부와는 무관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7-0000-4000-8000-00000000001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5317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가 확산되는 주된 경로가 아닌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복사열 전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대류열 전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전도열 전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전자기파 전달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4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7-0000-4000-9000-000000000017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7-0000-4000-9000-00000000001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5865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확산은 주로 복사, 대류, 전도를 통해 일어나며 전자기파 전달은 화재 확산 경로가 아니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따라서 화재 확산의 주된 경로가 아닌 것은 전자기파 전달이며, 정답은 ④번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8-0000-4000-8000-00000000001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6222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소화약제 분말 소화기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전기화재에 사용 가능하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잔류물이 전혀 남지 않는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대규모 화재에 적합하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물과 혼합하여 사용한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8-0000-4000-9000-000000000018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8-0000-4000-9000-00000000001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7337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분말 소화기는 전기화재에 사용 가능하며, 소화 효과가 빠르나 잔류물이 남을 수 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9-0000-4000-8000-00000000001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8562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발생 시 연소를 억제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소화 방법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냉각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가열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가연물 공급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소 공급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9-0000-4000-9000-000000000019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9-0000-4000-9000-00000000001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9180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연소 온도를 낮추는 냉각은 화재 진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a-0000-4000-8000-00000000001a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59511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소 농도가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15\\\\%\\\\)\\u003c/span\\u003e 이하일 때의 화재 상태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완전 연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불완전 연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연소 중단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폭발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a-0000-4000-9000-00000000001a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a-0000-4000-9000-00000000001a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0122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소 농도가 약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15\\\\%\\\\)\\u003c/span\\u003e 이하로 떨어지면 연소가 유지되지 않고 중단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b-0000-4000-8000-00000000001b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0680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다음 중 소화약제의 질식 작용에 해당하는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할론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분말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b-0000-4000-9000-00000000001b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b-0000-4000-9000-00000000001b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1412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이산화탄소는 산소를 배제하여 질식 작용을 통해 화재를 진압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c-0000-4000-8000-00000000001c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1763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의 연소속도를 결정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가연물의 상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산소 농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소화기 종류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온도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c-0000-4000-9000-00000000001c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c-0000-4000-9000-00000000001c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2329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소화기 종류는 연소속도에 영향이 없으며, 가연물 상태, 산소 농도, 온도가 연소속도에 영향을 준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연소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는 가연물의 물리적 상태, 주변 산소 농도, 온도 등이 있으며 소화기 종류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따라서 정답은 ③번 소화기 종류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d-0000-4000-8000-00000000001d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2674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가연성 액체의 인화점이 낮을수록 화재 위험이 어떻게 되는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감소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증가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변화 없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불확실하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d-0000-4000-9000-00000000001d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d-0000-4000-9000-00000000001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3217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인화점이 낮으면 가연성 액체에서 증기가 쉽게 발생하여 화재 위험이 증가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e-0000-4000-8000-00000000001e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3542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발생 시 소화약제로 물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으로 올바른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전기화재에는 사용해도 무방하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유류화재에는 사용하지 않는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소 농도를 줄여 주는 역할을 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모든 화재에 효과적이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e-0000-4000-9000-00000000001e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e-0000-4000-9000-00000000001e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4592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물은 전기화재에 사용하면 감전 위험이 있으며, 유류화재에 사용 시 화재를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f-0000-4000-8000-00000000001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5208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스프링클러 작동 온도가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68^\\\\circ {\\\\rm C}\\\\)\\u003c/span\\u003e인 경우, 주변 온도가 이에 도달하면 스프링클러는 어떻게 되는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작동하지 않는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내장된 유리관이 파열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소화약제가 자동으로 보충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기 감지가 시작된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1f-0000-4000-9000-00000000001f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f-0000-4000-9000-00000000001f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5910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스프링클러는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유리관이 파열되어 소화약제가 분사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0-0000-4000-8000-00000000002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6224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에서 연소를 지속시키는 연쇄 반응을 차단하는 소화약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할론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포소화약제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0-0000-4000-9000-000000000020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0-0000-4000-9000-00000000002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6755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할론류 소화약제는 연쇄 반응을 화학적으로 차단하여 연소를 효과적으로 중단시킨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따라서 연쇄 반응 차단에 가장 적합한 소화약제는 할론이며, 정답은 ③번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1-0000-4000-8000-00000000002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7089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연소의 4요소 중 가연물의 특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발열량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점화온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소 농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인화점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1-0000-4000-9000-000000000021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1-0000-4000-9000-00000000002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7612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소 농도는 연소 환경의 요소이며, 가연물 특성에는 발열량, 점화온도, 인화점 등이 포함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가연물 특성은 연소에 직접 관련된 물질의 성질을 의미하며, 산소 농도는 연소를 돕는 외부 환경 요소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2-0000-4000-8000-00000000002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7919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소화약제를 선택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요소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화재 종류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소화약제의 색상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소화약제의 소화 능력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사용 장소의 특성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2-0000-4000-9000-000000000022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2-0000-4000-9000-00000000002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8516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소화약제의 색상은 소화 효과와 무관하며, 화재 종류, 소화 능력, 사용 장소 특성 등이 중요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3-0000-4000-8000-00000000002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8848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'인화점'이란 무엇인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가연물의 온도가 주어진 조건에서 증기가 불꽃에 의해 점화되는 최저 온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가연물이 스스로 연소하는 최저 온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화재가 끝나는 온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소화약제가 작동하는 온도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1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3-0000-4000-9000-000000000023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3-0000-4000-9000-00000000002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9448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인화점은 가연물의 증기가 공기와 혼합되어 불꽃에 의해 점화되는 최저 온도를 의미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4-0000-4000-8000-00000000002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69755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다음 중 화재 확산에서 대류열 전달이 주로 발생하는 상황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고체 표면을 통한 열 전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뜨거운 공기나 가스가 위로 상승하는 경우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열 복사를 통한 열 전달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전기 전도에 의한 열 이동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4-0000-4000-9000-000000000024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4-0000-4000-9000-00000000002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70376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대류열 전달은 고온의 공기나 가스가 상승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현상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따라서 대류열 전달이 주로 발생하는 상황은 '뜨거운 공기나 가스가 위로 상승하는 경우'이며, 정답은 ②번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5-0000-4000-8000-00000000002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71026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소화약제 중에서 전기화재에 사용하기 적합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할론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알칼리액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5-0000-4000-9000-000000000025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5-0000-4000-9000-00000000002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71639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이산화탄소는 전기 절연성이 있어 전기화재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6-0000-4000-8000-00000000002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71983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연기 발생이 심한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완전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불완전 연소로 유해 가스와 미세 입자가 생성되기 때문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소화약제가 많기 때문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산소 농도가 높기 때문이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6-0000-4000-9000-000000000026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6-0000-4000-9000-00000000002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72553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불완전 연소 시 탄화수소 등의 유해 가스와 미세 입자가 많이 발생하여 연기가 심하게 발생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7-0000-4000-8000-00000000002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72930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소화기의 압력 게이지가 녹색을 가리키는 의미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소화기가 방전된 상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소화기의 압력이 정상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소화기가 고장 난 상태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소화기 내 약제가 부족함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7-0000-4000-9000-000000000027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7-0000-4000-9000-00000000002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734438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압력 게이지가 녹색 영역을 가리키면 소화기의 압력이 정상이며 사용 가능함을 의미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8-0000-4000-8000-00000000002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73749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의 연소 과정에서 점화원이 하는 역할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가연물의 공급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연소를 촉진하는 산소 제공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연소를 시작하는 에너지 제공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쇄 반응의 억제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8-0000-4000-9000-000000000028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8-0000-4000-9000-00000000002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77473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점화원은 연소를 시작하기 위한 초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9-0000-4000-8000-00000000002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1149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소화약제의 '질식 작용'이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연소 반응에서 열을 제거하는 것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를 중단시키는 것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가연물을 냉각시키는 것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쇄 반응을 촉진하는 것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9-0000-4000-9000-000000000029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9-0000-4000-9000-00000000002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2999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질식 작용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연소를 중단시키는 소화 방법이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따라서 질식 작용은 '산소 공급 차단'을 통해 연소를 멈추게 하는 것이며, 정답은 ②번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a-0000-4000-8000-00000000002a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3337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소화약제의 '화학적 억제 작용'을 하는 약제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할론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폼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a-0000-4000-9000-00000000002a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a-0000-4000-9000-00000000002a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38447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할론은 연쇄 반응을 방해하여 화학적으로 연소를 억제하는 소화약제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b-0000-4000-8000-00000000002b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4161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 온도는 일반적으로 몇 도씨 이상인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30^\\\\circ {\\\\rm C}\\\\)\\u003c/span\\u003e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57^\\\\circ {\\\\rm C}\\\\)\\u003c/span\\u003e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68^\\\\circ {\\\\rm C}\\\\)\\u003c/span\\u003e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100^\\\\circ {\\\\rm C}\\\\)\\u003c/span\\u003e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b-0000-4000-9000-00000000002b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b-0000-4000-9000-00000000002b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4651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스프링클러 헤드는 일반적으로 \\u003cspan class='math-tex'\\u003e\\\\(68^\\\\circ {\\\\rm C}\\\\)\\u003c/span\\u003e 이상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c-0000-4000-8000-00000000002c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5037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다음 중 화재 시 소화약제의 냉각 작용을 이용하는 약제는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분말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이산화탄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할론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c-0000-4000-9000-00000000002c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c-0000-4000-9000-00000000002c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5648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물은 높은 비열과 증발열로 화재 현장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냉각 작용을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d-0000-4000-8000-00000000002d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6028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가연물의 입자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연소 속도는 어떻게 되는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느려진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빨라진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변화 없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불확실하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d-0000-4000-9000-00000000002d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d-0000-4000-9000-00000000002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65306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표면적이 증가하여 연소 속도가 빨라진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따라서 연소 속도는 입자 크기가 작아질 때 빨라지므로 정답은 ②번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e-0000-4000-8000-00000000002e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6805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에서 연소를 지속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가연물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점화원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열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e-0000-4000-9000-00000000002e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e-0000-4000-9000-00000000002e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7277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산소는 연소 반응에 필수적인 산화제로, 연소를 지속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f-0000-4000-8000-00000000002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7589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포소화약제(폼)의 소화 원리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연소에 필요한 열을 흡수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산소 공급을 차단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연쇄 반응을 억제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가연물의 온도를 상승시킨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2f-0000-4000-9000-00000000002f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f-0000-4000-9000-00000000002f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8052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포소화약제는 유류 등 화재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산소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소화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0-0000-4000-8000-00000000003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8352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소화기 사용 순서로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노즐 조준 → 안전핀 제거 → 압력 손잡이 누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안전핀 제거 → 노즐 조준 → 압력 손잡이 누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압력 손잡이 누름 → 안전핀 제거 → 노즐 조준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안전핀 제거 → 압력 손잡이 누름 → 노즐 조준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30-0000-4000-9000-000000000030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0-0000-4000-9000-00000000003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8822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소화기는 먼저 안전핀을 제거하고, 노즐을 불꽃에 조준한 후 압력 손잡이를 누르는 것이 올바른 사용법이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1-0000-4000-8000-00000000003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9118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의 연쇄 반응을 일으키는 활성 입자의 역할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연소에 필요한 열을 흡수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새로운 반응을 촉진하여 연소를 지속시킨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산소 농도를 낮춘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연소를 중단시킨다.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31-0000-4000-9000-000000000031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1-0000-4000-9000-00000000003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9601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활성 입자는 연쇄 반응을 통해 연소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정답은 ②번으로, 활성 입자는 '새로운 반응을 촉진하여 연소를 지속시키는' 역할을 한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2-0000-4000-8000-00000000003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898902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화재 시 연소를 억제하기 위한 소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냉각 작용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질식 작용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연쇄 반응 촉진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화학적 억제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0000032-0000-4000-9000-000000000032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2-0000-4000-9000-00000000003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203948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11:39:48.903803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연쇄 반응 촉진은 연소를 지속시키는 작용으로, 소화 목적에는 부적합하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
  ]
}
✓ Success full_upload

Applied: 2025-11-01 20:39:49

Elements Added

100

Elements Updated

0

차시 목록 Affected

3

Summary: 100 elements added, 3 lessons affected

View Patch JSON
{
  "elements": [
    {
      "_id": "10000001-0000-4000-8000-00000000000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4대 요소 중에서 연소가 지속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?</p><p>① 산소</p><p>② 질소</p><p>③ 이산화탄소</p><p>④ 수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1-0000-4000-9000-00000000000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1-0000-4000-9000-00000000000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연소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가연물, 산소, 점화원, 그리고 연쇄반응의 4대 요소가 필요하다. 질소나 이산화탄소는 연소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2-0000-4000-8000-00000000000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물의 연소속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습도 증가</p><p>② 가연물의 입자 크기 감소</p><p>③ 산소 농도 감소</p><p>④ 연소 온도 감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2-0000-4000-9000-00000000000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2-0000-4000-9000-00000000000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물 입자가 작아질수록 표면적이 증가하여 연소속도가 빨라진다. 습도 증가나 산소 농도 감소, 연소 온도 감소는 연소속도를 낮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3-0000-4000-8000-00000000000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종류 중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분류는?</p><p>① A급 화재</p><p>② B급 화재</p><p>③ C급 화재</p><p>④ D급 화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3-0000-4000-9000-00000000000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3-0000-4000-9000-00000000000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C급 화재는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화재로, 전기적 특성을 고려한 소화방법이 필요하다.</p><p>전기기기 화재는 C급 화재로 분류되며, 정답은 ③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4-0000-4000-8000-00000000000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연소 과정에서 연쇄 반응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?</p><p>① 열과 빛이 발생하는 현상</p><p>② 가연물과 산소가 결합하는 과정</p><p>③ 반응 생성물이 다시 반응을 지속시키는 과정</p><p>④ 연소가 끝난 상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4-0000-4000-9000-00000000000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4-0000-4000-9000-00000000000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연쇄 반응은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활성 입자가 연쇄적으로 반응을 계속하여 연소를 유지시키는 과정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5-0000-4000-8000-00000000000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성 가스의 발화점과 관련이 <u>않은</u> 것은?</p><p>① 발화점은 가스가 스스로 연소하는 최저 온도이다.</p><p>② 발화점은 압력과 관계가 있다.</p><p>③ 발화점이 낮을수록 화재 위험이 높다.</p><p>④ 발화점은 가연성 가스의 색깔에 따라 결정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5-0000-4000-9000-00000000000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5-0000-4000-9000-00000000000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발화점은 가연성 가스가 스스로 연소하는 최저 온도로, 압력 등 환경조건에 영향을 받지만 가스의 색깔과는 무관하다.</p><p>따라서 발화점이 가연성 가스의 색깔에 따라 결정된다는 ④번 선지는 사실과 다르며, 정답은 ④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6-0000-4000-8000-00000000000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확산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?</p><p>① 가연물의 종류</p><p>② 소화약제의 성분</p><p>③ 주변 온도</p><p>④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의 색깔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6-0000-4000-9000-00000000000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6-0000-4000-9000-00000000000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물의 종류에 따라 연소 속도와 화재 확산 속도가 크게 달라진다. 소화약제나 주변 온도도 영향을 미치지만 가연물 종류가 가장 직접적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7-0000-4000-8000-00000000000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산소 농도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10\\%\\)</span> 이하</p><p>② 온도가 발화점 이상</p><p>③ 가연물이 충분한 상태</p><p>④ 점화원이 존재하는 상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7-0000-4000-9000-00000000000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7-0000-4000-9000-00000000000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소 농도가 일정 수준 이하(약 <span class='math-tex'>\\(10\\%\\)</span> 이하)이면 연소가 유지되지 못하고 화재가 일어나지 않는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8-0000-4000-8000-00000000000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삼요소 중 점화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</p><p>① 불꽃</p><p>② 고온의 표면</p><p>③ 가연물</p><p>④ 전기 스파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8-0000-4000-9000-00000000000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8-0000-4000-9000-00000000000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물은 연소에 필요한 요소이나 점화원은 아니며, 점화원에는 불꽃, 고온 표면, 전기 스파크 등이 포함된다.</p><p>따라서 점화원에 해당하지 않는 가연물이 정답이며, 정답은 ③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9-0000-4000-8000-00000000000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연소 형태 중에서 불완전 연소의 결과로 발생하는 것은?</p><p>① 이산화탄소</p><p>② 수증기</p><p>③ 일산화탄소</p><p>④ 산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9-0000-4000-9000-00000000000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9-0000-4000-9000-00000000000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불완전 연소 시 산소 부족으로 일산화탄소가 발생하며, 이는 매우 유독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a-0000-4000-8000-00000000000a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가연성 액체의 증기압이 높을수록 화재 위험이 <u>않은</u> 것은?</p><p>① 증기 농도가 위험 범위 내에 쉽게 도달한다.</p><p>② 발화점이 낮을 가능성이 크다.</p><p>③ 증기가 빠르게 확산된다.</p><p>④ 증기압과는 관계없이 화재 위험은 일정하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a-0000-4000-9000-00000000000a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a-0000-4000-9000-00000000000a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성 액체의 증기압이 높으면 증기가 쉽게 생성되어 화재 위험이 증가한다. 증기압과 화재 위험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b-0000-4000-8000-00000000000b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소화가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소화약제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?</p><p>① 가연물을 추가한다.</p><p>② 연쇄 반응을 촉진한다.</p><p>③ 연소에 필요한 요소를 차단한다.</p><p>④ 산소 공급을 증가시킨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b-0000-4000-9000-00000000000b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b-0000-4000-9000-00000000000b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약제는 연소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를 차단하거나 냉각하여 화재를 진압한다.</p><p>정답은 ③번으로, 소화약제가 연소에 필요한 요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해야 소화가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c-0000-4000-8000-00000000000c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에서 '발화점'과 '인화점'의 차이점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발화점은 불이 붙는 온도, 인화점은 증기가 연소하는 최저 온도이다.</p><p>② 인화점은 불이 붙는 온도, 발화점은 증기가 연소하는 최저 온도이다.</p><p>③ 발화점과 인화점은 같은 의미이다.</p><p>④ 발화점은 연소를 유지하는 최소 온도, 인화점은 연소 시작 온도이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c-0000-4000-9000-00000000000c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c-0000-4000-9000-00000000000c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발화점은 가연물이 스스로 연소하는 최저 온도이며, 인화점은 가연성 증기가 공기와 혼합되어 점화원에 의해 불이 붙는 최저 온도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d-0000-4000-8000-00000000000d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연쇄 반응을 차단하는 소화 약제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?</p><p>① 냉각 작용</p><p>② 질식 작용</p><p>③ 희석 작용</p><p>④ 화학적 억제 작용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d-0000-4000-9000-00000000000d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d-0000-4000-9000-00000000000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학적 억제 작용은 연쇄 반응을 차단하여 연소를 중단시키는 것으로, 할론 소화약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e-0000-4000-8000-00000000000e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화재의 3요소에서 산소 농도가 떨어지면 연소가 중단되는 이유는?</p><p>① 연쇄 반응이 빨라지기 때문이다.</p><p>② 가연물이 소진되기 때문이다.</p><p>③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연소 반응이 지속되지 못하기 때문이다.</p><p>④ 점화원이 없어지기 때문이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e-0000-4000-9000-00000000000e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e-0000-4000-9000-00000000000e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소는 연소 반응에 필수적이며,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연소에 필요한 산화제가 부족해져 연소가 중단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f-0000-4000-8000-00000000000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성 가스의 폭발 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폭발 한계는 가연성 가스가 공기 중에서 연소할 수 있는 농도 범위이다.</p><p>② 폭발 한계는 온도와 무관하다.</p><p>③ 폭발 하한계가 상한계보다 높다.</p><p>④ 폭발 한계는 가연성 가스의 색깔에 따라 달라진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0f-0000-4000-9000-00000000000f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0f-0000-4000-9000-00000000000f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폭발 한계는 가연성 가스가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 또는 폭발할 수 있는 최소 및 최대 농도 범위를 의미한다.</p><p>따라서 폭발 한계는 '가연성 가스'가 '공기 중'에서 연소 가능한 '농도 범위'를 나타내는 것이 핵심 키워드입니다. 정답은 ①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0-0000-4000-8000-00000000001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 약제의 냉각 작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</p><p>① 물</p><p>② 이산화탄소</p><p>③ 할론류</p><p>④ 폼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0-0000-4000-9000-00000000001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0-0000-4000-9000-00000000001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할론류는 화학적 억제 작용을 통해 연쇄 반응을 차단하며, 냉각 작용은 주로 물과 폼이 한다. 이산화탄소는 질식 작용을 주로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1-0000-4000-8000-00000000001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소화기의 적절한 사용법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소화기 노즐을 불꽃에 직접 대고 사용한다.</p><p>② 불꽃이 아닌 연소 물질의 근처에 분사한다.</p><p>③ 바람을 등지고 소화기를 사용한다.</p><p>④ 소화기를 흔들면서 분사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1-0000-4000-9000-00000000001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1-0000-4000-9000-00000000001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기 사용 시 바람을 등지고 사용해야 소화약제가 역류하거나 흩어지지 않고 효과적으로 분사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2-0000-4000-8000-00000000001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약제 중에서 유류화재에 가장 적합한 것은?</p><p>① 물</p><p>② 이산화탄소</p><p>③ 할론류</p><p>④ 포소화약제(폼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2-0000-4000-9000-00000000001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2-0000-4000-9000-00000000001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유류화재는 물을 사용하면 확산 위험이 있으므로, 포소화약제(폼)를 사용하여 유류 표면을 덮어 질식시킨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3-0000-4000-8000-00000000001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는 원리는?</p><p>① 연기 감지</p><p>② 온도 상승에 따른 감지</p><p>③ 소화약제 감지</p><p>④ 불꽃 감지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3-0000-4000-9000-00000000001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3-0000-4000-9000-00000000001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스프링클러는 온도가 일정 기준 이상 상승하면 내장된 유리관이 파열되어 소화약제가 방출된다.</p><p>따라서 스프링클러는 '온도 상승에 따른 감지' 원리를 이용하며, 정답은 ②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4-0000-4000-8000-00000000001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현장에서 질식 소화약제가 주로 사용되는 화재 종류는?</p><p>① A급 화재</p><p>② B급 화재</p><p>③ C급 화재</p><p>④ D급 화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4-0000-4000-9000-00000000001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4-0000-4000-9000-00000000001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C급 화재(전기화재)에는 전기 절연성이 좋은 이산화탄소 등 질식 소화약제가 적합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5-0000-4000-8000-00000000001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의 유해 성분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?</p><p>① 수증기</p><p>② 이산화탄소</p><p>③ 일산화탄소</p><p>④ 질소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5-0000-4000-9000-00000000001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5-0000-4000-9000-00000000001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유독가스로서 화재 시 가장 위험한 유해 성분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6-0000-4000-8000-00000000001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연소의 3요소에 포함되는 가연물의 성질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전기 전도성이 좋아야 한다.</p><p>② 발화점이 낮아야 한다.</p><p>③ 점화원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.</p><p>④ 산소가 풍부해야 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6-0000-4000-9000-00000000001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6-0000-4000-9000-00000000001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물은 발화점이 낮을수록 연소가 쉽게 일어나며, 전기 전도성이나 점화원 포함 여부와는 무관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7-0000-4000-8000-00000000001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가 확산되는 주된 경로가 아닌 것은?</p><p>① 복사열 전달</p><p>② 대류열 전달</p><p>③ 전도열 전달</p><p>④ 전자기파 전달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7-0000-4000-9000-00000000001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7-0000-4000-9000-00000000001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확산은 주로 복사, 대류, 전도를 통해 일어나며 전자기파 전달은 화재 확산 경로가 아니다.</p><p>따라서 화재 확산의 주된 경로가 아닌 것은 전자기파 전달이며, 정답은 ④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8-0000-4000-8000-00000000001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약제 분말 소화기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전기화재에 사용 가능하다.</p><p>② 잔류물이 전혀 남지 않는다.</p><p>③ 대규모 화재에 적합하다.</p><p>④ 물과 혼합하여 사용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8-0000-4000-9000-00000000001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8-0000-4000-9000-00000000001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분말 소화기는 전기화재에 사용 가능하며, 소화 효과가 빠르나 잔류물이 남을 수 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9-0000-4000-8000-00000000001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발생 시 연소를 억제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소화 방법은?</p><p>① 냉각</p><p>② 가열</p><p>③ 가연물 공급</p><p>④ 산소 공급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9-0000-4000-9000-00000000001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9-0000-4000-9000-00000000001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연소 온도를 낮추는 냉각은 화재 진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a-0000-4000-8000-00000000001a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소 농도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15\\%\\)</span> 이하일 때의 화재 상태는?</p><p>① 완전 연소</p><p>② 불완전 연소</p><p>③ 연소 중단</p><p>④ 폭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a-0000-4000-9000-00000000001a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a-0000-4000-9000-00000000001a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소 농도가 약 <span class='math-tex'>\\(15\\%\\)</span> 이하로 떨어지면 연소가 유지되지 않고 중단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b-0000-4000-8000-00000000001b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소화약제의 질식 작용에 해당하는 것은?</p><p>① 물</p><p>② 이산화탄소</p><p>③ 할론</p><p>④ 분말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b-0000-4000-9000-00000000001b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b-0000-4000-9000-00000000001b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산화탄소는 산소를 배제하여 질식 작용을 통해 화재를 진압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c-0000-4000-8000-00000000001c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연소속도를 결정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?</p><p>① 가연물의 상태</p><p>② 산소 농도</p><p>③ 소화기 종류</p><p>④ 온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c-0000-4000-9000-00000000001c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c-0000-4000-9000-00000000001c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기 종류는 연소속도에 영향이 없으며, 가연물 상태, 산소 농도, 온도가 연소속도에 영향을 준다.</p><p>연소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는 가연물의 물리적 상태, 주변 산소 농도, 온도 등이 있으며 소화기 종류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.</p><p>따라서 정답은 ③번 소화기 종류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d-0000-4000-8000-00000000001d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가연성 액체의 인화점이 낮을수록 화재 위험이 어떻게 되는가?</p><p>① 감소한다.</p><p>② 증가한다.</p><p>③ 변화 없다.</p><p>④ 불확실하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d-0000-4000-9000-00000000001d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d-0000-4000-9000-00000000001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인화점이 낮으면 가연성 액체에서 증기가 쉽게 발생하여 화재 위험이 증가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e-0000-4000-8000-00000000001e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발생 시 소화약제로 물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으로 올바른 것은?</p><p>① 전기화재에는 사용해도 무방하다.</p><p>② 유류화재에는 사용하지 않는다.</p><p>③ 산소 농도를 줄여 주는 역할을 한다.</p><p>④ 모든 화재에 효과적이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e-0000-4000-9000-00000000001e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e-0000-4000-9000-00000000001e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물은 전기화재에 사용하면 감전 위험이 있으며, 유류화재에 사용 시 화재를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f-0000-4000-8000-00000000001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스프링클러 작동 온도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68^\\circ {\\rm C}\\)</span>인 경우, 주변 온도가 이에 도달하면 스프링클러는 어떻게 되는가?</p><p>① 작동하지 않는다.</p><p>② 내장된 유리관이 파열된다.</p><p>③ 소화약제가 자동으로 보충된다.</p><p>④ 연기 감지가 시작된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1f-0000-4000-9000-00000000001f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1f-0000-4000-9000-00000000001f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스프링클러는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유리관이 파열되어 소화약제가 분사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0-0000-4000-8000-00000000002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에서 연소를 지속시키는 연쇄 반응을 차단하는 소화약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?</p><p>① 물</p><p>② 이산화탄소</p><p>③ 할론</p><p>④ 포소화약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0-0000-4000-9000-00000000002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0-0000-4000-9000-00000000002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할론류 소화약제는 연쇄 반응을 화학적으로 차단하여 연소를 효과적으로 중단시킨다.</p><p>따라서 연쇄 반응 차단에 가장 적합한 소화약제는 할론이며, 정답은 ③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1-0000-4000-8000-00000000002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연소의 4요소 중 가연물의 특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</p><p>① 발열량</p><p>② 점화온도</p><p>③ 산소 농도</p><p>④ 인화점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1-0000-4000-9000-00000000002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1-0000-4000-9000-00000000002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소 농도는 연소 환경의 요소이며, 가연물 특성에는 발열량, 점화온도, 인화점 등이 포함된다.</p><p>가연물 특성은 연소에 직접 관련된 물질의 성질을 의미하며, 산소 농도는 연소를 돕는 외부 환경 요소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2-0000-4000-8000-00000000002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소화약제를 선택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요소는?</p><p>① 화재 종류</p><p>② 소화약제의 색상</p><p>③ 소화약제의 소화 능력</p><p>④ 사용 장소의 특성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2-0000-4000-9000-00000000002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2-0000-4000-9000-00000000002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약제의 색상은 소화 효과와 무관하며, 화재 종류, 소화 능력, 사용 장소 특성 등이 중요하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3-0000-4000-8000-00000000002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'인화점'이란 무엇인가?</p><p>① 가연물의 온도가 주어진 조건에서 증기가 불꽃에 의해 점화되는 최저 온도</p><p>② 가연물이 스스로 연소하는 최저 온도</p><p>③ 화재가 끝나는 온도</p><p>④ 소화약제가 작동하는 온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1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3-0000-4000-9000-000000000023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3-0000-4000-9000-000000000023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인화점은 가연물의 증기가 공기와 혼합되어 불꽃에 의해 점화되는 최저 온도를 의미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4-0000-4000-8000-000000000024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화재 확산에서 대류열 전달이 주로 발생하는 상황은?</p><p>① 고체 표면을 통한 열 전달</p><p>② 뜨거운 공기나 가스가 위로 상승하는 경우</p><p>③ 열 복사를 통한 열 전달</p><p>④ 전기 전도에 의한 열 이동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4-0000-4000-9000-00000000002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4-0000-4000-9000-00000000002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대류열 전달은 고온의 공기나 가스가 상승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현상이다.</p><p>따라서 대류열 전달이 주로 발생하는 상황은 '뜨거운 공기나 가스가 위로 상승하는 경우'이며, 정답은 ②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5-0000-4000-8000-000000000025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약제 중에서 전기화재에 사용하기 적합한 것은?</p><p>① 물</p><p>② 이산화탄소</p><p>③ 할론</p><p>④ 알칼리액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5-0000-4000-9000-000000000025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5-0000-4000-9000-000000000025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산화탄소는 전기 절연성이 있어 전기화재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6-0000-4000-8000-00000000002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연기 발생이 심한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완전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이다.</p><p>② 불완전 연소로 유해 가스와 미세 입자가 생성되기 때문이다.</p><p>③ 소화약제가 많기 때문이다.</p><p>④ 산소 농도가 높기 때문이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6-0000-4000-9000-000000000026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6-0000-4000-9000-000000000026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불완전 연소 시 탄화수소 등의 유해 가스와 미세 입자가 많이 발생하여 연기가 심하게 발생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7-0000-4000-8000-000000000027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소화기의 압력 게이지가 녹색을 가리키는 의미는?</p><p>① 소화기가 방전된 상태</p><p>② 소화기의 압력이 정상임</p><p>③ 소화기가 고장 난 상태</p><p>④ 소화기 내 약제가 부족함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7-0000-4000-9000-00000000002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7-0000-4000-9000-00000000002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압력 게이지가 녹색 영역을 가리키면 소화기의 압력이 정상이며 사용 가능함을 의미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8-0000-4000-8000-000000000028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연소 과정에서 점화원이 하는 역할은?</p><p>① 가연물의 공급</p><p>② 연소를 촉진하는 산소 제공</p><p>③ 연소를 시작하는 에너지 제공</p><p>④ 연쇄 반응의 억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8-0000-4000-9000-000000000028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8-0000-4000-9000-000000000028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점화원은 연소를 시작하기 위한 초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9-0000-4000-8000-000000000029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소화약제의 '질식 작용'이란?</p><p>① 연소 반응에서 열을 제거하는 것</p><p>②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를 중단시키는 것</p><p>③ 가연물을 냉각시키는 것</p><p>④ 연쇄 반응을 촉진하는 것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9-0000-4000-9000-000000000029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9-0000-4000-9000-000000000029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질식 작용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연소를 중단시키는 소화 방법이다.</p><p>따라서 질식 작용은 '산소 공급 차단'을 통해 연소를 멈추게 하는 것이며, 정답은 ②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a-0000-4000-8000-00000000002a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소화약제의 '화학적 억제 작용'을 하는 약제는?</p><p>① 물</p><p>② 이산화탄소</p><p>③ 할론</p><p>④ 폼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a-0000-4000-9000-00000000002a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a-0000-4000-9000-00000000002a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할론은 연쇄 반응을 방해하여 화학적으로 연소를 억제하는 소화약제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b-0000-4000-8000-00000000002b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 온도는 일반적으로 몇 도씨 이상인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30^\\circ {\\rm C}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57^\\circ {\\rm C}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68^\\circ {\\rm C}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^\\circ {\\rm C}\\)</span>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b-0000-4000-9000-00000000002b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b-0000-4000-9000-00000000002b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스프링클러 헤드는 일반적으로 <span class='math-tex'>\\(68^\\circ {\\rm C}\\)</span> 이상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c-0000-4000-8000-00000000002c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중 화재 시 소화약제의 냉각 작용을 이용하는 약제는?</p><p>① 분말</p><p>② 물</p><p>③ 이산화탄소</p><p>④ 할론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c-0000-4000-9000-00000000002c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c-0000-4000-9000-00000000002c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물은 높은 비열과 증발열로 화재 현장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냉각 작용을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d-0000-4000-8000-00000000002d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가연물의 입자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연소 속도는 어떻게 되는가?</p><p>① 느려진다.</p><p>② 빨라진다.</p><p>③ 변화 없다.</p><p>④ 불확실하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d-0000-4000-9000-00000000002d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d-0000-4000-9000-00000000002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표면적이 증가하여 연소 속도가 빨라진다.</p><p>따라서 연소 속도는 입자 크기가 작아질 때 빨라지므로 정답은 ②번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e-0000-4000-8000-00000000002e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에서 연소를 지속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?</p><p>① 가연물</p><p>② 점화원</p><p>③ 산소</p><p>④ 열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e-0000-4000-9000-00000000002e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e-0000-4000-9000-00000000002e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산소는 연소 반응에 필수적인 산화제로, 연소를 지속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f-0000-4000-8000-00000000002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포소화약제(폼)의 소화 원리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연소에 필요한 열을 흡수한다.</p><p>② 산소 공급을 차단한다.</p><p>③ 연쇄 반응을 억제한다.</p><p>④ 가연물의 온도를 상승시킨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2f-0000-4000-9000-00000000002f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2f-0000-4000-9000-00000000002f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포소화약제는 유류 등 화재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산소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소화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0-0000-4000-8000-000000000030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소화기 사용 순서로 옳은 것은?</p><p>① 노즐 조준 → 안전핀 제거 → 압력 손잡이 누름</p><p>② 안전핀 제거 → 노즐 조준 → 압력 손잡이 누름</p><p>③ 압력 손잡이 누름 → 안전핀 제거 → 노즐 조준</p><p>④ 안전핀 제거 → 압력 손잡이 누름 → 노즐 조준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30-0000-4000-9000-000000000030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0-0000-4000-9000-000000000030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소화기는 먼저 안전핀을 제거하고, 노즐을 불꽃에 조준한 후 압력 손잡이를 누르는 것이 올바른 사용법이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1-0000-4000-8000-000000000031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의 연쇄 반응을 일으키는 활성 입자의 역할은?</p><p>① 연소에 필요한 열을 흡수한다.</p><p>② 새로운 반응을 촉진하여 연소를 지속시킨다.</p><p>③ 산소 농도를 낮춘다.</p><p>④ 연소를 중단시킨다.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31-0000-4000-9000-000000000031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1-0000-4000-9000-000000000031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활성 입자는 연쇄 반응을 통해 연소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.</p><p>정답은 ②번으로, 활성 입자는 '새로운 반응을 촉진하여 연소를 지속시키는' 역할을 한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2-0000-4000-8000-000000000032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화재 시 연소를 억제하기 위한 소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</p><p>① 냉각 작용</p><p>② 질식 작용</p><p>③ 연쇄 반응 촉진</p><p>④ 화학적 억제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0000032-0000-4000-9000-000000000032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0000032-0000-4000-9000-000000000032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연쇄 반응 촉진은 연소를 지속시키는 작용으로, 소화 목적에는 부적합하다.</p>"
      }
    }
  ],
  "contents": [
    {
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d1e2f3a4-b5c6-4d7e-8f9a-0b1c2d3e4f5a",
          "_mode": "append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10000001-0000-4000-8000-000000000001",
            "10000002-0000-4000-8000-000000000002",
            "10000004-0000-4000-8000-000000000004",
            "10000005-0000-4000-8000-000000000005",
            "10000006-0000-4000-8000-000000000006",
            "10000007-0000-4000-8000-000000000007",
            "10000008-0000-4000-8000-000000000008",
            "10000009-0000-4000-8000-000000000009",
            "1000000a-0000-4000-8000-00000000000a",
            "1000000f-0000-4000-8000-00000000000f",
            "10000015-0000-4000-8000-000000000015",
            "10000016-0000-4000-8000-000000000016",
            "1000001c-0000-4000-8000-00000000001c",
            "1000001d-0000-4000-8000-00000000001d",
            "10000021-0000-4000-8000-000000000021",
            "10000023-0000-4000-8000-000000000023",
            "10000026-0000-4000-8000-000000000026",
            "10000028-0000-4000-8000-000000000028",
            "1000002d-0000-4000-8000-00000000002d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e2f3a4b5-c6d7-4e8f-9a0b-1c2d3e4f5a6b",
          "_mode": "append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10000003-0000-4000-8000-000000000003",
            "1000000c-0000-4000-8000-00000000000c",
            "1000000d-0000-4000-8000-00000000000d",
            "1000000e-0000-4000-8000-00000000000e",
            "10000017-0000-4000-8000-000000000017",
            "10000019-0000-4000-8000-000000000019",
            "1000001a-0000-4000-8000-00000000001a",
            "10000024-0000-4000-8000-000000000024",
            "10000029-0000-4000-8000-000000000029",
            "1000002e-0000-4000-8000-00000000002e",
            "10000031-0000-4000-8000-000000000031",
            "10000032-0000-4000-8000-000000000032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f3a4b5c6-d7e8-4f9a-a0b1-c2d3e4f5a6b7",
          "_mode": "append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,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1000000b-0000-4000-8000-00000000000b",
            "10000010-0000-4000-8000-000000000010",
            "10000011-0000-4000-8000-000000000011",
            "10000012-0000-4000-8000-000000000012",
            "10000013-0000-4000-8000-000000000013",
            "10000014-0000-4000-8000-000000000014",
            "10000018-0000-4000-8000-000000000018",
            "1000001b-0000-4000-8000-00000000001b",
            "1000001e-0000-4000-8000-00000000001e",
            "1000001f-0000-4000-8000-00000000001f",
            "10000020-0000-4000-8000-000000000020",
            "10000022-0000-4000-8000-000000000022",
            "10000025-0000-4000-8000-000000000025",
            "10000027-0000-4000-8000-000000000027",
            "1000002a-0000-4000-8000-00000000002a",
            "1000002b-0000-4000-8000-00000000002b",
            "1000002c-0000-4000-8000-00000000002c",
            "1000002f-0000-4000-8000-00000000002f",
            "10000030-0000-4000-8000-000000000030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,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
  ]
}
View Snapshot Before
{
  "__type": 2,
  "__version": 2,
  "course": {
    "_id": "b4e66dc5-0d14-4207-accc-a9f248089a36",
    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-new",
    "_type": 2,
    "_sub_type": 0,
    "_cdate": "2025-10-31 01:55:53.132409+00:00",
    "_udate": "2025-10-31 13:03:25.322824+00:00",
    "_year": 2025,
    "contents": [
      {
  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d1e2f3a4-b5c6-4d7e-8f9a-0b1c2d3e4f5a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,
  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  "7e9f3b1a-0a1b-4c2d-8e3f-4a5b6c7d8e9f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  0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e2f3a4b5-c6d7-4e8f-9a0b-1c2d3e4f5a6b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,
  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  "8f0a1b2c-3d4e-4f5a-b6c7-d8e9f0a1b2c3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  0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f3a4b5c6-d7e8-4f9a-a0b1-c2d3e4f5a6b7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,
  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  "a2b3c4d5-e6f7-4a8b-b9c0-d1e2f3a4b5c6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  0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
    ],
    "kls": [],
    "lists": [
      {
  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. 화재 및 소화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물질의 화학적 성질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d1e2f3a4-b5c6-4d7e-8f9a-0b1c2d3e4f5a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화재 및 소화이론의 이해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e2f3a4b5-c6d7-4e8f-9a0b-1c2d3e4f5a6b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약제 및 소방시설의 기초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
          {
            "id": "f3a4b5c6-d7e8-4f9a-a0b1-c2d3e4f5a6b7",
  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  1
            ]
          }
        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2. 제1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3. 제2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4. 제3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5. 제4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6. 제5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7. 제6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8. 위험물 운송·운반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운송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운반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9. 위험물 제조소 등의 유지관리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제조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저장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위험물 취급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4.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점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0. 위험물 저장·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저장 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취급 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1. 위험물안전관리 감독 및 행정처리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시설 유지관리감독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행정사항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
    ]
  },
  "elements": [
    {
      "_id": "7e9f3b1a-0a1b-4c2d-8e3f-4a5b6c7d8e9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56:01.117999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111「위험물안전관리법」 상 '지정수량'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지닌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지정 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제조 외의 목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장소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위험물 시설 또는 그 구성 부분의 주위에 확보해야 할 절대공간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2\",\"level\":2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1a2b3c4d-5e6f-4a7b-8c9d-0e1f2a3b4c5d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1a2b3c4d-5e6f-4a7b-8c9d-0e1f2a3b4c5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07:32.58588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'지정수량'이란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,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을 말합니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은 '위험물'의 정의입니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은 '취급소'의 정의입니다.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는 '보유 공지'의 정의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8f0a1b2c-3d4e-4f5a-b6c7-d8e9f0a1b2c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07:32.592074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다음 소화 방법 중 연소의 3요소(가연물, 산소 공급원, 점화원)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 \\u003cu\\u003e아닌\\u003c/u\\u003e, 화학적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제거소화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질식소화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냉각소화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억제소화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4\",\"level\":3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9a1b2c3d-4e5f-4a6b-b7c8-d9e0f1a2b3c4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9a1b2c3d-4e5f-4a6b-b7c8-d9e0f1a2b3c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07:32.602480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억제소화(부촉매 소화)는 연소의 4요소 중 하나인 화학적 연쇄반응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입니다. 제거소화는 가연물을 제거하는 방법, 질식소화는 산소 공급원을 차단하는 방법, 냉각소화는 점화원(열)을 제거하여 발화점 이하로 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모두 연소의 3요소를 제어하는 원리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a2b3c4d5-e6f7-4a8b-b9c0-d1e2f3a4b5c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07:32.618081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이산화탄소(CO₂) 소화약제는 질식소화 및 냉각소화 효과가 있으나, 특정 위험물 화재에는 적응성이 \\u003cu\\u003e없다\\u003c/u\\u003e. 다음 중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위험물은?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① 제2류 위험물 (가연성 고체)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② 제4류 위험물 (인화성 액체)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③ 제5류 위험물 (자기반응성 물질)\\u003c/p\\u003e\\u003cp\\u003e④ 제6류 위험물 (산화성 액체)\\u003c/p\\u003e\",\"style\":1,\"cnum\":4,\"answer\":\"3\",\"level\":4,\"kl\":[],\"sol\":1,\"head\":0,\"sol_text\":[\"b3c4d5e6-f7a8-4b9c-bad1-e2f3a4b5c6d7\"]}"
    },
    {
      "_id": "b3c4d5e6-f7a8-4b9c-bad1-e2f3a4b5c6d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cdate": "20251101110732",
      "_udate": "2025-11-01 02:07:32.632305+00:00",
      "_json_data": "{\"main\":\"\\u003cp\\u003e제5류 위험물(자기반응성 물질)은 분자 내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외부의 산소 공급 차단(질식소화)만으로는 소화가 어렵습니다. 따라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제5류 위험물에 비적응성입니다.\\u003c/p\\u003e\"}"
    }
  ]
}
✓ Success full_upload

Applied: 2025-11-01 11:07:32

Elements Added

6

Elements Updated

0

차시 목록 Affected

3

Summary: 6 elements added, 3 lessons affected

View Patch JSON
{
  "elements": [
    {
      "_id": "7e9f3b1a-0a1b-4c2d-8e3f-4a5b6c7d8e9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「위험물안전관리법」 상 '지정수량'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?</p><p>①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지닌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</p><p>②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</p><p>③ 지정 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제조 외의 목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장소</p><p>④ 위험물 시설 또는 그 구성 부분의 주위에 확보해야 할 절대공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a2b3c4d-5e6f-4a7b-8c9d-0e1f2a3b4c5d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a2b3c4d-5e6f-4a7b-8c9d-0e1f2a3b4c5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'지정수량'이란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,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을 말합니다.</p><p>①은 '위험물'의 정의입니다.</p><p>③은 '취급소'의 정의입니다.</p><p>④는 '보유 공지'의 정의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8f0a1b2c-3d4e-4f5a-b6c7-d8e9f0a1b2c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소화 방법 중 연소의 3요소(가연물, 산소 공급원, 점화원)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 <u>아닌</u>, 화학적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은?</p><p>① 제거소화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냉각소화</p><p>④ 억제소화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9a1b2c3d-4e5f-4a6b-b7c8-d9e0f1a2b3c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9a1b2c3d-4e5f-4a6b-b7c8-d9e0f1a2b3c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억제소화(부촉매 소화)는 연소의 4요소 중 하나인 화학적 연쇄반응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입니다. 제거소화는 가연물을 제거하는 방법, 질식소화는 산소 공급원을 차단하는 방법, 냉각소화는 점화원(열)을 제거하여 발화점 이하로 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모두 연소의 3요소를 제어하는 원리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2b3c4d5-e6f7-4a8b-b9c0-d1e2f3a4b5c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산화탄소(CO₂) 소화약제는 질식소화 및 냉각소화 효과가 있으나, 특정 위험물 화재에는 적응성이 <u>없다</u>. 다음 중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위험물은?</p><p>① 제2류 위험물 (가연성 고체)</p><p>② 제4류 위험물 (인화성 액체)</p><p>③ 제5류 위험물 (자기반응성 물질)</p><p>④ 제6류 위험물 (산화성 액체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4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3c4d5e6-f7a8-4b9c-bad1-e2f3a4b5c6d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3c4d5e6-f7a8-4b9c-bad1-e2f3a4b5c6d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(자기반응성 물질)은 분자 내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외부의 산소 공급 차단(질식소화)만으로는 소화가 어렵습니다. 따라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제5류 위험물에 비적응성입니다.</p>"
      }
    }
  ],
  "contents": [
    {
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d1e2f3a4-b5c6-4d7e-8f9a-0b1c2d3e4f5a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7e9f3b1a-0a1b-4c2d-8e3f-4a5b6c7d8e9f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e2f3a4b5-c6d7-4e8f-9a0b-1c2d3e4f5a6b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8f0a1b2c-3d4e-4f5a-b6c7-d8e9f0a1b2c3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f3a4b5c6-d7e8-4f9a-a0b1-c2d3e4f5a6b7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a2b3c4d5-e6f7-4a8b-b9c0-d1e2f3a4b5c6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
          ]
        }
      ]
    }
  ]
}
View Snapshot Before
{
  "__type": 2,
  "__version": 2,
  "course": {
    "_id": "b4e66dc5-0d14-4207-accc-a9f248089a36",
    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-new",
    "_type": 2,
    "_sub_type": 0,
    "_cdate": "2025-10-31 01:55:53.132409+00:00",
    "_udate": "2025-10-31 13:03:25.322824+00:00",
    "_year": 2025,
    "contents": [
      {
  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
    ],
    "kls": [],
    "lists": [
      {
  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. 화재 및 소화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물질의 화학적 성질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화재 및 소화이론의 이해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약제 및 소방시설의 기초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2. 제1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3. 제2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4. 제3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5. 제4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6. 제5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7. 제6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8. 위험물 운송·운반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운송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운반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9. 위험물 제조소 등의 유지관리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제조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저장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위험물 취급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4.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점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0. 위험물 저장·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저장 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취급 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1. 위험물안전관리 감독 및 행정처리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시설 유지관리감독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행정사항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
    ]
  },
  "elements": []
}
✓ Success full_upload

Applied: 2025-11-01 09:58:30

Elements Added

6

Elements Updated

0

차시 목록 Affected

3

Summary: 6 elements added, 3 lessons affected

View Patch JSON
{
  "elements": [
    {
      "_id": "7e9f3b1a-0a1b-4c2d-8e3f-4a5b6c7d8e9f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「위험물안전관리법」 상 '지정수량'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?</p><p>①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지닌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</p><p>②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</p><p>③ 지정 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제조 외의 목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장소</p><p>④ 위험물 시설 또는 그 구성 부분의 주위에 확보해야 할 절대공간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2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1a2b3c4d-5e6f-4a7b-8c9d-0e1f2a3b4c5d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1a2b3c4d-5e6f-4a7b-8c9d-0e1f2a3b4c5d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'지정수량'이란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,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을 말합니다.</p><p>①은 '위험물'의 정의입니다.</p><p>③은 '취급소'의 정의입니다.</p><p>④는 '보유 공지'의 정의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8f0a1b2c-3d4e-4f5a-b6c7-d8e9f0a1b2c3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다음 소화 방법 중 연소의 3요소(가연물, 산소 공급원, 점화원)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 <u>아닌</u>, 화학적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은?</p><p>① 제거소화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냉각소화</p><p>④ 억제소화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4",
        "level": 3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9a1b2c3d-4e5f-4a6b-b7c8-d9e0f1a2b3c4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9a1b2c3d-4e5f-4a6b-b7c8-d9e0f1a2b3c4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억제소화(부촉매 소화)는 연소의 4요소 중 하나인 화학적 연쇄반응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입니다. 제거소화는 가연물을 제거하는 방법, 질식소화는 산소 공급원을 차단하는 방법, 냉각소화는 점화원(열)을 제거하여 발화점 이하로 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모두 연소의 3요소를 제어하는 원리입니다.</p>"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a2b3c4d5-e6f7-4a8b-b9c0-d1e2f3a4b5c6",
      "_type": 1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이산화탄소(CO₂) 소화약제는 질식소화 및 냉각소화 효과가 있으나, 특정 위험물 화재에는 적응성이 <u>없다</u>. 다음 중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위험물은?</p><p>① 제2류 위험물 (가연성 고체)</p><p>② 제4류 위험물 (인화성 액체)</p><p>③ 제5류 위험물 (자기반응성 물질)</p><p>④ 제6류 위험물 (산화성 액체)</p>",
        "style": 1,
        "cnum": 4,
        "answer": "3",
        "level": 4,
        "kl": [],
        "sol": 1,
        "head": 0,
        "sol_text": [
          "b3c4d5e6-f7a8-4b9c-bad1-e2f3a4b5c6d7"
        ],
        "head_text": []
      }
    },
    {
      "_id": "b3c4d5e6-f7a8-4b9c-bad1-e2f3a4b5c6d7",
      "_type": 3,
      "_json_data": {
        "main": "<p>제5류 위험물(자기반응성 물질)은 분자 내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외부의 산소 공급 차단(질식소화)만으로는 소화가 어렵습니다. 따라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제5류 위험물에 비적응성입니다.</p>"
      }
    }
  ],
  "contents": [
    {
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d1e2f3a4-b5c6-4d7e-8f9a-0b1c2d3e4f5a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7e9f3b1a-0a1b-4c2d-8e3f-4a5b6c7d8e9f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
          ],
          "_mode": "append"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e2f3a4b5-c6d7-4e8f-9a0b-1c2d3e4f5a6b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8f0a1b2c-3d4e-4f5a-b6c7-d8e9f0a1b2c3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
          ],
          "_mode": "append"
        }
      ]
    },
    {
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"units": [
        {
          "id": "f3a4b5c6-d7e8-4f9a-a0b1-c2d3e4f5a6b7",
          "types": [
            1
          ],
          "ids": [
            "a2b3c4d5-e6f7-4a8b-b9c0-d1e2f3a4b5c6"
          ],
          "copy": [
            0
          ],
          "_mode": "append"
        }
      ]
    }
  ]
}
View Snapshot Before
{
  "__type": 2,
  "__version": 2,
  "course": {
    "_id": "b4e66dc5-0d14-4207-accc-a9f248089a36",
    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-new",
    "_type": 2,
    "_sub_type": 0,
    "_cdate": "2025-10-31 01:55:53.132409+00:00",
    "_udate": "2025-10-31 13:03:25.322824+00:00",
    "_year": 2025,
    "contents": [
      {
  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  "units": [],
        "heads": [],
        "heads_copy": []
      }
    ],
    "kls": [],
    "lists": [
      {
  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. 화재 및 소화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물질의 화학적 성질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화재 및 소화이론의 이해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약제 및 소방시설의 기초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2. 제1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1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3. 제2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2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4. 제3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3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5. 제4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1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2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6. 제5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5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7. 제6류 위험물 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6류)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8. 위험물 운송·운반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운송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운반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9. 위험물 제조소 등의 유지관리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제조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저장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3. 위험물 취급소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4.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점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0. 위험물 저장·취급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저장 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취급 기준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  "type": 0,
        "title": "11. 위험물안전관리 감독 및 행정처리",
        "level": 1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1. 위험물시설 유지관리감독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,
      {
  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  "type": 11,
        "title": "2.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행정사항",
        "level": 2,
        "units": []
      }
    ]
  },
  "elements": []
}
✓ Success full_upload

Applied: 2025-10-31 22:03:25

Elements Added

0

Elements Updated

0

차시 목록 Affected

45

Summary: 45 lessons affected

View Patch JSON
{
  "_id": "b4e66dc5-0d14-4207-accc-a9f248089a36",
  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-new",
  "_type": 2,
  "_sub_type": 0,
  "_cdate": "2025-10-31 01:55:53.132409+00:00",
  "_udate": "2025-10-31 01:56:38.713487+00:00",
  "_year": 2025,
  "contents": [
    {
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
    },
    {
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
    },
    {
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
    },
    {
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
    },
    {
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
    },
    {
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
    },
    {
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
    },
    {
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
    },
    {
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
    },
    {
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
    },
    {
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
    },
    {
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
    },
    {
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
    },
    {
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
    },
    {
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
    },
    {
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
    },
    {
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
    },
    {
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
    },
    {
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
    },
    {
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
    },
    {
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
    },
    {
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
    },
    {
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
    },
    {
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
    },
    {
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
    },
    {
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
    },
    {
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
    },
    {
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
    },
    {
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
    },
    {
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
    },
    {
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
    },
    {
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
    },
    {
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
    },
    {
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
    },
    {
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
    },
    {
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
    },
    {
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
    },
    {
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
    },
    {
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
    },
    {
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
    },
    {
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
    },
    {
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
    },
    {
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
    },
    {
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
    },
    {
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
    }
  ],
  "kls": [],
  "lists": [
    {
      "id": "dbea270b-b176-443f-94b4-090359fa28d5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1. 화재 및 소화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f78a919c-0b26-49e7-93bc-1fbd72ec9dd7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물질의 화학적 성질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604d113e-affa-4068-958e-820bf67a6e0d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화재 및 소화이론의 이해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6ad5c57a-fa87-4fd9-a1bb-35d15340e443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3. 소화약제 및 소방시설의 기초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638fc398-c28c-47a5-b085-912c4a308a0f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2. 제1류 위험물 취급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bb4dcc50-b711-4137-964b-2ca142b48c74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1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ed3c7911-e80b-4f99-911d-a9bc087706be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1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a55444a0-65c3-4fc2-858a-b866fe5949fc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1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31b6c27c-093f-421b-b7e8-fa6bd77dca0a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3. 제2류 위험물 취급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fddfd682-c98b-402d-a4e0-bb09f8c1b121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2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ffd45ea3-bca8-4c7f-98ed-fcec3a913708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2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72ba26a3-b08d-4d4c-9247-3a1b462947a1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2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c3204e34-7cdd-4178-bb75-1096f4beafc4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4. 제3류 위험물 취급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c83c4868-faf8-46d5-99d9-741934219b55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3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b200ecfd-7d28-4c91-abd3-e5373b408681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3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d08b85e2-2601-45f2-8acb-b3fec419e374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3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bcd65e3f-72d7-4c5b-ae4a-214af147fe96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5. 제4류 위험물 취급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3fe76627-91f2-4698-b7e2-55bed1b7ab53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1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fde26109-1092-4ad8-a869-85b7433d1e75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2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19ff0482-e824-4878-905d-2a3a4df7a783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1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2a557857-7b74-4850-adb3-1b3561940975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2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fa428b8a-ef57-4a9a-9725-131c2a43c3bd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1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2582c188-3688-4c7b-8276-b91e60693a96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2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6171aa75-6cfb-43f2-9075-55ff09b8c5a0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6. 제5류 위험물 취급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519d0598-c92e-4b33-97bc-1eb436d635f2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5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fdd93f3f-d60a-44d1-a991-991b900db0f5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5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87312b3a-40af-45c4-b1da-c336533eade0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5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85df7ff4-bd4a-4e86-abd9-ba356901f85c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7. 제6류 위험물 취급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03d66310-7f1c-4090-ba04-d8b6496f5981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6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743a797d-ccfc-4ca1-a0c7-242394001df7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6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559ea2e0-0a6c-4fcd-8577-08e957716970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6류)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612910a2-e82e-4b14-9f51-1646474a214e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8. 위험물 운송·운반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f776c25c-65e2-4ac9-98a2-31bca2ec328d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운송기준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a30946f5-23d4-4d4a-9457-7176fd0be548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운반기준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c984bf2d-18a5-4abc-a8c9-4e6866f3b682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9. 위험물 제조소 등의 유지관리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54438c8b-b506-47af-ac9f-6f5e1d46b5a4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제조소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05598192-3b55-4c57-864b-381fa7b7a9af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저장소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b33f856e-1bde-4150-9b01-2ebe8f944a7f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3. 위험물 취급소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d0ce73f9-40bb-46e7-8570-70fd21deeb5a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4.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점검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bdb69dbe-8410-48e1-af9d-f8f8a2a40c69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10. 위험물 저장·취급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513e3c8a-ed88-4cfa-97b4-0660338bab41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위험물 저장 기준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adfeee30-c92e-446b-bdd1-4eb47f3a017c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위험물 취급 기준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facae8e1-3ec1-4512-b500-25f9e32368b4",
      "type": 0,
      "title": "11. 위험물안전관리 감독 및 행정처리",
      "level": 1
    },
    {
      "id": "d434f3ea-1e66-462b-8812-96d1f0fce7df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1. 위험물시설 유지관리감독",
      "level": 2
    },
    {
      "id": "1b66cfea-8cc5-4283-9f04-041275320a4d",
      "type": 11,
      "title": "2.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행정사항",
      "level": 2
    }
  ],
  "elements": []
}
View Snapshot Before
{
  "__type": 2,
  "__version": 2,
  "course": {
    "_id": "b4e66dc5-0d14-4207-accc-a9f248089a36",
    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-new",
    "_type": 2,
    "_sub_type": 0,
    "_cdate": "2025-10-31 01:55:53.132409+00:00",
    "_udate": "2025-10-31 13:03:25.282875+00:00",
    "_year": 2025,
    "contents": [],
    "kls": [],
    "lists": []
  },
  "elements": []
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