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tch History
코스로 돌아가기Course: 2026년 위험물기능사
UUID: cc207fa8-ec63-4158-a940-82ea884bba6a
Total Patches: 9 | Successful: 5 | Failed: 4
Applied: 2025-11-05 17:05:45
Elements Added
0
Elements Updated
41
차시 목록 Affected
3
Summary: 41 elements updated, 3 lessons affected
View Patch JSON
{
"elements": [
{
"_id": "0f1e2d3c-4b5a-6978-8c9d-a0b1c2d3e4f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의 공통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대부분 불연성 물질이나, 다른 물질의 연소를 돕는 조연성 가스(산소)를 방출한다.</p><p>② 대부분 무기화합물이며, 일반적으로 강한 산화제이다.</p><p>③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은 물과 접촉 시 발열하며 산소를 발생시킨다.</p><p>④ 가연물과 혼합 시 충격, 마찰에 의해 쉽게 발화하며, 주수소화 시 모두 냉각 효과가 크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e9d8c7-b6a5-9483-7261-50f4e3d2c1b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품명과 지정수량의 연결이 옳은 것은?</p><p>① 과염소산염류 - <span class='math-tex'>\\(3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<p>② 질산염류 -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<p>③ 무기과산화물 -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<p>④ 중크롬산염류 - <span class='math-tex'>\\(3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1d0cfe1-3243-45a6-87b9-c0d1e2f3049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류 위험물 중 ‘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’에 해당하는 물질의 화재 시, 운반용기 외부에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 주의사항으로 모두 짝지어진 것은?</p><p>① 화기엄금, 물기엄금</p><p>② 화기·충격주의, 가연물접촉주의</p><p>③ 화기·충격주의, 가연물접촉주의, 물기엄금</p><p>④ 화기주의, 가연물접촉주의, 물기엄금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2c1b0a9-98f7-65e4-3d2c-1b0a9f8e7d6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과망간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MnO_4\\)</span>)이 약 <span class='math-tex'>\\(240^\\circ\\{\\rm C\\}\\)</span>에서 열분해될 때 발생하는 물질로 옳은 것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MnO_4,\\,\\,MnO_2,\\,\\,O_2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,\\,\\,Mn,\\,\\,O_2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,\\,\\,MnO_2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,\\,\\,MnO,\\,\\,O_2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3b2a190-87f6-54e3-2c1b-0a9f8e7d6c5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의 성질 및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무색의 판상 결정으로, 비중은 약 2.3이며 물에 잘 녹는다.</p><p>② 약 <span class='math-tex'>\\(400^\\circ\\{\\rm C\\}\\)</span>에서 분해하여 산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2\\)</span>)를 방출한다.</p><p>③ 유황, 목탄 등 가연물과 혼합하여 가열, 충격, 마찰 시 폭발 위험이 있다.</p><p>④ 물과 격렬히 반응하므로 저장 시 석유 속에 보관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4a39281-76e5-43d2-1b0a-9f8e7d6c5b4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제1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물질로만 짝지어진 것은?</p><p>① 과산화나트륨, 과산화수소, 과염소산</p><p>② 아염소산나트륨, 질산칼륨, 질산암모늄</p><p>③ 염소산칼륨, 황린, 적린</p><p>④ 중크롬산칼륨, 질산, 과산화벤조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5b48372-65d4-32c1-0a9f-8e7d6c5b4a3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작업자가 제1류 위험물인 과산화나트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_2O_2\\)</span>)이 담긴 드럼통을 옥외 운반하던 중 실수로 넘어뜨려 아스팔트 바닥에 다량 쏟았습니다. 이때 작업자의 응급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즉시 다량의 물을 뿌려 냉각시키고 희석한다.</p><p>②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방사하여 신속하게 덮는다.</p><p>③ 젖은 모래나 젖은 팽창질석으로 덮어 확산을 방지한다.</p><p>④ 신속하게 마른 모래(건조사)나 팽창질석으로 덮고, 빗물에 닿지 않게 방수포로 덮는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6c57463-54c3-21b0-9f8e-7d6c5b4a392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 중 위험등급이 I 에 해당하며,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키고 수용액은 강한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물질은?</p><p>① 질산암모늄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NO_3\\)</span>)</p><p>② 과산화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</p><p>③ 과망간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MnO_4\\)</span>)</p><p>④ 중크롬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Cr_2O_7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7d66554-43b2-10a9-8e7d-6c5b4a39281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의 저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조해성이 있는 질산나트륨 등은 습기를 피해 용기를 밀봉하여 저장한다.</p><p>②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은 물과의 반응을 막기 위해 용기를 밀전, 밀봉한다.</p><p>③ 가연물, 유기물 등과의 접촉을 피하고 환기가 잘되는 냉암소에 보관한다.</p><p>④ 내부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1류 위험물은 구멍이 뚫린 마개를 사용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8e75645-32a1-09f8-7d6c-5b4a3928170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[보기]의 제1류 위험물을 동일한 옥내저장소에 저장하고자 할 때, 법령상 혼재가 가능한 위험물로만 짝지어진 것은?</p><p>[보기]</p><p>A: 질산칼륨 (제1류)</p><p>B: 유황 (제2류)</p><p>C: 황린 (제3류)</p><p>D: 질산 (제6류)</p><p>① A와 B</p><p>② A와 C</p><p>③ A, C, D</p><p>④ A와 D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9f84636-2190-8e7d-6c5b-4a39281706f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창고 관리자가 다음과 같은 위험물을 보관하고 있을 때, 지정수량 배수의 총합은 얼마인가?</p><ul><li>과염소산칼륨: <span class='math-tex'>\\(2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li><li>질산암모늄: <span class='math-tex'>\\(1,2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li><li>중크롬산칼륨: <span class='math-tex'>\\(5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li></ul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6.5\\)</span>배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8.5\\)</span>배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9.5\\)</span>배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0.5\\)</span>배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0e73627-108f-7d6c-5b4a-39281706f5e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제1류 위험물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염소산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ClO_3\\)</span>)</p><p>② 과산화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</p><p>③ 과염소산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ClO_4\\)</span>)</p><p>④ 요오드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IO_3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c1d62518-0f7e-6c5b-4a39-281706f5e4d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(예: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_2O_2\\)</span>) 화재 시, 물이나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사용할 수 <u>없는</u> 주된 이유는?</p><p>① 물질 자체가 불연성이므로 냉각 효과가 없기 때문에</p><p>② 연소 시 유독성 가스인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③ 소화약제와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인 수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④ 소화약제(물, 이산화탄소)와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시켜 화재를 확대시키기 때문에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d2c51409-fe6d-5b4a-3928-1706f5e4d3c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아염소산나트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ClO_2\\)</span>)이 산(Acid)과 반응할 때 발생하는 유독성 가스는 무엇인가?</p><p>① 산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2\\)</span>)</p><p>② 이산화염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O_2\\)</span>)</p><p>③ 염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_2\\)</span>)</p><p>④ 수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e3b403fa-ed5c-4a39-2817-06f5e4d3c2b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 중 질산염류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질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NO_3\\)</span>)은 흑색화약의 원료로 사용된다.</p><p>② 질산나트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NO_3\\)</span>)은 조해성이 있어 습기에 주의해야 한다.</p><p>③ 질산암모늄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NO_3\\)</span>)은 가열, 충격에 의해 폭발할 수 있으며 물에 녹을 때 발열한다.</p><p>④ 대부분 물에 잘 녹으며, 가열 시 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f493f2eb-dc4b-3928-1706-f5e4d3c2b1a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, 옥내저장소에 제1류 위험물과 제3류 위험물 중 황린을 1m 이상 간격을 두어 함께 저장하였다. 이 저장 방식이 허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?</p><p>① 황린은 제3류 위험물이지만 금수성 물질이 아니기 때문이다.</p><p>② 제1류 위험물은 모두 불연성이므로 안전하기 때문이다.</p><p>③ 황린은 물 속에 저장하며, 제1류 위험물은 대부분 물로 소화하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.</p><p>④ 두 위험물 모두 위험등급이 I 등급으로 같기 때문이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482e1dc-cb3a-2817-06f5-e4d3c2b1a0f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차량으로 운반할 때, 해당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하는 \"위험물\" 표지의 규격이 한 변의 길이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0.3\\,\\,\\{\\rm m\\}\\)</span>, 다른 한 변의 길이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0.6\\,\\,\\{\\rm m\\}\\)</span>인 직사각형일 경우, 이 표지의 바탕색과 문자색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백색 바탕에 흑색 문자</p><p>② 적색 바탕에 백색 문자</p><p>③ 청색 바탕에 백색 문자</p><p>④ 흑색 바탕에 황색 문자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593d0cd-ba29-1706-f5e4-d3c2b1a0f9e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<u>먼</u> 것은?</p><p>① 가열·충격·마찰을 피하고, 환기가 잘되는 냉암소에 보관한다.</p><p>② 가연물, 유기물 등 산화되기 쉬운 물질과의 접촉을 피한다.</p><p>③ 모든 제1류 위험물은 물에 대한 안정성이 높으므로 물로 소화한다.</p><p>④ 용기 파손을 방지하고, 물질이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·밀전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6a4bfbe-a918-0605-e4d3-c2b1a0f9e8d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의 화재 시 이산화탄소, 포, 분말소화약제(탄산수소염류) 등을 이용한 질식소화가 효과적이지 <u>못한</u> 주된 이유는?</p><p>① 물질 자체가 가연성이기 때문에</p><p>② 물질 내부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외부 산소 공급 차단이 무의미하기 때문에</p><p>③ 소화약제와 반응하여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④ 물보다 가벼워 소화약제가 덮이지 않기 때문에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795aead-9877-f504-d3c2-b1a0f9e8d7c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에 해당하는 것은?</p><p>① 질산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NO_3\\)</span>)</p><p>② 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\\)</span>)</p><p>③ 브롬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BrO_3\\)</span>)</p><p>④ 유황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S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8a6999e-8766-e403-c2b1-a0f9e8d7c6b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제1류 위험물 중,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지정수량이 나머지 셋과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염소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</p><p>② 아염소산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ClO_2\\)</span>)</p><p>③ 과산화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</p><p>④ 질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NO_3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9b78a8f-7655-d302-b1a0-9f8e7d6c5b4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외벽이 내화구조가 아닌 옥내저장소의 연면적이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\\,\\,\\{\\rm m}^2\\)</span>이며, 이곳에 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 <span class='math-tex'>\\(1,0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을 저장하고 있다. 이 옥내저장소의 소화설비 소요단위는 총 얼마인가?</p><p>① 3 단위</p><p>② 4 단위</p><p>③ 5 단위</p><p>④ 6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ac87980-6544-c201-a0f9-8e7d6c5b4a3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(무기과산화물 제외)이 목재, 종이 등 일반 가연물과 혼합되어 쌓여있는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. 이 경우 가장 주된 소화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방사하여 산소 농도를 낮춘다.</p><p>②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부촉매(억제) 효과를 유도한다.</p><p>③ 다량의 물(주수)을 방사하여 냉각소화한다.</p><p>④ 마른 모래로 덮어 산소 공급을 차단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bd96a71-5433-b100-9f8e-7d6c5b4a392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은 공통적으로 조해성(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녹는 성질)을 가진 경우가 많다. 이러한 위험물을 운반하거나 저장할 때 가장 중요한 조치는?</p><p>① 용기에 구멍이 뚫린 마개(통기구)를 사용하여 내부 압력을 조절한다.</p><p>② 용기 파손 시 확산을 막기 위해 보호액(석유 등)에 담가 보관한다.</p><p>③ 습기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를 밀전(密栓) 또는 밀봉(密封)한다.</p><p>④ 물 속에 담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ce85b62-4322-a0ff-8e7d-6c5b4a39281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[보기]의 성질을 모두 만족하는 제1류 위험물은?</p><p>[보기]</p><ul><li>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등급 I에 해당한다.</li><li>담황색 또는 백색의 분말이다.</li><li>물과 반응하면 발열하며 산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2\\)</span>)를 발생시킨다.</li></ul><p>① 염소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</p><p>② 과산화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_2O_2\\)</span>)</p><p>③ 질산암모늄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NO_3\\)</span>)</p><p>④ 과망간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MnO_4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df94a53-3211-9fee-7d6c-5b4a3928170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어떤 위험물 옥내저장소에 소화설비로 마른 모래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,\\,\\{\\rm L\\}\\)</span>짜리 3포대와 팽창질석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,\\,\\{\\rm L\\}\\)</span>짜리 2포대를 비치하였다. 이 저장소가 갖춘 총 소화능력단위는 얼마인가?</p><p>① 2.0 단위</p><p>② 2.5 단위</p><p>③ 3.0 단위</p><p>④ 3.5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ef83944-2100-8edd-6c5b-4a39281706f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NCS 학습모듈의 성상 실험에서, 양초 위에 소량을 올려놓고 제4류 위험물인 글리세린을 몇 방울 떨어뜨렸을 때, 잠시 후 연기가 나며 스스로 발화하는 반응을 보인 제1류 위험물은 무엇인가?</p><p>① 과망간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MnO_4\\)</span>)</p><p>② 과산화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_2O_2\\)</span>)</p><p>③ 염소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</p><p>④ 질산암모늄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NO_3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fd72835-1ff0-7dcc-5b4a-39281706f5e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제1류 위험물 품명별 저장 및 취급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아염소산염류: 강산과 접촉 시 유독성의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므로 산과의 접촉을 피한다.</p><p>② 질산나트륨: 조해성이 있으므로 건조한 장소에 밀전하여 저장한다.</p><p>③ 무기과산화물: 물과 격렬히 반응하므로 물, 습기와의 접촉을 피하고 밀봉한다.</p><p>④ 과망간산염류: 금속 용기와의 반응성이 없으므로 반드시 금속 용기에만 저장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c0c61726-0ee1-6cbb-4a39-281706f5e4d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옥내저장소의 혼재 기준으로 판단할 때, 다음 저장 방법 중 법령상 <u>위반</u>되는 사례는? (단, 모든 위험물은 지정수량 이상이며 1m 이상 이격)</p><p>① 제1류 위험물(과염소산칼륨)과 제6류 위험물(질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② 제1류 위험물(질산칼륨)과 제5류 위험물(유기과산화물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③ 제1류 위험물(과산화나트륨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④ 제1류 위험물(염소산암모늄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d1b50617-fdd2-5caa-3928-1706f5e4d3c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염류(예: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가 진한 황산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SO_4\\)</span>)과 혼촉(접촉)할 경우, 분해하여 발생하는 폭발성, 유독성 가스는 무엇인가?</p><p>① 이산화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O_2\\)</span>)</p><p>② 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_2\\)</span>)</p><p>③ 오존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3\\)</span>)</p><p>④ 수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e2a40508-ecc3-4b99-2817-06f5e4d3c2b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화재가 발생하여 제1류 위험물인 과산화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 저장 드럼과 그 주변의 목재 파레트(일반 가연물)에 불이 옮겨붙었다. 현장에 도착한 소화대원이 옥내소화전(물)만을 사용할 수 있을 때,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는?</p><p>① 과산화칼륨 드럼에 집중적으로 주수하여 신속히 냉각시킨다.</p><p>② 목재 파레트에 주수하여 연소 확대를 방지하되, 과산화칼륨에는 물이 닿지 않도록 극히 주의한다.</p><p>③ 물은 위험하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고, 마른 모래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.</p><p>④ 포(Foam) 소화약제를 신속히 준비하여 전체를 덮는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f39394f9-dbb4-3a88-1706-f5e4d3c2b1a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NCS 학습모듈에 따라 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'분립상 물품 연소시험'을 수행하고자 한다. 이때 표준물질(Standard)과 시험물품(Test Sample)의 혼합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표준물질: 과염소산칼륨과 목분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및 8:2 중량비)</p><p>② 표준물질: 질산칼륨과 목분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및 8:2 중량비)</p><p>③ 표준물질: 과염소산칼륨과 적린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적린 (1:1 중량비)</p><p>④ 표준물질: 질산칼륨과 목분 (8:2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중량비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4a2b3c4-caa5-2987-06f5-e4d3c2b1a0f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혼재가 가능한 제1류 위험물(질산칼륨)과 제6류 위험물(과산화수소)을 동일 옥내저장소에 보관 중 화재가 발생하였다. 이때의 소화 대책으로 가장 <u>부적절한</u> 것은?</p><p>① 다량의 물을 방사하여 냉각소화하는 것을 주된 소화방법으로 한다.</p><p>②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를 작동시켜 신속히 질식소화한다.</p><p>③ 소화 작업 시 산소 및 유독가스 발생에 대비하여 공기호흡기 등 보호장구를 착용한다.</p><p>④ 화재가 확대되지 않도록 주변의 다른 가연물을 신속히 제거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5b3c4d5-b994-1876-f5e4-d3c2b1a0f9e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제1류 위험물 품명별 저장 및 취급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아염소산염류: 강산과 접촉 시 유독성의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므로 산과의 접촉을 피한다.</p><p>② 질산나트륨: 조해성이 있으므로 건조한 장소에 밀전하여 저장한다.</p><p>③ 무기과산화물: 물과 격렬히 반응하므로 물, 습기와의 접촉을 피하고 밀봉한다.</p><p>④ 과망간산염류: 금속 용기와의 반응성이 없으므로 반드시 금속 용기에만 저장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6c4d5e6-a883-0765-e4d3-c2b1a0f9e8d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옥내저장소의 혼재 기준으로 판단할 때, 다음 저장 방법 중 법령상 <u>위반</u>되는 사례는? (단, 모든 위험물은 지정수량 이상이며 1m 이상 이격)</p><p>① 제1류 위험물(과염소산칼륨)과 제6류 위험물(질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② 제1류 위험물(질산칼륨)과 제5류 위험물(유기과산화물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③ 제1류 위험물(과산화나트륨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④ 제1류 위험물(염소산암모늄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7d5e6f7-9972-f654-d3c2-b1a0f9e8d7c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염류(예: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가 진한 황산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SO_4\\)</span>)과 혼촉(접촉)할 경우, 분해하여 발생하는 폭발성, 유독성 가스는 무엇인가?</p><p>① 이산화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O_2\\)</span>)</p><p>② 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_2\\)</span>)</p><p>③ 오존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3\\)</span>)</p><p>④ 수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8e6f708-8861-e543-c2b1-a0f9e8d7c6b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화재가 발생하여 제1류 위험물인 과산화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 저장 드럼과 그 주변의 목재 파레트(일반 가연물)에 불이 옮겨붙었다. 현장에 도착한 소화대원이 옥내소화전(물)만을 사용할 수 있을 때,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는?</p><p>① 과산화칼륨 드럼에 집중적으로 주수하여 신속히 냉각시킨다.</p><p>② 목재 파레트에 주수하여 연소 확대를 방지하되, 과산화칼륨에는 물이 닿지 않도록 극히 주의한다.</p><p>③ 물은 위험하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고, 마른 모래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.</p><p>④ 포(Foam) 소화약제를 신속히 준비하여 전체를 덮는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9f7g809-7750-d432-b1a0-9f8e7d6c5b4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NCS 학습모듈에 따라 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'분립상 물품 연소시험'을 수행하고자 한다. 이때 표준물질(Standard)과 시험물품(Test Sample)의 혼합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표준물질: 과염소산칼륨과 목분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및 8:2 중량비)</p><p>② 표준물질: 질산칼륨과 목분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및 8:2 중량비)</p><p>③ 표준물질: 과염소산칼륨과 적린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적린 (1:1 중량비)</p><p>④ 표준물질: 질산칼륨과 목분 (8:2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중량비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af8h90a-663f-c321-a0f9-8e7d6c5b4a3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혼재가 가능한 제1류 위험물(질산칼륨)과 제6류 위험물(과산화수소)을 동일 옥내저장소에 보관 중 화재가 발생하였다. 이때의 소화 대책으로 가장 <u>부적절한</u> 것은?</p><p>① 다량의 물을 방사하여 냉각소화하는 것을 주된 소화방법으로 한다.</p><p>②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를 작동시켜 신속히 질식소화한다.</p><p>③ 소화 작업 시 산소 및 유독가스 발생에 대비하여 공기호흡기 등 보호장구를 착용한다.</p><p>④ 화재가 확대되지 않도록 주변의 다른 가연물을 신속히 제거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b09i01b-552e-b210-9f8e-7d6c5b4a392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제1류 위험물 품명별 저장 및 취급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아염소산염류: 강산과 접촉 시 유독성의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므로 산과의 접촉을 피한다.</p><p>② 질산나트륨: 조해성이 있으므로 건조한 장소에 밀전하여 저장한다.</p><p>③ 무기과산화물: 물과 격렬히 반응하므로 물, 습기와의 접촉을 피하고 밀봉한다.</p><p>④ 과망간산염류: 금속 용기와의 반응성이 없으므로 반드시 금속 용기에만 저장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c1a112c-441d-a10f-8e7d-6c5b4a39281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옥내저장소의 혼재 기준으로 판단할 때, 다음 저장 방법 중 법령상 <u>위반</u>되는 사례는? (단, 모든 위험물은 지정수량 이상이며 1m 이상 이격)</p><p>① 제1류 위험물(과염소산칼륨)과 제6류 위험물(질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② 제1류 위험물(질산칼륨)과 제5류 위험물(유기과산화물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③ 제1류 위험물(과산화나트륨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④ 제1류 위험물(염소산암모늄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d2b223d-330c-910e-7d6c-5b4a3928170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염류(예: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가 진한 황산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SO_4\\)</span>)과 혼촉(접촉)할 경우, 분해하여 발생하는 폭발성, 유독성 가스는 무엇인가?</p><p>① 이산화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O_2\\)</span>)</p><p>② 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_2\\)</span>)</p><p>③ 오존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3\\)</span>)</p><p>④ 수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e3c334e-22fb-80fd-6c5b-4a39281706f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화재가 발생하여 제1류 위험물인 과산화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 저장 드럼과 그 주변의 목재 파레트(일반 가연물)에 불이 옮겨붙었다. 현장에 도착한 소화대원이 옥내소화전(물)만을 사용할 수 있을 때,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는?</p><p>① 과산화칼륨 드럼에 집중적으로 주수하여 신속히 냉각시킨다.</p><p>② 목재 파레트에 주수하여 연소 확대를 방지하되, 과산화칼륨에는 물이 닿지 않도록 극히 주의한다.</p><p>③ 물은 위험하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고, 마른 모래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.</p><p>④ 포(Foam) 소화약제를 신속히 준비하여 전체를 덮는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f4d445f-11ea-70ec-5b4a-39281706f5e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NCS 학습모듈의 성상 실험에서, 양초 위에 소량을 올려놓고 제4류 위험물인 글리세린을 몇 방울 떨어뜨렸을 때, 잠시 후 연기가 나며 스스로 발화하는 반응을 보인 제1류 위험물은 무엇인가?</p><p>① 과망간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MnO_4\\)</span>)</p><p>② 과산화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_2O_2\\)</span>)</p><p>③ 염소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</p><p>④ 질산암모늄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NO_3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
],
"contents": [
{
"id": "f439f805-7c30-467d-846f-532e6fbff566",
"units": [
{
"id": "7ad978b7-31c5-492e-9b92-f704091edd72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0f1e2d3c-4b5a-6978-8c9d-a0b1c2d3e4f5",
"10e9d8c7-b6a5-9483-7261-50f4e3d2c1b0",
"21d0cfe1-3243-45a6-87b9-c0d1e2f30495",
"32c1b0a9-98f7-65e4-3d2c-1b0a9f8e7d6c",
"43b2a190-87f6-54e3-2c1b-0a9f8e7d6c5b",
"54a39281-76e5-43d2-1b0a-9f8e7d6c5b4a",
"76c57463-54c3-21b0-9f8e-7d6c5b4a3928",
"a9f84636-2190-8e7d-6c5b-4a39281706f5",
"b0e73627-108f-7d6c-5b4a-39281706f5e4",
"e3b403fa-ed5c-4a39-2817-06f5e4d3c2b1",
"3795aead-9877-f504-d3c2-b1a0f9e8d7c6",
"48a6999e-8766-e403-c2b1-a0f9e8d7c6b5",
"8ce85b62-4322-a0ff-8e7d-6c5b4a392817",
"aef83944-2100-8edd-6c5b-4a39281706f5",
"d1b50617-fdd2-5caa-3928-1706f5e4d3c2",
"f493f2eb-dc4b-3928-1706-f5e4d3c2b1a0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70162ca8-25bd-4bfb-acfa-105b2d15c6c1",
"units": [
{
"id": "4488bca5-18a2-4e4e-9539-3eb860071167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87d66554-43b2-10a9-8e7d-6c5b4a392817",
"98e75645-32a1-09f8-7d6c-5b4a39281706",
"0482e1dc-cb3a-2817-06f5-e4d3c2b1a0f9",
"1593d0cd-ba29-1706-f5e4-d3c2b1a0f9e8",
"26a4bfbe-a918-0605-e4d3-c2b1a0f9e8d7",
"59b78a8f-7655-d302-b1a0-9f8e7d6c5b4a",
"7bd96a71-5433-b100-9f8e-7d6c5b4a3928",
"c0c61726-0ee1-6cbb-4a39-281706f5e4d3",
"37d5e6f7-9972-f654-d3c2-b1a0f9e8d7c6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5c9f0498-6a67-48e7-9237-9ce642b8156c",
"units": [
{
"id": "ea471a96-69b2-43ef-b0e9-23a66c75626d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65b48372-65d4-32c1-0a9f-8e7d6c5b4a39",
"c1d62518-0f7e-6c5b-4a39-281706f5e4d3",
"26a4bfbe-a918-0605-e4d3-c2b1a0f9e8d7",
"6ac87980-6544-c201-a0f9-8e7d6c5b4a39",
"9df94a53-3211-9fee-7d6c-5b4a39281706",
"e2a40508-ecc3-4b99-2817-06f5e4d3c2b1",
"04a2b3c4-caa5-2987-06f5-e4d3c2b1a0f9",
"6af8h90a-663f-c321-a0f9-8e7d6c5b4a39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
]
}
Applied: 2025-11-05 17:05:19
Elements Added
41
Elements Updated
0
차시 목록 Affected
3
Summary: 41 elements added, 3 lessons affected
View Patch JSON
{
"elements": [
{
"_id": "0f1e2d3c-4b5a-6978-8c9d-a0b1c2d3e4f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의 공통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대부분 불연성 물질이나, 다른 물질의 연소를 돕는 조연성 가스(산소)를 방출한다.</p><p>② 대부분 무기화합물이며, 일반적으로 강한 산화제이다.</p><p>③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은 물과 접촉 시 발열하며 산소를 발생시킨다.</p><p>④ 가연물과 혼합 시 충격, 마찰에 의해 쉽게 발화하며, 주수소화 시 모두 냉각 효과가 크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e9d8c7-b6a5-9483-7261-50f4e3d2c1b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품명과 지정수량의 연결이 옳은 것은?</p><p>① 과염소산염류 - <span class='math-tex'>\\(3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<p>② 질산염류 -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<p>③ 무기과산화물 -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<p>④ 중크롬산염류 - <span class='math-tex'>\\(3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1d0cfe1-3243-45a6-87b9-c0d1e2f3049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류 위험물 중 ‘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’에 해당하는 물질의 화재 시, 운반용기 외부에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 주의사항으로 모두 짝지어진 것은?</p><p>① 화기엄금, 물기엄금</p><p>② 화기·충격주의, 가연물접촉주의</p><p>③ 화기·충격주의, 가연물접촉주의, 물기엄금</p><p>④ 화기주의, 가연물접촉주의, 물기엄금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2c1b0a9-98f7-65e4-3d2c-1b0a9f8e7d6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과망간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MnO_4\\)</span>)이 약 <span class='math-tex'>\\(240^\\circ\\{\\rm C\\}\\)</span>에서 열분해될 때 발생하는 물질로 옳은 것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MnO_4,\\,\\,MnO_2,\\,\\,O_2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,\\,\\,Mn,\\,\\,O_2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,\\,\\,MnO_2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,\\,\\,MnO,\\,\\,O_2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3b2a190-87f6-54e3-2c1b-0a9f8e7d6c5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의 성질 및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무색의 판상 결정으로, 비중은 약 2.3이며 물에 잘 녹는다.</p><p>② 약 <span class='math-tex'>\\(400^\\circ\\{\\rm C\\}\\)</span>에서 분해하여 산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2\\)</span>)를 방출한다.</p><p>③ 유황, 목탄 등 가연물과 혼합하여 가열, 충격, 마찰 시 폭발 위험이 있다.</p><p>④ 물과 격렬히 반응하므로 저장 시 석유 속에 보관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4a39281-76e5-43d2-1b0a-9f8e7d6c5b4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제1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물질로만 짝지어진 것은?</p><p>① 과산화나트륨, 과산화수소, 과염소산</p><p>② 아염소산나트륨, 질산칼륨, 질산암모늄</p><p>③ 염소산칼륨, 황린, 적린</p><p>④ 중크롬산칼륨, 질산, 과산화벤조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5b48372-65d4-32c1-0a9f-8e7d6c5b4a3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작업자가 제1류 위험물인 과산화나트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_2O_2\\)</span>)이 담긴 드럼통을 옥외 운반하던 중 실수로 넘어뜨려 아스팔트 바닥에 다량 쏟았습니다. 이때 작업자의 응급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즉시 다량의 물을 뿌려 냉각시키고 희석한다.</p><p>②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방사하여 신속하게 덮는다.</p><p>③ 젖은 모래나 젖은 팽창질석으로 덮어 확산을 방지한다.</p><p>④ 신속하게 마른 모래(건조사)나 팽창질석으로 덮고, 빗물에 닿지 않게 방수포로 덮는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6c57463-54c3-21b0-9f8e-7d6c5b4a392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 중 위험등급이 I 에 해당하며,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키고 수용액은 강한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물질은?</p><p>① 질산암모늄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NO_3\\)</span>)</p><p>② 과산화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</p><p>③ 과망간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MnO_4\\)</span>)</p><p>④ 중크롬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Cr_2O_7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7d66554-43b2-10a9-8e7d-6c5b4a39281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의 저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조해성이 있는 질산나트륨 등은 습기를 피해 용기를 밀봉하여 저장한다.</p><p>②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은 물과의 반응을 막기 위해 용기를 밀전, 밀봉한다.</p><p>③ 가연물, 유기물 등과의 접촉을 피하고 환기가 잘되는 냉암소에 보관한다.</p><p>④ 내부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1류 위험물은 구멍이 뚫린 마개를 사용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8e75645-32a1-09f8-7d6c-5b4a3928170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[보기]의 제1류 위험물을 동일한 옥내저장소에 저장하고자 할 때, 법령상 혼재가 가능한 위험물로만 짝지어진 것은?</p><p>[보기]</p><p>A: 질산칼륨 (제1류)</p><p>B: 유황 (제2류)</p><p>C: 황린 (제3류)</p><p>D: 질산 (제6류)</p><p>① A와 B</p><p>② A와 C</p><p>③ A, C, D</p><p>④ A와 D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9f84636-2190-8e7d-6c5b-4a39281706f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창고 관리자가 다음과 같은 위험물을 보관하고 있을 때, 지정수량 배수의 총합은 얼마인가?</p><ul><li>과염소산칼륨: <span class='math-tex'>\\(2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li><li>질산암모늄: <span class='math-tex'>\\(1,2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li><li>중크롬산칼륨: <span class='math-tex'>\\(5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li></ul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6.5\\)</span>배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8.5\\)</span>배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9.5\\)</span>배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0.5\\)</span>배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0e73627-108f-7d6c-5b4a-39281706f5e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제1류 위험물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염소산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ClO_3\\)</span>)</p><p>② 과산화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</p><p>③ 과염소산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ClO_4\\)</span>)</p><p>④ 요오드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IO_3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c1d62518-0f7e-6c5b-4a39-281706f5e4d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(예: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_2O_2\\)</span>) 화재 시, 물이나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사용할 수 <u>없는</u> 주된 이유는?</p><p>① 물질 자체가 불연성이므로 냉각 효과가 없기 때문에</p><p>② 연소 시 유독성 가스인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③ 소화약제와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인 수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④ 소화약제(물, 이산화탄소)와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시켜 화재를 확대시키기 때문에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d2c51409-fe6d-5b4a-3928-1706f5e4d3c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아염소산나트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ClO_2\\)</span>)이 산(Acid)과 반응할 때 발생하는 유독성 가스는 무엇인가?</p><p>① 산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2\\)</span>)</p><p>② 이산화염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O_2\\)</span>)</p><p>③ 염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_2\\)</span>)</p><p>④ 수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e3b403fa-ed5c-4a39-2817-06f5e4d3c2b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 중 질산염류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질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NO_3\\)</span>)은 흑색화약의 원료로 사용된다.</p><p>② 질산나트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NO_3\\)</span>)은 조해성이 있어 습기에 주의해야 한다.</p><p>③ 질산암모늄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NO_3\\)</span>)은 가열, 충격에 의해 폭발할 수 있으며 물에 녹을 때 발열한다.</p><p>④ 대부분 물에 잘 녹으며, 가열 시 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f493f2eb-dc4b-3928-1706-f5e4d3c2b1a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, 옥내저장소에 제1류 위험물과 제3류 위험물 중 황린을 1m 이상 간격을 두어 함께 저장하였다. 이 저장 방식이 허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?</p><p>① 황린은 제3류 위험물이지만 금수성 물질이 아니기 때문이다.</p><p>② 제1류 위험물은 모두 불연성이므로 안전하기 때문이다.</p><p>③ 황린은 물 속에 저장하며, 제1류 위험물은 대부분 물로 소화하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.</p><p>④ 두 위험물 모두 위험등급이 I 등급으로 같기 때문이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482e1dc-cb3a-2817-06f5-e4d3c2b1a0f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차량으로 운반할 때, 해당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하는 \"위험물\" 표지의 규격이 한 변의 길이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0.3\\,\\,\\{\\rm m\\}\\)</span>, 다른 한 변의 길이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0.6\\,\\,\\{\\rm m\\}\\)</span>인 직사각형일 경우, 이 표지의 바탕색과 문자색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백색 바탕에 흑색 문자</p><p>② 적색 바탕에 백색 문자</p><p>③ 청색 바탕에 백색 문자</p><p>④ 흑색 바탕에 황색 문자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593d0cd-ba29-1706-f5e4-d3c2b1a0f9e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<u>먼</u> 것은?</p><p>① 가열·충격·마찰을 피하고, 환기가 잘되는 냉암소에 보관한다.</p><p>② 가연물, 유기물 등 산화되기 쉬운 물질과의 접촉을 피한다.</p><p>③ 모든 제1류 위험물은 물에 대한 안정성이 높으므로 물로 소화한다.</p><p>④ 용기 파손을 방지하고, 물질이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·밀전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6a4bfbe-a918-0605-e4d3-c2b1a0f9e8d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의 화재 시 이산화탄소, 포, 분말소화약제(탄산수소염류) 등을 이용한 질식소화가 효과적이지 <u>못한</u> 주된 이유는?</p><p>① 물질 자체가 가연성이기 때문에</p><p>② 물질 내부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외부 산소 공급 차단이 무의미하기 때문에</p><p>③ 소화약제와 반응하여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④ 물보다 가벼워 소화약제가 덮이지 않기 때문에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795aead-9877-f504-d3c2-b1a0f9e8d7c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에 해당하는 것은?</p><p>① 질산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NO_3\\)</span>)</p><p>② 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\\)</span>)</p><p>③ 브롬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BrO_3\\)</span>)</p><p>④ 유황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S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8a6999e-8766-e403-c2b1-a0f9e8d7c6b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제1류 위험물 중,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지정수량이 나머지 셋과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염소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</p><p>② 아염소산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ClO_2\\)</span>)</p><p>③ 과산화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</p><p>④ 질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NO_3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9b78a8f-7655-d302-b1a0-9f8e7d6c5b4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외벽이 내화구조가 아닌 옥내저장소의 연면적이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\\,\\,\\{\\rm m}^2\\)</span>이며, 이곳에 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 <span class='math-tex'>\\(1,0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을 저장하고 있다. 이 옥내저장소의 소화설비 소요단위는 총 얼마인가?</p><p>① 3 단위</p><p>② 4 단위</p><p>③ 5 단위</p><p>④ 6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ac87980-6544-c201-a0f9-8e7d6c5b4a3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(무기과산화물 제외)이 목재, 종이 등 일반 가연물과 혼합되어 쌓여있는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. 이 경우 가장 주된 소화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?</p><p>① 이산화탄소 소화기를 방사하여 산소 농도를 낮춘다.</p><p>②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부촉매(억제) 효과를 유도한다.</p><p>③ 다량의 물(주수)을 방사하여 냉각소화한다.</p><p>④ 마른 모래로 덮어 산소 공급을 차단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bd96a71-5433-b100-9f8e-7d6c5b4a392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은 공통적으로 조해성(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녹는 성질)을 가진 경우가 많다. 이러한 위험물을 운반하거나 저장할 때 가장 중요한 조치는?</p><p>① 용기에 구멍이 뚫린 마개(통기구)를 사용하여 내부 압력을 조절한다.</p><p>② 용기 파손 시 확산을 막기 위해 보호액(석유 등)에 담가 보관한다.</p><p>③ 습기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를 밀전(密栓) 또는 밀봉(密封)한다.</p><p>④ 물 속에 담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ce85b62-4322-a0ff-8e7d-6c5b4a39281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[보기]의 성질을 모두 만족하는 제1류 위험물은?</p><p>[보기]</p><ul><li>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등급 I에 해당한다.</li><li>담황색 또는 백색의 분말이다.</li><li>물과 반응하면 발열하며 산소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2\\)</span>)를 발생시킨다.</li></ul><p>① 염소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</p><p>② 과산화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_2O_2\\)</span>)</p><p>③ 질산암모늄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NO_3\\)</span>)</p><p>④ 과망간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MnO_4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df94a53-3211-9fee-7d6c-5b4a3928170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어떤 위험물 옥내저장소에 소화설비로 마른 모래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,\\,\\{\\rm L\\}\\)</span>짜리 3포대와 팽창질석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,\\,\\{\\rm L\\}\\)</span>짜리 2포대를 비치하였다. 이 저장소가 갖춘 총 소화능력단위는 얼마인가?</p><p>① 2.0 단위</p><p>② 2.5 단위</p><p>③ 3.0 단위</p><p>④ 3.5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ef83944-2100-8edd-6c5b-4a39281706f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NCS 학습모듈의 성상 실험에서, 양초 위에 소량을 올려놓고 제4류 위험물인 글리세린을 몇 방울 떨어뜨렸을 때, 잠시 후 연기가 나며 스스로 발화하는 반응을 보인 제1류 위험물은 무엇인가?</p><p>① 과망간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MnO_4\\)</span>)</p><p>② 과산화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_2O_2\\)</span>)</p><p>③ 염소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</p><p>④ 질산암모늄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NO_3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fd72835-1ff0-7dcc-5b4a-39281706f5e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제1류 위험물 품명별 저장 및 취급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아염소산염류: 강산과 접촉 시 유독성의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므로 산과의 접촉을 피한다.</p><p>② 질산나트륨: 조해성이 있으므로 건조한 장소에 밀전하여 저장한다.</p><p>③ 무기과산화물: 물과 격렬히 반응하므로 물, 습기와의 접촉을 피하고 밀봉한다.</p><p>④ 과망간산염류: 금속 용기와의 반응성이 없으므로 반드시 금속 용기에만 저장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c0c61726-0ee1-6cbb-4a39-281706f5e4d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옥내저장소의 혼재 기준으로 판단할 때, 다음 저장 방법 중 법령상 <u>위반</u>되는 사례는? (단, 모든 위험물은 지정수량 이상이며 1m 이상 이격)</p><p>① 제1류 위험물(과염소산칼륨)과 제6류 위험물(질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② 제1류 위험물(질산칼륨)과 제5류 위험물(유기과산화물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③ 제1류 위험물(과산화나트륨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④ 제1류 위험물(염소산암모늄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d1b50617-fdd2-5caa-3928-1706f5e4d3c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염류(예: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가 진한 황산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SO_4\\)</span>)과 혼촉(접촉)할 경우, 분해하여 발생하는 폭발성, 유독성 가스는 무엇인가?</p><p>① 이산화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O_2\\)</span>)</p><p>② 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_2\\)</span>)</p><p>③ 오존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3\\)</span>)</p><p>④ 수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e2a40508-ecc3-4b99-2817-06f5e4d3c2b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화재가 발생하여 제1류 위험물인 과산화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 저장 드럼과 그 주변의 목재 파레트(일반 가연물)에 불이 옮겨붙었다. 현장에 도착한 소화대원이 옥내소화전(물)만을 사용할 수 있을 때,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는?</p><p>① 과산화칼륨 드럼에 집중적으로 주수하여 신속히 냉각시킨다.</p><p>② 목재 파레트에 주수하여 연소 확대를 방지하되, 과산화칼륨에는 물이 닿지 않도록 극히 주의한다.</p><p>③ 물은 위험하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고, 마른 모래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.</p><p>④ 포(Foam) 소화약제를 신속히 준비하여 전체를 덮는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f39394f9-dbb4-3a88-1706-f5e4d3c2b1a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NCS 학습모듈에 따라 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'분립상 물품 연소시험'을 수행하고자 한다. 이때 표준물질(Standard)과 시험물품(Test Sample)의 혼합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표준물질: 과염소산칼륨과 목분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및 8:2 중량비)</p><p>② 표준물질: 질산칼륨과 목분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및 8:2 중량비)</p><p>③ 표준물질: 과염소산칼륨과 적린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적린 (1:1 중량비)</p><p>④ 표준물질: 질산칼륨과 목분 (8:2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중량비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4a2b3c4-caa5-2987-06f5-e4d3c2b1a0f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혼재가 가능한 제1류 위험물(질산칼륨)과 제6류 위험물(과산화수소)을 동일 옥내저장소에 보관 중 화재가 발생하였다. 이때의 소화 대책으로 가장 <u>부적절한</u> 것은?</p><p>① 다량의 물을 방사하여 냉각소화하는 것을 주된 소화방법으로 한다.</p><p>②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를 작동시켜 신속히 질식소화한다.</p><p>③ 소화 작업 시 산소 및 유독가스 발생에 대비하여 공기호흡기 등 보호장구를 착용한다.</p><p>④ 화재가 확대되지 않도록 주변의 다른 가연물을 신속히 제거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5b3c4d5-b994-1876-f5e4-d3c2b1a0f9e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제1류 위험물 품명별 저장 및 취급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아염소산염류: 강산과 접촉 시 유독성의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므로 산과의 접촉을 피한다.</p><p>② 질산나트륨: 조해성이 있으므로 건조한 장소에 밀전하여 저장한다.</p><p>③ 무기과산화물: 물과 격렬히 반응하므로 물, 습기와의 접촉을 피하고 밀봉한다.</p><p>④ 과망간산염류: 금속 용기와의 반응성이 없으므로 반드시 금속 용기에만 저장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6c4d5e6-a883-0765-e4d3-c2b1a0f9e8d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옥내저장소의 혼재 기준으로 판단할 때, 다음 저장 방법 중 법령상 <u>위반</u>되는 사례는? (단, 모든 위험물은 지정수량 이상이며 1m 이상 이격)</p><p>① 제1류 위험물(과염소산칼륨)과 제6류 위험물(질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② 제1류 위험물(질산칼륨)과 제5류 위험물(유기과산화물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③ 제1류 위험물(과산화나트륨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④ 제1류 위험물(염소산암모늄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7d5e6f7-9972-f654-d3c2-b1a0f9e8d7c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염류(예: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가 진한 황산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SO_4\\)</span>)과 혼촉(접촉)할 경우, 분해하여 발생하는 폭발성, 유독성 가스는 무엇인가?</p><p>① 이산화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O_2\\)</span>)</p><p>② 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_2\\)</span>)</p><p>③ 오존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3\\)</span>)</p><p>④ 수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8e6f708-8861-e543-c2b1-a0f9e8d7c6b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화재가 발생하여 제1류 위험물인 과산화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 저장 드럼과 그 주변의 목재 파레트(일반 가연물)에 불이 옮겨붙었다. 현장에 도착한 소화대원이 옥내소화전(물)만을 사용할 수 있을 때,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는?</p><p>① 과산화칼륨 드럼에 집중적으로 주수하여 신속히 냉각시킨다.</p><p>② 목재 파레트에 주수하여 연소 확대를 방지하되, 과산화칼륨에는 물이 닿지 않도록 극히 주의한다.</p><p>③ 물은 위험하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고, 마른 모래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.</p><p>④ 포(Foam) 소화약제를 신속히 준비하여 전체를 덮는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9f7g809-7750-d432-b1a0-9f8e7d6c5b4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NCS 학습모듈에 따라 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'분립상 물품 연소시험'을 수행하고자 한다. 이때 표준물질(Standard)과 시험물품(Test Sample)의 혼합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표준물질: 과염소산칼륨과 목분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및 8:2 중량비)</p><p>② 표준물질: 질산칼륨과 목분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및 8:2 중량비)</p><p>③ 표준물질: 과염소산칼륨과 적린 (1:1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적린 (1:1 중량비)</p><p>④ 표준물질: 질산칼륨과 목분 (8:2 중량비) / 시험물품: 시험물품과 목분 (1:1 중량비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af8h90a-663f-c321-a0f9-8e7d6c5b4a3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혼재가 가능한 제1류 위험물(질산칼륨)과 제6류 위험물(과산화수소)을 동일 옥내저장소에 보관 중 화재가 발생하였다. 이때의 소화 대책으로 가장 <u>부적절한</u> 것은?</p><p>① 다량의 물을 방사하여 냉각소화하는 것을 주된 소화방법으로 한다.</p><p>②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를 작동시켜 신속히 질식소화한다.</p><p>③ 소화 작업 시 산소 및 유독가스 발생에 대비하여 공기호흡기 등 보호장구를 착용한다.</p><p>④ 화재가 확대되지 않도록 주변의 다른 가연물을 신속히 제거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b09i01b-552e-b210-9f8e-7d6c5b4a392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제1류 위험물 품명별 저장 및 취급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아염소산염류: 강산과 접촉 시 유독성의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므로 산과의 접촉을 피한다.</p><p>② 질산나트륨: 조해성이 있으므로 건조한 장소에 밀전하여 저장한다.</p><p>③ 무기과산화물: 물과 격렬히 반응하므로 물, 습기와의 접촉을 피하고 밀봉한다.</p><p>④ 과망간산염류: 금속 용기와의 반응성이 없으므로 반드시 금속 용기에만 저장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c1a112c-441d-a10f-8e7d-6c5b4a39281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옥내저장소의 혼재 기준으로 판단할 때, 다음 저장 방법 중 법령상 <u>위반</u>되는 사례는? (단, 모든 위험물은 지정수량 이상이며 1m 이상 이격)</p><p>① 제1류 위험물(과염소산칼륨)과 제6류 위험물(질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② 제1류 위험물(질산칼륨)과 제5류 위험물(유기과산화물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③ 제1류 위험물(과산화나트륨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<p>④ 제1류 위험물(염소산암모늄)과 제3류 위험물(황린)을 함께 저장하였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d2b223d-330c-910e-7d6c-5b4a3928170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염류(예: 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가 진한 황산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SO_4\\)</span>)과 혼촉(접촉)할 경우, 분해하여 발생하는 폭발성, 유독성 가스는 무엇인가?</p><p>① 이산화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O_2\\)</span>)</p><p>② 염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Cl_2\\)</span>)</p><p>③ 오존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O_3\\)</span>)</p><p>④ 수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H_2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e3c334e-22fb-80fd-6c5b-4a39281706f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화재가 발생하여 제1류 위험물인 과산화칼륨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_2O_2\\)</span>) 저장 드럼과 그 주변의 목재 파레트(일반 가연물)에 불이 옮겨붙었다. 현장에 도착한 소화대원이 옥내소화전(물)만을 사용할 수 있을 때,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는?</p><p>① 과산화칼륨 드럼에 집중적으로 주수하여 신속히 냉각시킨다.</p><p>② 목재 파레트에 주수하여 연소 확대를 방지하되, 과산화칼륨에는 물이 닿지 않도록 극히 주의한다.</p><p>③ 물은 위험하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고, 마른 모래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.</p><p>④ 포(Foam) 소화약제를 신속히 준비하여 전체를 덮는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f4d445f-11ea-70ec-5b4a-39281706f5e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NCS 학습모듈의 성상 실험에서, 양초 위에 소량을 올려놓고 제4류 위험물인 글리세린을 몇 방울 떨어뜨렸을 때, 잠시 후 연기가 나며 스스로 발화하는 반응을 보인 제1류 위험물은 무엇인가?</p><p>① 과망간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MnO_4\\)</span>)</p><p>② 과산화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a_2O_2\\)</span>)</p><p>③ 염소산칼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KClO_3\\)</span>)</p><p>④ 질산암모늄 (<span class='math-tex'>\\(\\rm NH_4NO_3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
],
"contents": [
{
"id": "f439f805-7c30-467d-846f-532e6fbff566",
"units": [
{
"id": "7ad978b7-31c5-492e-9b92-f704091edd72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0f1e2d3c-4b5a-6978-8c9d-a0b1c2d3e4f5",
"10e9d8c7-b6a5-9483-7261-50f4e3d2c1b0",
"21d0cfe1-3243-45a6-87b9-c0d1e2f30495",
"32c1b0a9-98f7-65e4-3d2c-1b0a9f8e7d6c",
"43b2a190-87f6-54e3-2c1b-0a9f8e7d6c5b",
"54a39281-76e5-43d2-1b0a-9f8e7d6c5b4a",
"76c57463-54c3-21b0-9f8e-7d6c5b4a3928",
"a9f84636-2190-8e7d-6c5b-4a39281706f5",
"b0e73627-108f-7d6c-5b4a-39281706f5e4",
"e3b403fa-ed5c-4a39-2817-06f5e4d3c2b1",
"3795aead-9877-f504-d3c2-b1a0f9e8d7c6",
"48a6999e-8766-e403-c2b1-a0f9e8d7c6b5",
"8ce85b62-4322-a0ff-8e7d-6c5b4a392817",
"aef83944-2100-8edd-6c5b-4a39281706f5",
"d1b50617-fdd2-5caa-3928-1706f5e4d3c2",
"f493f2eb-dc4b-3928-1706-f5e4d3c2b1a0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70162ca8-25bd-4bfb-acfa-105b2d15c6c1",
"units": [
{
"id": "4488bca5-18a2-4e4e-9539-3eb860071167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87d66554-43b2-10a9-8e7d-6c5b4a392817",
"98e75645-32a1-09f8-7d6c-5b4a39281706",
"0482e1dc-cb3a-2817-06f5-e4d3c2b1a0f9",
"1593d0cd-ba29-1706-f5e4-d3c2b1a0f9e8",
"26a4bfbe-a918-0605-e4d3-c2b1a0f9e8d7",
"59b78a8f-7655-d302-b1a0-9f8e7d6c5b4a",
"7bd96a71-5433-b100-9f8e-7d6c5b4a3928",
"c0c61726-0ee1-6cbb-4a39-281706f5e4d3",
"37d5e6f7-9972-f654-d3c2-b1a0f9e8d7c6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5c9f0498-6a67-48e7-9237-9ce642b8156c",
"units": [
{
"id": "ea471a96-69b2-43ef-b0e9-23a66c75626d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65b48372-65d4-32c1-0a9f-8e7d6c5b4a39",
"c1d62518-0f7e-6c5b-4a39-281706f5e4d3",
"26a4bfbe-a918-0605-e4d3-c2b1a0f9e8d7",
"6ac87980-6544-c201-a0f9-8e7d6c5b4a39",
"9df94a53-3211-9fee-7d6c-5b4a39281706",
"e2a40508-ecc3-4b99-2817-06f5e4d3c2b1",
"04a2b3c4-caa5-2987-06f5-e4d3c2b1a0f9",
"6af8h90a-663f-c321-a0f9-8e7d6c5b4a39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
]
}
Applied: 2025-11-05 17:00:10
Elements Added
3
Elements Updated
0
차시 목록 Affected
3
Summary: 3 elements added, 3 lessons affected
View Patch JSON
{
"elements": [
{
"_id": "0a1b2c3d-4e5f-6789-ab01-23456789abcd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제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의 공통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대부분 불연성 물질이나, 다른 물질의 연소를 돕는 조연성 가스(산소)를 방출한다.</p><p>② 대부분 무기화합물이며, 일반적으로 강한 산화제이다.</p><p>③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은 물과 접촉 시 발열하며 산소를 발생시킨다.</p><p>④ 가연물과 혼합 시 충격, 마찰에 의해 쉽게 발화하며, 주수소화 시 모두 냉각 효과가 크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b2c3d4e-5f67-489a-b012-3456789abcd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품명과 지정수량의 연결이 옳은 것은?</p><p>① 과염소산염류 - <span class='math-tex'>\\(3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<p>② 질산염류 -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<p>③ 무기과산화물 -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<p>④ 중크롬산염류 - <span class='math-tex'>\\(300\\,\\,\\{\\rm kg\\}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c3d4e5f-6789-4ab0-b123-456789abcdef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류 위험물 중 ‘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’에 해당하는 물질의 화재 시, 운반용기 외부에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 주의사항으로 모두 짝지어진 것은?</p><p>① 화기엄금, 물기엄금</p><p>② 화기·충격주의, 가연물접촉주의</p><p>③ 화기·충격주의, 가연물접촉주의, 물기엄금</p><p>④ 화기주의, 가연물접촉주의, 물기엄금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0,
"head": 0,
"sol_text": [],
"head_text": []
}
}
],
"contents": [
{
"id": "f439f805-7c30-467d-846f-532e6fbff566",
"units": [
{
"id": "7ad978b7-31c5-492e-9b92-f704091edd72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
],
"ids": [
"0a1b2c3d-4e5f-6789-ab01-23456789abcd",
"1b2c3d4e-5f67-489a-b012-3456789abcde",
"2c3d4e5f-6789-4ab0-b123-456789abcdef"
],
"copy": [
0,
0,
0
]
}
]
},
{
"id": "70162ca8-25bd-4bfb-acfa-105b2d15c6c1",
"units": [
{
"id": "4488bca5-18a2-4e4e-9539-3eb860071167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
],
"ids": [
"2c3d4e5f-6789-4ab0-b123-456789abcdef"
],
"copy": [
0
]
}
]
},
{
"id": "5c9f0498-6a67-48e7-9237-9ce642b8156c",
"units": [
{
"id": "ea471a96-69b2-43ef-b0e9-23a66c75626d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
],
"ids": [
"1b2c3d4e-5f67-489a-b012-3456789abcde"
],
"copy": [
0
]
}
]
}
]
}
Applied: 2025-11-05 16:46:11
Elements Added
68
Elements Updated
0
차시 목록 Affected
3
Summary: 68 elements added, 3 lessons affected
View Patch JSON
{
"elements": [
{
"_id": "20000035-0000-0000-0000-00000000003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성 물질이 연소하기 쉬운 조건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활성화 에너지가 작을 것</p><p>② 열전도율이 작을 것</p><p>③ 산소와의 접촉 면적이 클 것</p><p>④ 발열량이 작을 것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35-0000-0000-0000-00000000003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35-0000-0000-0000-00000000003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연소가 쉬운 조건은 활성화 에너지가 작고, 열전도율이 작아 열 축적이 쉬우며, 산소와 접촉 면적이 크고, 발열량이 큰 경우입니다. 따라서 ④가 틀렸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36-0000-0000-0000-00000000003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의 소요 단위를 산정할 때, 위험물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5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<p>② 지정수량의 10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<p>③ 지정수량의 50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<p>④ 지정수량의 100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36-0000-0000-0000-00000000003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36-0000-0000-0000-00000000003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에 대한 소요 단위는 지정수량의 10배를 1 소요 단위로 산정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37-0000-0000-0000-00000000003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소화설비 중 소화 난이도 등급 I의 제조소에 설치하는 옥내소화전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40{\\rm m}\\)</span> 이하여야 한다.</p><p>②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80\\ell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③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5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260\\ell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④ 수원의 수량은 설치 개수(최대 2개)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7.8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37-0000-0000-0000-00000000003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37-0000-0000-0000-00000000003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내소화전은 방수 압력 \\(\\ge 350\\,\\,{\\rm kPa}\\), 방수량 \\(\\ge 260\\ell/{\\rm min}\\)이 기준이며, 수원의 수량은 최대 5개로 계산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38-0000-0000-0000-00000000003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물이 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인 '활성화 에너지'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물질이 연소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이다.</p><p>② 물질이 연소할 때 방출하는 총 열량이다.</p><p>③ 물질이 열을 전달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값이다.</p><p>④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려는 경향성을 나타내는 값이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38-0000-0000-0000-00000000003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38-0000-0000-0000-00000000003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활성화 에너지는 연소 반응이 시작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에너지입니다. 값이 작을수록 점화가 쉽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39-0000-0000-0000-00000000003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의 능력 단위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소화 전용 물통 <span class='math-tex'>\\(8\\ell\\)</span> : 0.3 단위</p><p>② 수조 (소화 전용 물통 3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80\\ell\\)</span> : 1.5 단위</p><p>③ 마른 모래 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ell\\)</span> : 1.0 단위</p><p>④ 팽창질석 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 : 1.0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39-0000-0000-0000-000000000039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39-0000-0000-0000-000000000039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마른 모래 50리터(삽 포함)는 0.5 단위가 기준입니다. 나머지 수치는 제시 기준과 일치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40-0000-0000-0000-00000000004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화재 발생 시 소화 방법의 원리가 나머지 셋과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연소 중인 가연물을 불연성 포(거품)로 덮는다.</p><p>②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산소 농도를 15% 이하로 낮춘다.</p><p>③ 마른 모래를 사용하여 금속 화재를 덮는다.</p><p>④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연쇄반응을 차단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40-0000-0000-0000-00000000004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40-0000-0000-0000-00000000004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①~③은 산소 차단 또는 희석을 통한 질식소화이고, ④는 연쇄반응 억제(부촉매) 소화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41-0000-0000-0000-00000000004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건축물의 화재 시 성장기에서 최성기로 진행될 때, 실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화염이 실내 전체로 확대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?</p><p>① 플래시오버 (Flashover)</p><p>② 백드래프트 (Backdraft)</p><p>③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④ 롤오버 (Rollover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41-0000-0000-0000-00000000004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41-0000-0000-0000-00000000004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플래시오버는 전실화재로 전이되는 시점에 실내 화염이 일시에 확대되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42-0000-0000-0000-00000000004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전기설비(전기 배선, 조명기구 제외)가 설치된 장소에는 해당 장소 면적 얼마마다 소형 수동식 소화기를 1개 이상 설치해야 하는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^2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75{\\rm m}^2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42-0000-0000-0000-00000000004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42-0000-0000-0000-00000000004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전기설비가 설치된 장소에는 면적 100제곱미터마다 소형 수동식 소화기를 1개 이상 설치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43-0000-0000-0000-00000000004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예방규정을 정하여 시·도지사(소방서장)에게 제출해야 하는 대상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10배 이상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</p><p>②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저장소</p><p>③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</p><p>④ 지정수량의 1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지하탱크저장소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43-0000-0000-0000-00000000004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43-0000-0000-0000-00000000004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예방규정 제출 대상에는 제조소(10배 이상), 옥외저장소(100배 이상), 옥내저장소(150배 이상) 등이 포함되며, 지하탱크저장소는 별도로 정기점검 대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44-0000-0000-0000-00000000004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실시해야 하는 정기점검의 횟수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월 1회 이상</p><p>② 분기별 1회 이상</p><p>③ 반기별 1회 이상</p><p>④ 연 1회 이상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44-0000-0000-0000-000000000044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44-0000-0000-0000-000000000044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기점검 대상 제조소등은 연 1회 이상 정기점검을 실시해야 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45-0000-0000-0000-00000000004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 중 '물분무등소화설비'에 해당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포소화설비</p><p>② 이산화탄소소화설비</p><p>③ 옥내소화전설비</p><p>④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45-0000-0000-0000-00000000004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45-0000-0000-0000-00000000004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분무등소화설비에는 포, 이산화탄소, 할로겐화합물, 분말 등이 포함되고 옥내소화전설비는 별도 분류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46-0000-0000-0000-00000000004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정기점검을 실시해야 하는 대상에 해당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 150배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</p><p>② 지하탱크저장소</p><p>③ 이동탱크저장소</p><p>④ 지정수량 100배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46-0000-0000-0000-00000000004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46-0000-0000-0000-00000000004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기점검 대상에는 예방규정 대상, 지하탱크저장소, 이동탱크저장소 등이 포함됩니다. 옥외탱크저장소는 보통 지정수량 200배 이상일 때 예방규정 대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47-0000-0000-0000-00000000004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질의 화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유기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탄소를 함유하고 불에 타기 쉬우며, 무기화합물은 불에 타기 어려운 것이 많다.</p><p>② 산화반응은 어떤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거나 수소를 잃는 반응을 말한다.</p><p>③ 환원반응은 어떤 물질이 산소를 잃거나 수소와 결합하는 반응을 말한다.</p><p>④ 촉매는 화학반응 시 자신은 소모되면서 반응 속도를 조절하는 물질이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47-0000-0000-0000-00000000004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47-0000-0000-0000-00000000004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촉매는 반응 속도를 변화시키지만 반응 전후에 소모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48-0000-0000-0000-00000000004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압축열, 마찰열, 유도열 등은 점화원의 종류 중 어디에 속하는가?</p><p>① 화학적 에너지</p><p>② 전기적 에너지</p><p>③ 기계적 에너지</p><p>④ 원자력 에너지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48-0000-0000-0000-00000000004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48-0000-0000-0000-00000000004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압축열, 마찰열, 유도열 등은 기계적 에너지에 의한 점화원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49-0000-0000-0000-00000000004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화재 시 다량의 물을 사용하여 냉각소화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위험물은?</p><p>① 제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</p><p>② 제2류 위험물 중 마그네슘</p><p>③ 제3류 위험물 중 칼륨</p><p>④ 제5류 위험물 중 유기과산화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49-0000-0000-0000-000000000049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49-0000-0000-0000-000000000049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은 자체 산소로 연소하므로 질식소화가 어렵고, 대량의 물로 냉각소화하는 방법이 적합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50-0000-0000-0000-00000000005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C급 화재에 해당하며, 소화 시 감전의 위험이 있어 물이나 포소화약제 사용에 제한이 있는 화재는?</p><p>① 일반화재</p><p>② 유류화재</p><p>③ 전기화재</p><p>④ 금속화재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50-0000-0000-0000-00000000005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50-0000-0000-0000-00000000005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C급은 전기화재로, 물이나 포 사용 시 감전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51-0000-0000-0000-00000000005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4류 위험물 화재 시 소화가 곤란한 현상 중, 탱크 저부에 물이 고여 있는 상태에서 중질유 화재가 장시간 지속될 때, 유류 표면의 열류층이 하강하여 저부의 물을 급격히 증발시켜 유류를 탱크 밖으로 분출시키는 현상은?</p><p>① 블레비 (BLEVE)</p><p>② 슬롭오버 (Slopover)</p><p>③ 프로스오버 (Frothover)</p><p>④ 보일오버 (Boilover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51-0000-0000-0000-00000000005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51-0000-0000-0000-00000000005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보일오버는 열류층이 수층에 도달해 물이 급비등하며 유류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52-0000-0000-0000-00000000005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소화설비 중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가 감지기에 의해 감지되어 작동하는 방식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옥내소화전설비</p><p>② 이산화탄소소화설비 (전역방출방식)</p><p>③ 분말소화설비 (전역방출방식)</p><p>④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(전역방출방식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52-0000-0000-0000-00000000005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52-0000-0000-0000-00000000005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스계 전역방출 설비는 감지기와 연동해 자동 작동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, 옥내소화전은 수동 조작이 원칙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53-0000-0000-0000-00000000005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환기설비의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환기는 자연 배기 방식으로 한다.</p><p>② 급기구는 바닥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마다 1개 이상, 크기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800{\\rm cm}^2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<p>③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하고 인화 방지망을 설치한다.</p><p>④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<span class='math-tex'>\\(2{\\rm m}\\)</span>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53-0000-0000-0000-00000000005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53-0000-0000-0000-00000000005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급기구는 낮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며, 높은 곳은 배출설비의 급기구 기준과 혼동하기 쉽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54-0000-0000-0000-00000000005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연소의 3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?</p><p>가. 가연물: 산화되기 쉬운 물질로, 활성화 에너지가 작고 발열량이 커야 한다.</p><p>나. 산소 공급원: 산소, 제1류 위험물, 제6류 위험물 등이 해당된다.</p><p>다. 점화원: 정전기, 단열압축열, 산화열 등이 해당되며, 가연물에 활성화 에너지를 제공한다.</p><p>① 가</p><p>② 가, 나</p><p>③ 나, 다</p><p>④ 가, 나, 다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54-0000-0000-0000-000000000054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54-0000-0000-0000-000000000054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물, 산소 공급원, 점화원에 대한 설명이 모두 타당하므로 ④가 정답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55-0000-0000-0000-00000000005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옥외소화전설비의 설치 개수가 6개일 때, 확보해야 할 최소 수원의 수량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27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54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81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08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55-0000-0000-0000-00000000005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55-0000-0000-0000-00000000005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수원의 수량은 옥외소화전 설치 개수(최대 4개) × 13.5㎥이므로 4×13.5=54.0㎥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56-0000-0000-0000-00000000005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질의 폭발성, 반응성, 강산성 등은 위험성을 분류할 때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?</p><p>① 화학적 위험성</p><p>② 물리적 위험성</p><p>③ 생리적 위험성</p><p>④ 기계적 위험성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56-0000-0000-0000-00000000005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56-0000-0000-0000-00000000005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폭발성, 반응성, 강산성 등은 물질의 화학적 특성에서 기인하므로 화학적 위험성에 해당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57-0000-0000-0000-00000000005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지정수량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등에 설치해야 하는 경보설비의 종류가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자동화재탐지설비</p><p>② 비상경보설비</p><p>③ 자동화재속보설비</p><p>④ 휴대용 확성기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57-0000-0000-0000-00000000005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57-0000-0000-0000-00000000005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기본 경보설비는 자동화재탐지, 비상경보, 확성장치(휴대용 포함) 등이며 자동화재속보설비는 별도 요건에서 요구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58-0000-0000-0000-00000000005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소화약제와 그 주된 소화 효과의 연결이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물 - 냉각 효과</p><p>② 포소화약제 - 질식 효과</p><p>③ 이산화탄소 - 억제 효과</p><p>④ 제3종 분말소화약제 - 질식 및 억제 효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58-0000-0000-0000-00000000005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58-0000-0000-0000-00000000005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이산화탄소의 주된 효과는 산소 농도 저하에 의한 질식 효과이며, 억제 효과가 주효과는 아닙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59-0000-0000-0000-00000000005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정기점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정기점검 대상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연 1회 이상 정기점검을 실시해야 한다.</p><p>② 정기점검은 반드시 탱크안전성능시험자에게 대행하게 하여야 한다.</p><p>③ 정기점검을 실시한 관계인은 점검 결과를 30일 이내에 시·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한다.</p><p>④ 이동탱크저장소는 정기점검 대상에 포함되지만, 지하탱크저장소는 제외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59-0000-0000-0000-000000000059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59-0000-0000-0000-000000000059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기점검은 관계인이 연 1회 이상 실시해야 하며, 대행 의무는 아닙니다. 이동·지하탱크저장소 모두 정기점검 대상에 포함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60-0000-0000-0000-00000000006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질이 연소할 때 열과 빛을 발생하는 산화 반응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?</p><p>① 연소</p><p>② 폭발</p><p>③ 발화</p><p>④ 인화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60-0000-0000-0000-00000000006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60-0000-0000-0000-00000000006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연소는 산화 반응으로 열과 빛을 동반하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61-0000-0000-0000-00000000006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의 소요 단위를 산정할 때, 외벽이 내화구조인 제조소용 건축물의 기준 면적은?</p><p>①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<p>②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75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<p>③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<p>④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61-0000-0000-0000-00000000006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61-0000-0000-0000-00000000006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·취급소 건축물은 내화 외벽일 때 100㎡당 1 소요 단위를 적용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62-0000-0000-0000-00000000006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위치, 구조 또는 설비의 변경 없이 저장·취급하는 위험물의 품명, 수량 또는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하고자 할 때, 관계인이 시·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하는 시기는?</p><p>① 변경한 날부터 14일 이내</p><p>② 변경한 날부터 30일 이내</p><p>③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1일 전까지</p><p>④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7일 전까지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62-0000-0000-0000-00000000006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62-0000-0000-0000-00000000006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치·구조·설비 변경 없이 품명·수량·배수만 변경 시에는 변경하려는 날의 1일 전까지 신고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63-0000-0000-0000-00000000006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의 지붕을 가벼운 불연 재료로 덮어야 하는 주된 이유는?</p><p>① 화재 시 열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</p><p>② 내부 폭발 시 압력을 위로 방출시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</p><p>③ 외부 화재로부터 열을 차단하기 위해</p><p>④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63-0000-0000-0000-00000000006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63-0000-0000-0000-00000000006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벼운 불연 지붕은 내부 폭발 시 상부로 압력을 배출시켜 구조물과 수평 방향 피해를 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64-0000-0000-0000-00000000006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소화설비, 경보설비, 피난설비의 분류가 옳은 것은?</p><p>① 소화설비 : 옥내소화전설비, 연결송수관설비</p><p>② 경보설비 : 자동화재탐지설비, 비상조명등</p><p>③ 피난설비 : 유도등, 완강기</p><p>④ 소화활동설비 : 스프링클러설비, 제연설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64-0000-0000-0000-000000000064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64-0000-0000-0000-000000000064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유도등과 완강기는 피난구조설비에 해당합니다. 연결송수관설비는 소화활동설비, 비상조명등은 피난구조설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65-0000-0000-0000-00000000006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정기점검 대상이 되는 '예방규정을 정해야 하는 제조소등'의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을 취급하는 제조소</p><p>②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을 저장하는 옥외저장소</p><p>③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</p><p>④ 지정수량의 200배 이상을 저장하는 지하탱크저장소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65-0000-0000-0000-00000000006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65-0000-0000-0000-00000000006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200배 기준은 옥외탱크저장소에 해당하며, 지하탱크저장소는 별도 정기점검 대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66-0000-0000-0000-00000000006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4류 위험물 화재 시 포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유면을 덮어 공기(산소)를 차단하는 소화 방법은?</p><p>① 냉각소화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제거소화</p><p>④ 억제소화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66-0000-0000-0000-00000000006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66-0000-0000-0000-00000000006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포는 가연물 표면을 덮어 산소 공급을 차단하므로 질식소화에 해당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67-0000-0000-0000-00000000006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물이 연소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산소 농도를 의미하는 용어는?</p><p>① 연소 하한계</p><p>② 인화점</p><p>③ 최소점화에너지 (MIE)</p><p>④ 한계산소지수 (LOI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67-0000-0000-0000-00000000006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67-0000-0000-0000-00000000006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LOI는 연소 지속에 필요한 최소 산소 농도를 뜻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0000068-0000-0000-0000-00000000006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선임하거나 해임한 경우, 며칠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해야 하는가?</p><p>① 7일</p><p>② 14일</p><p>③ 30일</p><p>④ 60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0000068-0000-0000-0000-00000000006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0000068-0000-0000-0000-00000000006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자 선임 또는 해임 시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.</p>"
}
}
],
"contents": [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,
"units": [
{
"id": "551e31cf-c17d-407e-94b9-6605f406aa12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20000043-0000-0000-0000-000000000043",
"20000044-0000-0000-0000-000000000044",
"20000046-0000-0000-0000-000000000046",
"20000047-0000-0000-0000-000000000047",
"20000053-0000-0000-0000-000000000053",
"20000056-0000-0000-0000-000000000056",
"20000059-0000-0000-0000-000000000059",
"20000062-0000-0000-0000-000000000062",
"20000063-0000-0000-0000-000000000063",
"20000065-0000-0000-0000-000000000065",
"20000068-0000-0000-0000-000000000068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,
"units": [
{
"id": "9d3db8ea-cf9b-4259-8b02-fc75679924d1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20000035-0000-0000-0000-000000000035",
"20000038-0000-0000-0000-000000000038",
"20000040-0000-0000-0000-000000000040",
"20000041-0000-0000-0000-000000000041",
"20000048-0000-0000-0000-000000000048",
"20000050-0000-0000-0000-000000000050",
"20000051-0000-0000-0000-000000000051",
"20000054-0000-0000-0000-000000000054",
"20000058-0000-0000-0000-000000000058",
"20000060-0000-0000-0000-000000000060",
"20000066-0000-0000-0000-000000000066",
"20000067-0000-0000-0000-000000000067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,
"units": [
{
"id": "880729d4-6021-452e-9db1-fd92366e7a0a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20000036-0000-0000-0000-000000000036",
"20000037-0000-0000-0000-000000000037",
"20000039-0000-0000-0000-000000000039",
"20000042-0000-0000-0000-000000000042",
"20000045-0000-0000-0000-000000000045",
"20000049-0000-0000-0000-000000000049",
"20000052-0000-0000-0000-000000000052",
"20000055-0000-0000-0000-000000000055",
"20000057-0000-0000-0000-000000000057",
"20000061-0000-0000-0000-000000000061",
"20000064-0000-0000-0000-000000000064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
]
}
Applied: 2025-11-05 16:37:04
Elements Added
68
Elements Updated
0
차시 목록 Affected
3
Summary: 68 elements added, 3 lessons affected
View Patch JSON
{
"elements": [
{
"_id": "00000001-0000-0000-0000-00000000000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연소의 4요소에 포함되지만, 연소의 3요소에는 포함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가연물</p><p>② 산소 공급원</p><p>③ 점화원</p><p>④ 연쇄반응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1-0000-0000-0000-00000000000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1-0000-0000-0000-00000000000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연소의 3요소는 가연물, 산소 공급원, 점화원이며, 연소의 4요소는 여기에 화학적 연쇄반응을 더한 것입니다. 따라서 ④ 연쇄반응이 정답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2-0000-0000-0000-00000000000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산불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진행 방향의 나무를 미리 베어내는(벌목) 소화 방법은 다음 중 어느 원리에 해당하는가?</p><p>① 제거소화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냉각소화</p><p>④ 억제소화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2-0000-0000-0000-00000000000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2-0000-0000-0000-00000000000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벌목은 연소 반응의 재료가 되는 가연물을 미리 제거하여 연소를 중단시키는 방법으로, 제거소화 원리에 해당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3-0000-0000-0000-00000000000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물의 증발잠열(기화잠열)이 크기 때문이다. 물의 증발잠열 값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1.0\\,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\\,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539\\,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670\\,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3-0000-0000-0000-00000000000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3-0000-0000-0000-00000000000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은 비열이 크고 증발잠열이 약 <span class='math-tex'>\\(539\\,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로 커서 냉각 효과가 뛰어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4-0000-0000-0000-00000000000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나트륨(Na), 마그네슘(Mg)과 같은 금속 화재 시 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것이 위험한 주된 이유는?</p><p>① 물과 반응하여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②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(수소)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③ 물과 반응하여 다량의 산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④ 물이 금속 표면에서 끓어넘쳐 화재를 확산시키기 때문에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4-0000-0000-0000-000000000004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4-0000-0000-0000-000000000004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성 금속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화재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물 사용이 위험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5-0000-0000-0000-00000000000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에 적용되는 기본 안전거리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 (단, 방화상 유효한 담 또는 벽의 설치로 인한 거리 단축은 고려하지 않음)</p><p>①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건축물: <span class='math-tex'>\\(10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② 학교, 병원, 극장 등 다수인을 수용하는 시설: <span class='math-tex'>\\(30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③ 지정문화재: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④ 사용전압 <span class='math-tex'>\\(35{,}000{\\rm V}\\)</span> 초과 특고압가공전선: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 이상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4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5-0000-0000-0000-00000000000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5-0000-0000-0000-00000000000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기본 안전거리는 주거 10m 이상, 학교·병원 등 30m 이상, 지정문화재 50m 이상입니다. 특고압가공전선의 경우 35kV 초과는 5m 이상이므로 ④가 틀렸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6-0000-0000-0000-00000000000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외벽이 <u>비내화구조</u>인 위험물 저장소용 건축물의 연면적이 <span class='math-tex'>\\(450{\\rm m}^2\\)</span>일 때, 건축물에 대한 소요 단위는?</p><p>① 3 단위</p><p>② 6 단위</p><p>③ 9 단위</p><p>④ 15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6-0000-0000-0000-00000000000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6-0000-0000-0000-00000000000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저장소 비내화 외벽은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75{\\rm m}^2\\)</span>당 1 단위이므로 <span class='math-tex'>\\(450/75=6\\)</span> 단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7-0000-0000-0000-00000000000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외벽이 내화구조인 옥내저장소(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300{\\rm m}^2\\)</span>)에 제2류 위험물인 유황(지정수량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kg}\\)</span>) <span class='math-tex'>\\(5{,}000{\\rm kg}\\)</span>을 저장할 때, 이 옥내저장소의 총 소요 단위는?</p><p>① 3 단위</p><p>② 5 단위</p><p>③ 7 단위</p><p>④ 52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4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7-0000-0000-0000-00000000000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7-0000-0000-0000-00000000000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건축물(내화) 300/150=2 단위, 유황 5,000kg은 지정수량(100kg)의 10배가 1 단위이므로 5 단위, 합산하여 7 단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8-0000-0000-0000-00000000000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삽을 포함한 마른 모래의 능력 단위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ell\\)</span>당 0.5 단위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80\\ell\\)</span>당 1.0 단위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당 1.0 단위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90\\ell\\)</span>당 2.5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8-0000-0000-0000-00000000000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8-0000-0000-0000-00000000000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기타 소화설비 기준에서 삽 1개 포함 마른 모래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ell\\)</span>당 0.5 단위입니다. 팽창질석·팽창진주암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당 1.0 단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9-0000-0000-0000-00000000000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지정수량의 25배를 저장하는 옥내저장소에 필요한 소화설비의 능력 단위는 총 3 단위이다. 이 장소에 삽을 포함한 팽창질석(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) 1포대를 비치했을 때, 추가로 확보해야 할 능력 단위는?</p><p>① 1.0 단위</p><p>② 1.5 단위</p><p>③ 2.0 단위</p><p>④ 2.5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9-0000-0000-0000-000000000009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9-0000-0000-0000-000000000009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팽창질석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 1포대는 1.0 단위에 해당하므로, 총 3 단위에서 1.0 단위를 제외하면 추가로 2.0 단위가 필요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a-0000-0000-0000-00000000000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인화성 액체가 채워진 저장탱크 주위에 화재가 발생하여 탱크 벽면이 장시간 화염에 노출될 때, 탱크 내부의 비등 현상으로 인한 압력 상승으로 탱크가 파열되고 내부의 액체가 급격히 증발하며 폭발하는 현상은?</p><p>①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② 슬롭오버 (Slopover)</p><p>③ 블레비 (BLEVE)</p><p>④ 풀 파이어 (Pool Fire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a-0000-0000-0000-00000000000a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a-0000-0000-0000-00000000000a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BLEVE는 저장탱크 가열로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서 탱크가 파열되고 내용물이 급격히 증발해 폭발하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b-0000-0000-0000-00000000000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중질유 탱크 화재 시 소화용수나 포소화약제를 방사할 때, 유류의 뜨거운 액 표면에서 물이 급격히 비등하여 유류가 탱크 외부로 분출되는 현상은?</p><p>①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② 슬롭오버 (Slopover)</p><p>③ 블레비 (BLEVE)</p><p>④ 증기운 폭발 (UVCE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b-0000-0000-0000-00000000000b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b-0000-0000-0000-00000000000b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슬롭오버는 중질유 화재에서 소화수가 뜨거운 유면으로 들어가 급비등하면서 유류가 분출되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c-0000-0000-0000-00000000000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위험물 제조소에서,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에 7개의 옥내소화전이 설치되어 있다. 이 제조소에 필요한 최소 수원의 수량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39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46.8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54.6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62.4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c-0000-0000-0000-00000000000c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c-0000-0000-0000-00000000000c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수원의 수량은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옥내소화전 개수(최대 5개) × <span class='math-tex'>\\(7.8\\,\\,{\\rm m}^3\\)</span>이므로 <span class='math-tex'>\\(5\\times7.8=39.0\\,\\,{\\rm m}^3\\)</span>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d-0000-0000-0000-00000000000d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외소화전설비의 설치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방호 대상물의 각 부분에서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40{\\rm m}\\)</span>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.</p><p>② 옥외소화전의 설치 개수가 4개일 때, 수원의 수량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3.5\\,\\,{\\rm m}^3 \\times 4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<p>③ 옥외소화전 4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, 노즐 선단의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50\\,\\,{\\rm kPa}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④ 옥외소화전 4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260\\ell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d-0000-0000-0000-00000000000d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d-0000-0000-0000-00000000000d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외소화전 4개 동시 사용 기준은 방수 압력 <span class='math-tex'>\\(\\ge 350\\,\\,{\\rm kPa}\\)</span>, 방수량 <span class='math-tex'>\\(\\ge 450\\ell/{\\rm min}\\)</span>입니다. ④는 옥내소화전 기준과 혼동한 값이므로 틀렸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e-0000-0000-0000-00000000000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폐쇄형 스프링클러 설비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헤드 30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, 각 선단의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kPa}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② 헤드 30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ell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③ 수원의 수량은 설치된 헤드 개수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1.6\\,\\,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④ 방호 대상물의 각 부분에서 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2.5{\\rm m}\\)</span>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4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e-0000-0000-0000-00000000000e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e-0000-0000-0000-00000000000e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폐쇄형 스프링클러는 기준 개수(최대 30개) 동시 사용 시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\\ge 100{\\rm kPa}\\)</span>, 방수량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\\ge 80\\ell/{\\rm min}\\)</span>이며, 수원은 30분 이상 공급 가능해야 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0f-0000-0000-0000-00000000000f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취급 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거리가 <u>먼</u> 것은?</p><p>① 공기를 이온화한다.</p><p>②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70\\%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<p>③ 설비에 접지를 한다.</p><p>④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21\\%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0f-0000-0000-0000-00000000000f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0f-0000-0000-0000-00000000000f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전기 저감에는 접지, 습도 상승(≥70%), 이온화 등이 효과적이며, 산소 농도 증가는 정전기 제거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0-0000-0000-0000-00000000001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의 환기설비와 배출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환기설비는 자연 배기 방식, 배출설비는 강제 배기 방식이 원칙이다.</p><p>② 환기설비의 급기구는 낮은 곳에, 배출설비의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한다.</p><p>③ 환기설비의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<span class='math-tex'>\\(2{\\rm m}\\)</span> 이상 높이에 설치한다.</p><p>④ 배출설비의 배출 능력은 1시간당 배출 장소 용적의 10배 이상이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0-0000-0000-0000-00000000001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0-0000-0000-0000-00000000001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배출설비의 배출 능력은 원칙적으로 1시간당 배출 장소 용적의 20배 이상입니다. 나머지 ①~③은 기본 원칙에 부합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1-0000-0000-0000-00000000001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성 증기가 체류할 우려가 있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 면적에 국소방식 배출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. 이 장소의 용적이 <span class='math-tex'>\\(400{\\rm m}^3\\)</span>일 때, 배출설비가 갖추어야 할 시간당 최소 배출 능력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4{,}000{\\rm m}^3/{\\rm hr}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7{,}200{\\rm m}^3/{\\rm hr}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8{,}000{\\rm m}^3/{\\rm hr}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2{,}000{\\rm m}^3/{\\rm hr}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4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1-0000-0000-0000-00000000001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1-0000-0000-0000-00000000001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국소방식 배출설비는 배출 장소 용적의 20배 이상이므로 <span class='math-tex'>\\(400\\times20=8{,}000{\\rm m}^3/{\\rm hr}\\)</span>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2-0000-0000-0000-00000000001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포소화약제 중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여 유동성과 내유성이 좋아 유류 표면에 수성막을 형성함으로써 질식 소화하는 약제는?</p><p>① 단백포</p><p>② 불화단백포</p><p>③ 합성계면활성제포</p><p>④ 수성막포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2-0000-0000-0000-00000000001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2-0000-0000-0000-00000000001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수성막포(AFFF)는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며 유류 표면에 수성막을 형성해 질식 소화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3-0000-0000-0000-00000000001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주된 소화 효과는?</p><p>① 질식 효과</p><p>② 제거 효과</p><p>③ 억제 효과</p><p>④ 유화 효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3-0000-0000-0000-00000000001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3-0000-0000-0000-00000000001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이산화탄소는 산소 농도를 낮추어 질식 소화가 주효과이며, 기화열에 의한 일부 냉각 효과도 있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4-0000-0000-0000-00000000001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(Halon)의 주된 소화 효과는?</p><p>① 질식 효과</p><p>② 냉각 효과</p><p>③ 부촉매 (억제) 효과</p><p>④ 제거 효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4-0000-0000-0000-000000000014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4-0000-0000-0000-000000000014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할론은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부촉매(억제) 효과가 주된 소화 원리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5-0000-0000-0000-00000000001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인 제1인산암모늄이 열분해 시 생성되어 A급 화재(일반화재)에 대한 방진(방염) 효과 및 탈수탄화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은?</p><p>① 오르토인산 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H}_3{\\rm PO}_4\\)</span>)</p><p>② 메타인산 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HPO}_3\\)</span>)</p><p>③ 이산화탄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CO}_2\\)</span>)</p><p>④ 수산화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NaOH}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5-0000-0000-0000-00000000001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5-0000-0000-0000-00000000001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3종 분말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NH}_4{\\rm H}_2{\\rm PO}_4\\)</span>)의 열분해 생성물 중 메타인산은 방진(방염) 효과, 오르토인산은 탈수탄화 효과를 나타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6-0000-0000-0000-00000000001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5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등</p><p>②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등</p><p>③ 지정수량의 5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등</p><p>④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등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6-0000-0000-0000-00000000001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6-0000-0000-0000-00000000001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지정수량의 10배 이상 저장·취급하는 제조소등(이동탱크저장소 제외)에는 경보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7-0000-0000-0000-00000000001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설정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 (단,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설치 등 예외는 고려하지 않음)</p><p>①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걸치지 않도록 한다.</p><p>②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걸치지 않도록 한다.</p><p>③ 하나의 경계구역 면적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{,}000{\\rm m}^2\\)</span> 이하로 한다.</p><p>④ 하나의 경계구역의 한 변의 길이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\\)</span> 이하로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7-0000-0000-0000-00000000001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7-0000-0000-0000-00000000001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원칙적으로 경계구역 면적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600{\\rm m}^2\\)</span> 이하, 한 변 길이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\\)</span> 이하입니다. 일부 개방시야 조건에서만 <span class='math-tex'>\\(1{,}000{\\rm m}^2\\)</span>까지 완화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8-0000-0000-0000-00000000001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주유취급소 건축물의 2층 이상을 점포나 휴게음식점 용도로 사용할 경우, 피난을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피난설비는?</p><p>① 완강기</p><p>② 피난사다리</p><p>③ 유도등</p><p>④ 공기호흡기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8-0000-0000-0000-00000000001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8-0000-0000-0000-00000000001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주유취급소 건축물의 해당 용도 구역에는 출입구·통로·계단 등에 유도등을 설치하여 피난을 유도해야 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9-0000-0000-0000-00000000001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6류 위험물(산화성 액체) 화재 시 적응성이 <u>없는</u> 소화설비는?</p><p>① 옥내소화전설비</p><p>② 스프링클러 설비</p><p>③ 물분무소화설비</p><p>④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9-0000-0000-0000-000000000019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9-0000-0000-0000-000000000019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6류는 산소를 함유하거나 발생시켜 질식 소화가 부적합합니다. 물을 이용한 냉각·희석 소화 설비는 적응성이 있으나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는 적응성이 없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a-0000-0000-0000-00000000001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 물질(알칼리금속 등) 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는?</p><p>① 탄산수소염류 분말소화설비</p><p>② 인산염류 분말소화설비</p><p>③ 이산화탄소 소화설비</p><p>④ 물분무소화설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4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a-0000-0000-0000-00000000001a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a-0000-0000-0000-00000000001a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금수성 물질은 물과 반응하므로 주수 소화가 불가하고, 이산화탄소와도 반응할 수 있습니다. 탄산수소염류 분말 또는 건조사·팽창질석 등이 적합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b-0000-0000-0000-00000000001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의하는 용어이다. ( ) 안에 알맞은 말은?</p><p>( )이라 함은 위험물을 제조할 목적으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허가를 받은 장소를 말한다.</p><p>① 제조소</p><p>② 저장소</p><p>③ 취급소</p><p>④ 제조소등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b-0000-0000-0000-00000000001b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b-0000-0000-0000-00000000001b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는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여 위험물을 제조하는 허가 장소를 말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c-0000-0000-0000-00000000001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,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을 무엇이라 하는가?</p><p>① 법정수량</p><p>② 지정수량</p><p>③ 허가수량</p><p>④ 취급수량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c-0000-0000-0000-00000000001c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c-0000-0000-0000-00000000001c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지정수량은 위험물의 위험성을 고려해 정한 수량으로, 허가 등에서 최저 기준이 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d-0000-0000-0000-00000000001d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5류 위험물(자기반응성 물질)의 화재 시 주수소화(물)는 가능하지만, 질식소화(이산화탄소, 할로겐화합물, 분말)가 효과적이지 <u>못한</u> 주된 이유는?</p><p>①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가 물에 잘 녹기 때문에</p><p>② 물질 자체가 다량의 산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</p><p>③ 물질이 물보다 가벼워 물로 덮을 수 없기 때문에</p><p>④ 연소 온도가 매우 낮아 질식 효과가 필요 없기 때문에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d-0000-0000-0000-00000000001d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d-0000-0000-0000-00000000001d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자기반응성 물질은 내부적으로 산소를 함유·발생하여 외부 산소 차단의 효과가 작아 질식 소화에 부적합합니다. 대량의 물을 이용한 냉각이 주된 방법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e-0000-0000-0000-00000000001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약제 중 제1종 분말소화약제(탄산수소나트륨)와 제3종 분말소화약제(인산암모늄)의 가장 큰 차이점은?</p><p>① 제1종은 B, C급 화재에, 제3종은 A, B,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.</p><p>② 제1종은 A, B, C급 화재에, 제3종은 B,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.</p><p>③ 제1종은 주된 소화 효과가 억제소화이고, 제3종은 냉각소화이다.</p><p>④ 제1종은 알칼리성이고, 제3종은 산성으로 금속에 부식성이 없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e-0000-0000-0000-00000000001e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e-0000-0000-0000-00000000001e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·2·4종 분말은 B·C급, 제3종 분말(인산암모늄)은 A·B·C급에 적응성이 있어 ABC 소화기로 사용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1f-0000-0000-0000-00000000001f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의 옥외에 설치된 공작물(예: 증류탑)의 수평 최대 투영면적이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이고 외벽이 내화구조로 간주될 때, 이 공작물에 대한 소요 단위는?</p><p>① 1 단위</p><p>② 1.5 단위</p><p>③ 2 단위</p><p>④ 3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4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1f-0000-0000-0000-00000000001f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1f-0000-0000-0000-00000000001f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외 공작물은 외벽이 내화구조로 간주되며, 제조소·취급소 기준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당 1 단위입니다.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/100=1.5\\)</span>로 계산되어 올림하여 2 단위가 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20-0000-0000-0000-00000000002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의 보유 공지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인 경우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②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인 경우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③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를 초과하는 경우 <span class='math-tex'>\\(10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④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를 초과하는 경우 <span class='math-tex'>\\(1{\\rm m}\\)</span> 이상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20-0000-0000-0000-00000000002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20-0000-0000-0000-00000000002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 보유공지 너비는 10배 이하 3m 이상, 10배 초과 5m 이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21-0000-0000-0000-00000000002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연소의 3요소(가연물, 산소 공급원, 점화원)가 모두 갖추어진 조합은?</p><p>① 목재, 산소, 질소</p><p>② 휘발유, 이산화탄소, 성냥불</p><p>③ 마그네슘, 과염소산칼륨, 불꽃</p><p>④ 수소, 헬륨, 정전기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21-0000-0000-0000-00000000002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21-0000-0000-0000-00000000002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③은 가연물(마그네슘), 산소 공급원(과염소산칼륨), 점화원(불꽃)이 모두 충족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0000022-0000-0000-0000-00000000002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 건축물의 구조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지하층이 없도록 해야 한다.</p><p>② 지붕은 가벼운 불연 재료로 덮어야 한다.</p><p>③ 출입구에는 자동 폐쇄식의 갑종 방화문을 설치해야 한다.</p><p>④ 액체 위험물 취급 바닥은 위험물이 스며들지 않는 재료로 하고 집유설비를 갖춘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0000022-0000-0000-0000-00000000002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0000022-0000-0000-0000-00000000002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모든 출입구에 자동 폐쇄식 갑종 방화문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. 지하층 금지, 경량 불연 지붕, 불침윤 바닥과 집유설비는 기본 기준입니다.</p>"
}
}
],
"contents": [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,
"units": [
{
"id": "551e31cf-c17d-407e-94b9-6605f406aa12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00000005-0000-0000-0000-000000000005",
"0000000f-0000-0000-0000-00000000000f",
"00000010-0000-0000-0000-000000000010",
"00000011-0000-0000-0000-000000000011",
"00000020-0000-0000-0000-000000000020",
"0000001b-0000-0000-0000-00000000001b",
"0000001c-0000-0000-0000-00000000001c",
"00000022-0000-0000-0000-000000000022",
"00000001-0000-0000-0000-000000000001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,
"units": [
{
"id": "9d3db8ea-cf9b-4259-8b02-fc75679924d1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
],
"ids": [
"00000002-0000-0000-0000-000000000002",
"0000000a-0000-0000-0000-00000000000a",
"0000000b-0000-0000-0000-00000000000b",
"00000021-0000-0000-0000-000000000021"
],
"copy": [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,
"units": [
{
"id": "880729d4-6021-452e-9db1-fd92366e7a0a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00000003-0000-0000-0000-000000000003",
"00000004-0000-0000-0000-000000000004",
"00000006-0000-0000-0000-000000000006",
"00000007-0000-0000-0000-000000000007",
"00000008-0000-0000-0000-000000000008",
"00000009-0000-0000-0000-000000000009",
"0000000c-0000-0000-0000-00000000000c",
"0000000d-0000-0000-0000-00000000000d",
"0000000e-0000-0000-0000-00000000000e",
"00000012-0000-0000-0000-000000000012",
"00000013-0000-0000-0000-000000000013",
"0000001a-0000-0000-0000-00000000001a",
"0000001d-0000-0000-0000-00000000001d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
]
}
View Snapshot Before
{
"__type": 2,
"__version": 2,
"course": {
"_id": "cc207fa8-ec63-4158-a940-82ea884bba6a",
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",
"_type": 2,
"_sub_type": 0,
"_cdate": "2025-11-05 06:23:27.776906+00:00",
"_udate": "2025-11-05 06:25:20.695110+00:00",
"_year": 2025,
"contents": [
{
"id": "cd8857d6-957f-4b7d-a377-d77cfdba5a69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,
"units": [
{
"id": "551e31cf-c17d-407e-94b9-6605f406aa12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,
"units": [
{
"id": "9d3db8ea-cf9b-4259-8b02-fc75679924d1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,
"units": [
{
"id": "880729d4-6021-452e-9db1-fd92366e7a0a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c62ff678-c9dc-4329-bca2-2c67a576b1e7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f439f805-7c30-467d-846f-532e6fbff566",
"units": [
{
"id": "7ad978b7-31c5-492e-9b92-f704091edd72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70162ca8-25bd-4bfb-acfa-105b2d15c6c1",
"units": [
{
"id": "4488bca5-18a2-4e4e-9539-3eb860071167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5c9f0498-6a67-48e7-9237-9ce642b8156c",
"units": [
{
"id": "ea471a96-69b2-43ef-b0e9-23a66c75626d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83cdbca5-9bc8-4208-a9bb-54927b00e74e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3f02d849-1a4c-4b83-a972-e006de91f39d",
"units": [
{
"id": "e3718baf-f3b4-410f-b543-ac9edce47ce6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ac484452-1bc1-4b4f-b062-5e63fa863846",
"units": [
{
"id": "125c432b-9b15-4fd9-bd61-113ee07518ae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c7fd441a-30bd-4ba9-abb0-7368c7a34645",
"units": [
{
"id": "9ac0ea3d-a288-4aa8-b3f6-fae908f7372f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2c9e5616-e63e-4f88-98bd-34c94a449bf9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e2ab61b0-61b8-4a0c-889f-16fe8a7aa19c",
"units": [
{
"id": "c3da667b-99c7-4937-a089-191f8841858c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96384914-9e5d-4fd7-be66-e5ecc8dcfb55",
"units": [
{
"id": "5f38ab4e-a094-4bb3-90bc-be638341ab29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748d49c8-942c-41b2-80dd-0b6ec1d44fb8",
"units": [
{
"id": "429dca1a-dc0d-43f2-81d7-10fb0f0e7477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703c1aa3-b1b0-4d93-9ae2-91de8cfd7d2c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d64f32b1-18cd-44c1-a764-2014d752f1a1",
"units": [
{
"id": "4ebff6ae-6d77-4ca5-933b-9345cc6c015a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574a136d-6bcf-440d-af4c-f794861d44d5",
"units": [
{
"id": "7d75f4c9-9b7d-4d30-b823-13bbfcdc1728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e5e3a2a1-3be3-440f-9fb6-fb7c3a22f3af",
"units": [
{
"id": "1b8f60dc-f419-41d2-8332-42919dff7607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815a59e0-c5f2-4668-ac50-5dd9bb347bbb",
"units": [
{
"id": "de86b3ed-3460-48e3-b6a6-6ac702de4618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f01f0b46-60d2-44fa-a281-4a40f38be2d0",
"units": [
{
"id": "b099a3be-b947-4a14-b2ab-3e961e96fd4d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6a1c2354-369c-49db-99d5-60261362c40b",
"units": [
{
"id": "1a787a0e-f706-4004-a073-ab03a5bd1fe1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43657111-dbc8-4c4c-bd3b-626d5524172a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281f2d9a-1b8d-48f7-a013-307f4e8d320e",
"units": [
{
"id": "bfc903d9-b130-41ca-a95b-42c1196082e3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1a8636c9-bed6-4062-90a7-4f64cd93b737",
"units": [
{
"id": "6a8d49ce-2155-46a8-92fc-62eb56cf2357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d697c5a4-5a69-4ae5-bb82-8ed8952ba873",
"units": [
{
"id": "46b8bc1a-edb6-4ae2-b1d2-ab8db690a693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660d703b-c496-44a0-9246-729aea2aba2f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f264c2c0-c941-49f0-b674-bbd4e45f4819",
"units": [
{
"id": "4d2db000-e726-47db-892f-74c5c1d0e364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6c1a78fe-31ff-427c-b742-c7569b10a082",
"units": [
{
"id": "edebfb10-20e5-400b-8a1c-43de65c7f9a1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49c44c68-c63f-4be9-9f04-aaf1d105816a",
"units": [
{
"id": "edb97ddc-2ed1-4388-9468-83b01d70b7d9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e060b189-9d2d-4862-8a56-5a3f6bfa0ced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79c0770e-5c1a-4df0-909f-254f2bdc1d7e",
"units": [
{
"id": "881ff12d-b044-4f85-8c30-7e180590eee8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d550bc3a-0e9f-40f2-80df-c0d4946eca2c",
"units": [
{
"id": "8c8e92ed-d118-4e34-80ce-0fb88f7067c0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59dbe73b-3865-40dc-91b8-0e77961f9b8e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cdf13502-d113-4ba7-a364-ea1b7e7eac2d",
"units": [
{
"id": "343c97cd-4ced-4f3f-b24b-de232d1499e5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a0c09a5d-c5b4-4f21-8b9b-942bc629e292",
"units": [
{
"id": "67fec6c3-54b2-412a-a43c-d16a02a2b949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696e8483-5423-40dd-8248-a6993b5a027c",
"units": [
{
"id": "7f0c1a67-acf9-4043-b5d1-376b49974ae9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2522508f-e1ae-4ff2-9415-afda95b094a7",
"units": [
{
"id": "c49bb247-2ff7-4c09-a939-39949692e7a8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42a7795b-8b25-4434-89ce-fdf2a5a0ed9a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8e41eed9-8290-4e7d-a59d-cd46754950b3",
"units": [
{
"id": "96fff7b2-2053-48a1-8b9d-7dfe8dabe04f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8893f382-9a17-487d-8766-9ae65a14ccbe",
"units": [
{
"id": "3ef28895-fd75-410a-82e1-9643c3ea592a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8e8c113e-7034-410f-8fdf-589a86feaf1d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b7b99e56-31e0-49ea-aec4-8787e94f5b9d",
"units": [
{
"id": "ae9ec625-c1c3-4527-8dec-4fe85cac06a6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5aa6ba19-f1c7-4f0b-8f6a-7b790e32fe4d",
"units": [
{
"id": "c45e2ade-9cb0-4778-a1cd-a7e1915f811c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
],
"kls": [],
"lists": [
{
"id": "cd8857d6-957f-4b7d-a377-d77cfdba5a69",
"type": 0,
"title": "1. 화재 및 소화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,
"type": 11,
"title": "1. 물질의 화학적 성질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551e31cf-c17d-407e-94b9-6605f406aa12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,
"type": 11,
"title": "2. 화재 및 소화이론의 이해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9d3db8ea-cf9b-4259-8b02-fc75679924d1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약제 및 소방시설의 기초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880729d4-6021-452e-9db1-fd92366e7a0a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c62ff678-c9dc-4329-bca2-2c67a576b1e7",
"type": 0,
"title": "2. 제1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f439f805-7c30-467d-846f-532e6fbff566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1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7ad978b7-31c5-492e-9b92-f704091edd72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70162ca8-25bd-4bfb-acfa-105b2d15c6c1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1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4488bca5-18a2-4e4e-9539-3eb860071167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5c9f0498-6a67-48e7-9237-9ce642b8156c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1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ea471a96-69b2-43ef-b0e9-23a66c75626d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83cdbca5-9bc8-4208-a9bb-54927b00e74e",
"type": 0,
"title": "3. 제2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3f02d849-1a4c-4b83-a972-e006de91f39d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2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e3718baf-f3b4-410f-b543-ac9edce47ce6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ac484452-1bc1-4b4f-b062-5e63fa863846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2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125c432b-9b15-4fd9-bd61-113ee07518ae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c7fd441a-30bd-4ba9-abb0-7368c7a34645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2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9ac0ea3d-a288-4aa8-b3f6-fae908f7372f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2c9e5616-e63e-4f88-98bd-34c94a449bf9",
"type": 0,
"title": "4. 제3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e2ab61b0-61b8-4a0c-889f-16fe8a7aa19c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3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c3da667b-99c7-4937-a089-191f8841858c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96384914-9e5d-4fd7-be66-e5ecc8dcfb55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3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5f38ab4e-a094-4bb3-90bc-be638341ab29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748d49c8-942c-41b2-80dd-0b6ec1d44fb8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3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429dca1a-dc0d-43f2-81d7-10fb0f0e7477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703c1aa3-b1b0-4d93-9ae2-91de8cfd7d2c",
"type": 0,
"title": "5. 제4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d64f32b1-18cd-44c1-a764-2014d752f1a1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1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4ebff6ae-6d77-4ca5-933b-9345cc6c015a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574a136d-6bcf-440d-af4c-f794861d44d5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2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7d75f4c9-9b7d-4d30-b823-13bbfcdc1728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e5e3a2a1-3be3-440f-9fb6-fb7c3a22f3af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1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1b8f60dc-f419-41d2-8332-42919dff7607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815a59e0-c5f2-4668-ac50-5dd9bb347bbb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2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de86b3ed-3460-48e3-b6a6-6ac702de4618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f01f0b46-60d2-44fa-a281-4a40f38be2d0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1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b099a3be-b947-4a14-b2ab-3e961e96fd4d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6a1c2354-369c-49db-99d5-60261362c40b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2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1a787a0e-f706-4004-a073-ab03a5bd1fe1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43657111-dbc8-4c4c-bd3b-626d5524172a",
"type": 0,
"title": "6. 제5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281f2d9a-1b8d-48f7-a013-307f4e8d320e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5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bfc903d9-b130-41ca-a95b-42c1196082e3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1a8636c9-bed6-4062-90a7-4f64cd93b737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5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6a8d49ce-2155-46a8-92fc-62eb56cf2357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d697c5a4-5a69-4ae5-bb82-8ed8952ba873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5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46b8bc1a-edb6-4ae2-b1d2-ab8db690a693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660d703b-c496-44a0-9246-729aea2aba2f",
"type": 0,
"title": "7. 제6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f264c2c0-c941-49f0-b674-bbd4e45f4819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6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4d2db000-e726-47db-892f-74c5c1d0e364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6c1a78fe-31ff-427c-b742-c7569b10a082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6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edebfb10-20e5-400b-8a1c-43de65c7f9a1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49c44c68-c63f-4be9-9f04-aaf1d105816a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6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edb97ddc-2ed1-4388-9468-83b01d70b7d9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e060b189-9d2d-4862-8a56-5a3f6bfa0ced",
"type": 0,
"title": "8. 위험물 운송·운반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79c0770e-5c1a-4df0-909f-254f2bdc1d7e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 운송기준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881ff12d-b044-4f85-8c30-7e180590eee8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d550bc3a-0e9f-40f2-80df-c0d4946eca2c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 운반기준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8c8e92ed-d118-4e34-80ce-0fb88f7067c0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59dbe73b-3865-40dc-91b8-0e77961f9b8e",
"type": 0,
"title": "9. 위험물 제조소 등의 유지관리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cdf13502-d113-4ba7-a364-ea1b7e7eac2d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 제조소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343c97cd-4ced-4f3f-b24b-de232d1499e5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a0c09a5d-c5b4-4f21-8b9b-942bc629e292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 저장소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67fec6c3-54b2-412a-a43c-d16a02a2b949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696e8483-5423-40dd-8248-a6993b5a027c",
"type": 11,
"title": "3. 위험물 취급소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7f0c1a67-acf9-4043-b5d1-376b49974ae9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2522508f-e1ae-4ff2-9415-afda95b094a7",
"type": 11,
"title": "4.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점검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c49bb247-2ff7-4c09-a939-39949692e7a8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42a7795b-8b25-4434-89ce-fdf2a5a0ed9a",
"type": 0,
"title": "10. 위험물 저장·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8e41eed9-8290-4e7d-a59d-cd46754950b3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 저장 기준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96fff7b2-2053-48a1-8b9d-7dfe8dabe04f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8893f382-9a17-487d-8766-9ae65a14ccbe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 취급 기준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3ef28895-fd75-410a-82e1-9643c3ea592a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8e8c113e-7034-410f-8fdf-589a86feaf1d",
"type": 0,
"title": "11. 위험물안전관리 감독 및 행정처리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b7b99e56-31e0-49ea-aec4-8787e94f5b9d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시설 유지관리감독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ae9ec625-c1c3-4527-8dec-4fe85cac06a6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5aa6ba19-f1c7-4f0b-8f6a-7b790e32fe4d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행정사항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c45e2ade-9cb0-4778-a1cd-a7e1915f811c",
"types": []
}
]
}
]
},
"elements": []
}
Applied: 2025-11-05 16:20:58
Elements Added
12
Elements Updated
55
차시 목록 Affected
3
Summary: 12 elements added, 55 elements updated, 3 lessons affected
View Patch JSON
{
"elements": [
{
"_id": "f7d0b3c4-6e2a-4f2b-8c8a-0a92d5c4e9a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성 물질이 연소하기 쉬운 조건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활성화 에너지가 작을 것</p><p>② 열전도율이 작을 것</p><p>③ 산소와의 접촉 면적이 클 것</p><p>④ 발열량이 작을 것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9f1a3b2c-5d6e-4c7f-9a10-3b4c5d6e7f8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f1a3b2c-5d6e-4c7f-9a10-3b4c5d6e7f8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연소가 쉬운 조건은 활성화 에너지가 작고, 열전도율이 작아 열이 축적되며, 산소와의 접촉 면적과 발열량이 큰 경우입니다. 따라서 ‘발열량이 작을 것’은 틀립니다.</p>"
}
},
{
"_id": "a1b2c3d4-5e6f-47a8-9123-4b5c6d7e8f9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의 소요 단위를 산정할 때, 위험물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5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<p>② 지정수량의 10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<p>③ 지정수량의 50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<p>④ 지정수량의 100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0c1d2e3f-4a5b-46c7-8d90-1e2f3a4b5c6d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c1d2e3f-4a5b-46c7-8d90-1e2f3a4b5c6d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소요 단위 산정은 지정수량의 10배를 1 소요 단위로 계산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b2c3d4e5-6f70-41a9-8234-5c6d7e8f901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소화설비 중 소화 난이도 등급 I의 제조소에 설치하는 옥내소화전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40{\\rm m}\\)</span> 이하여야 한다.</p><p>②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80\\ell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③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5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260\\ell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④ 수원의 수량은 설치 개수(최대 2개)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7.8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d2e3f40-5a6b-47c8-9d01-2e3f4a5b6c7d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d2e3f40-5a6b-47c8-9d01-2e3f4a5b6c7d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내소화전설비는 방수 압력 <span class='math-tex'>\\(\\ge 350{\\rm kPa}\\)</span>, 방수량 <span class='math-tex'>\\(\\ge 260\\ell/{\\rm min}\\)</span>이 기준입니다. 수평거리 40 m는 옥외소화전 기준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c3d4e5f6-7081-42ba-9345-6d7e8f90122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물이 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인 '활성화 에너지'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물질이 연소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이다.</p><p>② 물질이 연소할 때 방출하는 총 열량이다.</p><p>③ 물질이 열을 전달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값이다.</p><p>④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려는 경향성을 나타내는 값이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2e3f4051-6a7b-48c9-ad12-3f4a5b6c7d8e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e3f4051-6a7b-48c9-ad12-3f4a5b6c7d8e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활성화 에너지는 연소 반응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에너지입니다. 작을수록 점화가 쉽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d4e5f607-8192-43cb-a456-7e8f9012233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의 능력 단위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소화 전용 물통 <span class='math-tex'>\\(8\\ell\\)</span> : 0.3 단위</p><p>② 수조 (소화 전용 물통 3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80\\ell\\)</span> : 1.5 단위</p><p>③ 마른 모래 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ell\\)</span> : 1.0 단위</p><p>④ 팽창질석 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 : 1.0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f405162-7b8c-49da-be23-4a5b6c7d8e9f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f405162-7b8c-49da-be23-4a5b6c7d8e9f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마른 모래 50ℓ(삽 1개 포함)는 0.5 단위가 맞습니다. 나머지 수치는 표준 기준과 일치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e5f60718-9234-44dc-b567-8f901223344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화재 발생 시 소화 방법의 원리가 나머지 셋과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연소 중인 가연물을 불연성 포(거품)로 덮는다.</p><p>②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산소 농도를 15% 이하로 낮춘다.</p><p>③ 마른 모래를 사용하여 금속 화재를 덮는다.</p><p>④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연쇄반응을 차단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40516273-8c9d-4aeb-cf34-5b6c7d8e9f0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0516273-8c9d-4aeb-cf34-5b6c7d8e9f0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①②③은 산소 차단·희석에 의한 질식소화입니다. ④는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부촉매(억제) 소화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f6071829-2345-45ed-c678-90122334455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건축물의 화재 시 성장기에서 최성기로 진행될 때, 실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화염이 실내 전체로 확대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?</p><p>① 플래시오버 (Flashover)</p><p>② 백드래프트 (Backdraft)</p><p>③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④ 롤오버 (Rollover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51627384-9d0e-4bfc-d045-6c7d8e9f010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1627384-9d0e-4bfc-d045-6c7d8e9f010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플래시오버는 실내 가연성 가스가 일시에 발화하여 전실화재로 전이되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7182923-4567-460e-d789-01223344556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전기설비(전기 배선, 조명기구 제외)가 설치된 장소에는 해당 장소 면적 얼마마다 소형 수동식 소화기를 1개 이상 설치해야 하는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^2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75{\\rm m}^2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62738495-0e1f-471d-e156-7d8e9f01022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2738495-0e1f-471d-e156-7d8e9f01022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전기설비가 설치된 장소에는 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마다 소형 수동식 소화기 1개 이상을 설치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18292345-6789-471f-e890-12233445567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예방규정을 정하여 시·도지사(소방서장)에게 제출해야 하는 대상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10배 이상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</p><p>②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저장소</p><p>③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</p><p>④ 지정수량의 1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지하탱크저장소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73849506-1f20-482e-f267-8e9f01022334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3849506-1f20-482e-f267-8e9f01022334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예방규정 대상에는 제조소(10배 이상), 옥외저장소(100배 이상), 옥내저장소(150배 이상) 등이 포함됩니다. 지하탱크저장소는 예방규정이 아니라 정기점검 대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9234567-89ab-4821-f901-23344556678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실시해야 하는 정기점검의 횟수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월 1회 이상</p><p>② 분기별 1회 이상</p><p>③ 반기별 1회 이상</p><p>④ 연 1회 이상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84950617-2031-493f-0a78-9f010223345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4950617-2031-493f-0a78-9f010223345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기점검은 연 1회 이상 실시해야 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3456789a-bcde-4932-0a12-3445566789a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 중 '물분무등소화설비'에 해당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포소화설비</p><p>② 이산화탄소소화설비</p><p>③ 옥내소화전설비</p><p>④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95061720-3142-4a40-1b89-01022334566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5061720-3142-4a40-1b89-01022334566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분무등소화설비에는 포, 이산화탄소, 할로겐화합물, 분말 등이 포함되며 옥내소화전설비는 별도 분류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456789ab-cdef-4a43-1b23-45566789ab0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정기점검을 실시해야 하는 대상에 해당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 150배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</p><p>② 지하탱크저장소</p><p>③ 이동탱크저장소</p><p>④ 지정수량 100배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06172031-4253-4b51-2c9a-02233456677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6172031-4253-4b51-2c9a-02233456677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기점검 대상에는 옥내저장소(150배 이상), 지하탱크저장소, 이동탱크저장소 등이 포함됩니다. 옥외탱크저장소는 200배 이상일 때 예방규정 대상이 되어 정기점검 대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56789abc-def0-4b54-2c34-566789ab012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질의 화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유기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탄소를 함유하고 불에 타기 쉬우며, 무기화합물은 불에 타기 어려운 것이 많다.</p><p>② 산화반응은 어떤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거나 수소를 잃는 반응을 말한다.</p><p>③ 환원반응은 어떤 물질이 산소를 잃거나 수소와 결합하는 반응을 말한다.</p><p>④ 촉매는 화학반응 시 자신은 소모되면서 반응 속도를 조절하는 물질이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7203142-5364-4c62-3dab-233456677889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7203142-5364-4c62-3dab-233456677889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촉매는 반응 속도를 변화시키지만 반응 전후에 소모되지 않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6789abcd-ef01-4c65-3d45-6789ab01234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압축열, 마찰열, 유도열 등은 점화원의 종류 중 어디에 속하는가?</p><p>① 화학적 에너지</p><p>② 전기적 에너지</p><p>③ 기계적 에너지</p><p>④ 원자력 에너지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20314253-6475-4d73-4ecb-3456677889ab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0314253-6475-4d73-4ecb-3456677889ab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압축열·마찰열·유도열은 기계적 에너지에 의한 점화원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789abcde-f012-4d76-4e56-89ab0123456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화재 시 다량의 물을 사용하여 냉각소화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위험물은?</p><p>① 제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</p><p>② 제2류 위험물 중 마그네슘</p><p>③ 제3류 위험물 중 칼륨</p><p>④ 제5류 위험물 중 유기과산화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1425364-7586-4e84-5fdc-45667889ab0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1425364-7586-4e84-5fdc-45667889ab0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은 질식소화가 어렵기 때문에 대량의 물로 냉각소화하는 것이 적합합니다. ①~③은 금수성 특성이 있어 주수소화가 부적합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89abcdef-0123-4e87-5067-ab012345678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C급 화재에 해당하며, 소화 시 감전의 위험이 있어 물이나 포소화약제 사용에 제한이 있는 화재는?</p><p>① 일반화재</p><p>② 유류화재</p><p>③ 전기화재</p><p>④ 금속화재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42536475-8697-4f95-60ed-567889ab010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2536475-8697-4f95-60ed-567889ab010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C급은 전기화재로 감전 위험 때문에 물·포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9abcdef0-1234-4e89-5067-af012345678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4류 위험물 화재 시 소화가 곤란한 현상 중, 탱크 저부에 물이 고여 있는 상태에서 중질유 화재가 장시간 지속될 때, 유류 표면의 열류층이 하강하여 저부의 물을 급격히 증발시켜 유류를 탱크 밖으로 분출시키는 현상은?</p><p>① 블레비 (BLEVE)</p><p>② 슬롭오버 (Slopover)</p><p>③ 프로스오버 (Frothover)</p><p>④ 보일오버 (Boilover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53647586-97a8-4096-71fe-6789ab01020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3647586-97a8-4096-71fe-6789ab01020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보일오버는 열류층이 저부 수층에 도달해 물이 급비등하며 연소 유류가 분출되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abcdef01-2345-4099-7289-c123456789a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소화설비 중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가 감지기에 의해 감지되어 작동하는 방식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옥내소화전설비</p><p>② 이산화탄소소화설비 (전역방출방식)</p><p>③ 분말소화설비 (전역방출방식)</p><p>④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(전역방출방식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64758697-a809-41a7-82ef-789ab010203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4758697-a809-41a7-82ef-789ab010203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스계 전역방출 소화설비는 감지기와 연동되어 자동 작동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, 옥내소화전설비는 인력이 수동 조작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bcdef012-3456-41aa-839a-d23456789ab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환기설비의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환기는 자연 배기 방식으로 한다.</p><p>② 급기구는 바닥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마다 1개 이상, 크기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800{\\rm cm}^2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<p>③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하고 인화 방지망을 설치한다.</p><p>④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<span class='math-tex'>\\(2{\\rm m}\\)</span>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758697a8-091b-42b8-94f0-89ab01020314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58697a8-091b-42b8-94f0-89ab01020314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급기구는 낮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며, 높은 곳은 배출설비의 급기/배출과 관련된 기준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cdef0123-4567-42bb-94ab-e3456789abcd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연소의 3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?</p><p>가. 가연물: 산화되기 쉬운 물질로, 활성화 에너지가 작고 발열량이 커야 한다.</p><p>나. 산소 공급원: 산소, 제1류 위험물, 제6류 위험물 등이 해당된다.</p><p>다. 점화원: 정전기, 단열압축열, 산화열 등이 해당되며, 가연물에 활성화 에너지를 제공한다.</p><p>① 가</p><p>② 가, 나</p><p>③ 나, 다</p><p>④ 가, 나, 다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8697a809-1b2c-43c9-a5f1-9ab01020314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697a809-1b2c-43c9-a5f1-9ab01020314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물·산소공급원·점화원의 세 요소 설명이 모두 옳으므로 ④가 정답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def01234-5678-43cc-a5bc-f456789abcd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옥외소화전설비의 설치 개수가 6개일 때, 확보해야 할 최소 수원의 수량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27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54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81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08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97a8091b-2c3d-44da-b602-ab010203145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7a8091b-2c3d-44da-b602-ab010203145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수원은 설치 개수 중 최대 4개 × <span class='math-tex'>\\(13.5\\,\\,{\\rm m}^3\\)</span>로 산정하므로 <span class='math-tex'>\\(54.0\\,\\,{\\rm m}^3\\)</span>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ef012345-6789-44dd-b6cd-0456789abcd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질의 폭발성, 반응성, 강산성 등은 위험성을 분류할 때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?</p><p>① 화학적 위험성</p><p>② 물리적 위험성</p><p>③ 생리적 위험성</p><p>④ 기계적 위험성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a8091b2c-3d4e-45eb-c713-b0102031456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8091b2c-3d4e-45eb-c713-b0102031456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폭발성·반응성·강산성 등은 화학적 위험성에 해당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1234567-89ab-45f0-c7de-156789abcdef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지정수량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등에 설치해야 하는 경보설비의 종류가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자동화재탐지설비</p><p>② 비상경보설비</p><p>③ 자동화재속보설비</p><p>④ 휴대용 확성기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091b2c3d-4e5f-460c-d824-c1020314567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91b2c3d-4e5f-460c-d824-c1020314567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기본 경보설비 범주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, 비상경보설비, 확성장치(휴대용 포함), 비상방송설비 등이 포함되고, 자동화재속보설비는 별도 요건에 해당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12345678-9abc-4603-d8ef-26789abcdef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소화약제와 그 주된 소화 효과의 연결이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물 - 냉각 효과</p><p>② 포소화약제 - 질식 효과</p><p>③ 이산화탄소 - 억제 효과</p><p>④ 제3종 분말소화약제 - 질식 및 억제 효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b2c3d4e-5f60-4711-e935-d2031456789a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b2c3d4e-5f60-4711-e935-d2031456789a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이산화탄소의 주된 효과는 산소 농도 저하에 의한 질식 효과이며, 억제 효과는 분말 등이 대표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3456789-abcd-4714-e901-3789abcdef0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정기점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정기점검 대상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연 1회 이상 정기점검을 실시해야 한다.</p><p>② 정기점검은 반드시 탱크안전성능시험자에게 대행하게 하여야 한다.</p><p>③ 정기점검을 실시한 관계인은 점검 결과를 30일 이내에 시·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한다.</p><p>④ 이동탱크저장소는 정기점검 대상에 포함되지만, 지하탱크저장소는 제외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2c3d4e5f-6071-4822-fa46-e31456789ab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c3d4e5f-6071-4822-fa46-e31456789ab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기점검은 연 1회 이상 실시합니다. 다른 보기는 일부 조건 또는 과거 기준과 혼동된 내용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3456789a-bcde-4825-fa12-489abcdef01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질이 연소할 때 열과 빛을 발생하는 산화 반응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?</p><p>① 연소</p><p>② 폭발</p><p>③ 발화</p><p>④ 인화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d4e5f60-7182-4933-0b57-f4156789ab0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d4e5f60-7182-4933-0b57-f4156789ab0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연소는 산화 반응으로 열과 빛을 내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456789ab-cdef-4928-0b23-59abcdef012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의 소요 단위를 산정할 때, 외벽이 내화구조인 제조소용 건축물의 기준 면적은?</p><p>①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<p>②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75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<p>③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<p>④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4e5f6071-8293-4a42-1c68-06156789ab0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e5f6071-8293-4a42-1c68-06156789ab0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/취급소의 외벽 내화 건축물은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로 산정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56789abc-def0-4a2b-1c34-6abcdef0123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위치, 구조 또는 설비의 변경 없이 저장·취급하는 위험물의 품명, 수량 또는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하고자 할 때, 관계인이 시·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하는 시기는?</p><p>① 변경한 날부터 14일 이내</p><p>② 변경한 날부터 30일 이내</p><p>③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1일 전까지</p><p>④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7일 전까지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5f607182-93a4-4b53-2d79-1726789ab00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f607182-93a4-4b53-2d79-1726789ab00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치·구조·설비의 변경 없이 품명·수량·배수를 변경할 경우,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1일 전까지 신고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6789abcd-ef01-4b5c-2d45-7bcdef01234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의 지붕을 가벼운 불연 재료로 덮어야 하는 주된 이유는?</p><p>① 화재 시 열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</p><p>② 내부 폭발 시 압력을 위로 방출시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</p><p>③ 외부 화재로부터 열을 차단하기 위해</p><p>④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60718293-a4b5-4c64-3e8a-283789ab004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0718293-a4b5-4c64-3e8a-283789ab004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벼운 불연 지붕은 내부 폭발 시 상부로 압력을 방출시켜 수평 방향 피해와 구조체 손상을 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789abcde-f012-4c67-3e56-8cdef012345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소화설비, 경보설비, 피난설비의 분류가 옳은 것은?</p><p>① 소화설비 : 옥내소화전설비, 연결송수관설비</p><p>② 경보설비 : 자동화재탐지설비, 비상조명등</p><p>③ 피난설비 : 유도등, 완강기</p><p>④ 소화활동설비 : 스프링클러설비, 제연설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718293a4-b5c6-4d75-4f9b-39456ab0056c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18293a4-b5c6-4d75-4f9b-39456ab0056c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유도등과 완강기는 피난구조설비에 해당합니다. 다른 보기들은 분류가 잘못 섞여 있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89abcdef-0123-4d78-4f67-9def0123456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정기점검 대상이 되는 '예방규정을 정해야 하는 제조소등'의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을 취급하는 제조소</p><p>②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을 저장하는 옥외저장소</p><p>③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</p><p>④ 지정수량의 200배 이상을 저장하는 지하탱크저장소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8293a4b5-c6d7-4e86-50ad-4a56ab0067de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293a4b5-c6d7-4e86-50ad-4a56ab0067de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200배 기준은 지하탱크저장소가 아니라 옥외탱크저장소에 해당합니다. 지하탱크저장소는 별도로 정기점검 대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9abcdef0-1234-4f98-6178-b0123456789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4류 위험물 화재 시 포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유면을 덮어 공기(산소)를 차단하는 소화 방법은?</p><p>① 냉각소화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제거소화</p><p>④ 억제소화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93a4b5c6-d7e8-4f8c-61be-5b6ac0078ef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3a4b5c6-d7e8-4f8c-61be-5b6ac0078ef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포는 유면을 덮어 산소 공급을 차단하므로 질식소화에 해당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abcdef01-2345-4f8f-6178-bc123456789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물이 연소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산소 농도를 의미하는 용어는?</p><p>① 연소 하한계</p><p>② 인화점</p><p>③ 최소점화에너지 (MIE)</p><p>④ 한계산소지수 (LOI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a4b5c6d7-e8f9-4001-728f-6c7ad0890ef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4b5c6d7-e8f9-4001-728f-6c7ad0890ef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LOI(한계산소지수)는 연소 지속에 필요한 최소 산소 농도를 의미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bcdef012-3456-4012-7289-cd23456789a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선임하거나 해임한 경우, 며칠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해야 하는가?</p><p>① 7일</p><p>② 14일</p><p>③ 30일</p><p>④ 60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b5c6d7e8-f901-4123-8390-7d8ae0910ff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5c6d7e8-f901-4123-8390-7d8ae0910ff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자 선임 또는 해임 시 14일 이내 신고가 원칙입니다.</p>"
}
}
],
"contents": [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,
"units": [
{
"id": "6a27064a-1666-4d91-98d3-fd8a1a7ca87a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29234567-89ab-4821-f901-233445566789",
"56789abc-def0-4a2b-1c34-6abcdef01234",
"6789abcd-ef01-4b5c-2d45-7bcdef012345",
"89abcdef-0123-4d78-4f67-9def01234567",
"bcdef012-3456-41aa-839a-d23456789abc",
"ef012345-6789-44dd-b6cd-0456789abcde",
"456789ab-cdef-4928-0b23-59abcdef0123",
"3456789a-bcde-4825-fa12-489abcdef012",
"18292345-6789-471f-e890-122334455678",
"56789abc-def0-4b54-2c34-566789ab0123",
"9abcdef0-1234-4e89-5067-af0123456789",
"bcdef012-3456-4012-7289-cd23456789ab",
"07182923-4567-460e-d789-012233445567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,
"units": [
{
"id": "28bc3579-60a1-4cdc-bab0-9de4e00d297e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f7d0b3c4-6e2a-4f2b-8c8a-0a92d5c4e9a1",
"c3d4e5f6-7081-42ba-9345-6d7e8f901223",
"e5f60718-9234-44dc-b567-8f9012233445",
"f6071829-2345-45ed-c678-901223344556",
"6789abcd-ef01-4c65-3d45-6789ab012345",
"89abcdef-0123-4e87-5067-ab0123456789",
"9abcdef0-1234-4f98-6178-b0123456789a",
"abcdef01-2345-4099-7289-c123456789ab",
"cdef0123-4567-42bb-94ab-e3456789abcd",
"abcdef01-2345-4f8f-6178-bc123456789a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,
"units": [
{
"id": "315e0931-fd44-4f90-a5f9-42c3e7f5cfc2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a1b2c3d4-5e6f-47a8-9123-4b5c6d7e8f91",
"b2c3d4e5-6f70-41a9-8234-5c6d7e8f9012",
"d4e5f607-8192-43cb-a456-7e8f90122334",
"bcdef012-3456-41aa-839a-d23456789abc",
"def01234-5678-43cc-a5bc-f456789abcde",
"12345678-9abc-4603-d8ef-26789abcdef",
"3456789a-bcde-4932-0a12-3445566789ab",
"01234567-89ab-45f0-c7de-156789abcdef",
"a1b2c3d4-5e6f-47a8-9123-4b5c6d7e8f91",
"e5f60718-9234-44dc-b567-8f9012233445",
"9abcdef0-1234-4f98-6178-b0123456789a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
]
}
Applied: 2025-11-05 16:17:09
Elements Added
55
Elements Updated
0
차시 목록 Affected
3
Summary: 55 elements added, 3 lessons affected
View Patch JSON
{
"elements": [
{
"_id": "f7d0b3c4-6e2a-4f2b-8c8a-0a92d5c4e9a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성 물질이 연소하기 쉬운 조건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활성화 에너지가 작을 것</p><p>② 열전도율이 작을 것</p><p>③ 산소와의 접촉 면적이 클 것</p><p>④ 발열량이 작을 것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9f1a3b2c-5d6e-4c7f-9a10-3b4c5d6e7f8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f1a3b2c-5d6e-4c7f-9a10-3b4c5d6e7f8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연소가 쉬운 조건은 활성화 에너지가 작고, 열전도율이 작아 열이 축적되며, 산소와의 접촉 면적과 발열량이 큰 경우입니다. 따라서 ‘발열량이 작을 것’은 틀립니다.</p>"
}
},
{
"_id": "a1b2c3d4-5e6f-47a8-9123-4b5c6d7e8f9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의 소요 단위를 산정할 때, 위험물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5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<p>② 지정수량의 10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<p>③ 지정수량의 50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<p>④ 지정수량의 100배를 1 소요 단위로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0c1d2e3f-4a5b-46c7-8d90-1e2f3a4b5c6d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c1d2e3f-4a5b-46c7-8d90-1e2f3a4b5c6d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소요 단위 산정은 지정수량의 10배를 1 소요 단위로 계산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b2c3d4e5-6f70-41a9-8234-5c6d7e8f901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소화설비 중 소화 난이도 등급 I의 제조소에 설치하는 옥내소화전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40{\\rm m}\\)</span> 이하여야 한다.</p><p>②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80\\ell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③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5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260\\ell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④ 수원의 수량은 설치 개수(최대 2개)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7.8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d2e3f40-5a6b-47c8-9d01-2e3f4a5b6c7d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d2e3f40-5a6b-47c8-9d01-2e3f4a5b6c7d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내소화전설비는 방수 압력 <span class='math-tex'>\\(\\ge 350{\\rm kPa}\\)</span>, 방수량 <span class='math-tex'>\\(\\ge 260\\ell/{\\rm min}\\)</span>이 기준입니다. 수평거리 40 m는 옥외소화전 기준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c3d4e5f6-7081-42ba-9345-6d7e8f90122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물이 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인 '활성화 에너지'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</p><p>① 물질이 연소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이다.</p><p>② 물질이 연소할 때 방출하는 총 열량이다.</p><p>③ 물질이 열을 전달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값이다.</p><p>④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려는 경향성을 나타내는 값이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2e3f4051-6a7b-48c9-ad12-3f4a5b6c7d8e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e3f4051-6a7b-48c9-ad12-3f4a5b6c7d8e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활성화 에너지는 연소 반응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에너지입니다. 작을수록 점화가 쉽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d4e5f607-8192-43cb-a456-7e8f9012233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의 능력 단위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소화 전용 물통 <span class='math-tex'>\\(8\\ell\\)</span> : 0.3 단위</p><p>② 수조 (소화 전용 물통 3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80\\ell\\)</span> : 1.5 단위</p><p>③ 마른 모래 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ell\\)</span> : 1.0 단위</p><p>④ 팽창질석 (삽 1개 포함)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 : 1.0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f405162-7b8c-49da-be23-4a5b6c7d8e9f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f405162-7b8c-49da-be23-4a5b6c7d8e9f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마른 모래 50ℓ(삽 1개 포함)는 0.5 단위가 맞습니다. 나머지 수치는 표준 기준과 일치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e5f60718-9234-44dc-b567-8f901223344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화재 발생 시 소화 방법의 원리가 나머지 셋과 <u>다른</u> 하나는?</p><p>① 연소 중인 가연물을 불연성 포(거품)로 덮는다.</p><p>②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산소 농도를 15% 이하로 낮춘다.</p><p>③ 마른 모래를 사용하여 금속 화재를 덮는다.</p><p>④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연쇄반응을 차단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40516273-8c9d-4aeb-cf34-5b6c7d8e9f0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0516273-8c9d-4aeb-cf34-5b6c7d8e9f0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①②③은 산소 차단·희석에 의한 질식소화입니다. ④는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부촉매(억제) 소화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f6071829-2345-45ed-c678-90122334455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건축물의 화재 시 성장기에서 최성기로 진행될 때, 실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화염이 실내 전체로 확대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?</p><p>① 플래시오버 (Flashover)</p><p>② 백드래프트 (Backdraft)</p><p>③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④ 롤오버 (Rollover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51627384-9d0e-4bfc-d045-6c7d8e9f010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1627384-9d0e-4bfc-d045-6c7d8e9f010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플래시오버는 실내 가연성 가스가 일시에 발화하여 전실화재로 전이되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7182923-4567-460e-d789-01223344556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전기설비(전기 배선, 조명기구 제외)가 설치된 장소에는 해당 장소 면적 얼마마다 소형 수동식 소화기를 1개 이상 설치해야 하는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^2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75{\\rm m}^2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62738495-0e1f-471d-e156-7d8e9f01022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2738495-0e1f-471d-e156-7d8e9f01022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전기설비가 설치된 장소에는 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마다 소형 수동식 소화기 1개 이상을 설치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18292345-6789-471f-e890-12233445567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예방규정을 정하여 시·도지사(소방서장)에게 제출해야 하는 대상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10배 이상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</p><p>②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저장소</p><p>③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</p><p>④ 지정수량의 10배 이상 위험물을 저장하는 지하탱크저장소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73849506-1f20-482e-f267-8e9f01022334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3849506-1f20-482e-f267-8e9f01022334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예방규정 대상에는 제조소(10배 이상), 옥외저장소(100배 이상), 옥내저장소(150배 이상) 등이 포함됩니다. 지하탱크저장소는 예방규정이 아니라 정기점검 대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9234567-89ab-4821-f901-23344556678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실시해야 하는 정기점검의 횟수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월 1회 이상</p><p>② 분기별 1회 이상</p><p>③ 반기별 1회 이상</p><p>④ 연 1회 이상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84950617-2031-493f-0a78-9f010223345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4950617-2031-493f-0a78-9f010223345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기점검은 연 1회 이상 실시해야 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3456789a-bcde-4932-0a12-3445566789a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 중 '물분무등소화설비'에 해당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포소화설비</p><p>② 이산화탄소소화설비</p><p>③ 옥내소화전설비</p><p>④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95061720-3142-4a40-1b89-01022334566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5061720-3142-4a40-1b89-01022334566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분무등소화설비에는 포, 이산화탄소, 할로겐화합물, 분말 등이 포함되며 옥내소화전설비는 별도 분류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456789ab-cdef-4a43-1b23-45566789ab0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정기점검을 실시해야 하는 대상에 해당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 150배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</p><p>② 지하탱크저장소</p><p>③ 이동탱크저장소</p><p>④ 지정수량 100배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06172031-4253-4b51-2c9a-02233456677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6172031-4253-4b51-2c9a-02233456677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기점검 대상에는 옥내저장소(150배 이상), 지하탱크저장소, 이동탱크저장소 등이 포함됩니다. 옥외탱크저장소는 200배 이상일 때 예방규정 대상이 되어 정기점검 대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56789abc-def0-4b54-2c34-566789ab012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질의 화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유기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탄소를 함유하고 불에 타기 쉬우며, 무기화합물은 불에 타기 어려운 것이 많다.</p><p>② 산화반응은 어떤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거나 수소를 잃는 반응을 말한다.</p><p>③ 환원반응은 어떤 물질이 산소를 잃거나 수소와 결합하는 반응을 말한다.</p><p>④ 촉매는 화학반응 시 자신은 소모되면서 반응 속도를 조절하는 물질이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7203142-5364-4c62-3dab-233456677889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7203142-5364-4c62-3dab-233456677889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촉매는 반응 속도를 변화시키지만 반응 전후에 소모되지 않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6789abcd-ef01-4c65-3d45-6789ab01234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압축열, 마찰열, 유도열 등은 점화원의 종류 중 어디에 속하는가?</p><p>① 화학적 에너지</p><p>② 전기적 에너지</p><p>③ 기계적 에너지</p><p>④ 원자력 에너지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20314253-6475-4d73-4ecb-3456677889ab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0314253-6475-4d73-4ecb-3456677889ab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압축열·마찰열·유도열은 기계적 에너지에 의한 점화원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789abcde-f012-4d76-4e56-89ab0123456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화재 시 다량의 물을 사용하여 냉각소화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위험물은?</p><p>① 제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</p><p>② 제2류 위험물 중 마그네슘</p><p>③ 제3류 위험물 중 칼륨</p><p>④ 제5류 위험물 중 유기과산화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1425364-7586-4e84-5fdc-45667889ab0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1425364-7586-4e84-5fdc-45667889ab0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은 질식소화가 어렵기 때문에 대량의 물로 냉각소화하는 것이 적합합니다. ①~③은 금수성 특성이 있어 주수소화가 부적합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89abcdef-0123-4e87-5067-ab012345678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C급 화재에 해당하며, 소화 시 감전의 위험이 있어 물이나 포소화약제 사용에 제한이 있는 화재는?</p><p>① 일반화재</p><p>② 유류화재</p><p>③ 전기화재</p><p>④ 금속화재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42536475-8697-4f95-60ed-567889ab010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2536475-8697-4f95-60ed-567889ab010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C급은 전기화재로 감전 위험 때문에 물·포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9abcdef0-1234-4f98-6178-b0123456789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4류 위험물 화재 시 소화가 곤란한 현상 중, 탱크 저부에 물이 고여 있는 상태에서 중질유 화재가 장시간 지속될 때, 유류 표면의 열류층이 하강하여 저부의 물을 급격히 증발시켜 유류를 탱크 밖으로 분출시키는 현상은?</p><p>① 블레비 (BLEVE)</p><p>② 슬롭오버 (Slopover)</p><p>③ 프로스오버 (Frothover)</p><p>④ 보일오버 (Boilover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53647586-97a8-4096-71fe-6789ab01020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3647586-97a8-4096-71fe-6789ab01020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보일오버는 열류층이 저부 수층에 도달해 물이 급비등하며 연소 유류가 분출되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abcdef01-2345-4099-7289-c123456789a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소화설비 중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가 감지기에 의해 감지되어 작동하는 방식이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옥내소화전설비</p><p>② 이산화탄소소화설비 (전역방출방식)</p><p>③ 분말소화설비 (전역방출방식)</p><p>④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(전역방출방식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64758697-a809-41a7-82ef-789ab010203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4758697-a809-41a7-82ef-789ab010203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스계 전역방출 소화설비는 감지기와 연동되어 자동 작동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, 옥내소화전설비는 인력이 수동 조작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bcdef012-3456-41aa-839a-d23456789ab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환기설비의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환기는 자연 배기 방식으로 한다.</p><p>② 급기구는 바닥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마다 1개 이상, 크기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800{\\rm cm}^2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<p>③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하고 인화 방지망을 설치한다.</p><p>④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<span class='math-tex'>\\(2{\\rm m}\\)</span>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758697a8-091b-42b8-94f0-89ab01020314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58697a8-091b-42b8-94f0-89ab01020314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급기구는 낮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며, 높은 곳은 배출설비의 급기/배출과 관련된 기준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cdef0123-4567-42bb-94ab-e3456789abcd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연소의 3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?</p><p>가. 가연물: 산화되기 쉬운 물질로, 활성화 에너지가 작고 발열량이 커야 한다.</p><p>나. 산소 공급원: 산소, 제1류 위험물, 제6류 위험물 등이 해당된다.</p><p>다. 점화원: 정전기, 단열압축열, 산화열 등이 해당되며, 가연물에 활성화 에너지를 제공한다.</p><p>① 가</p><p>② 가, 나</p><p>③ 나, 다</p><p>④ 가, 나, 다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8697a809-1b2c-43c9-a5f1-9ab01020314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697a809-1b2c-43c9-a5f1-9ab01020314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물·산소공급원·점화원의 세 요소 설명이 모두 옳으므로 ④가 정답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def01234-5678-43cc-a5bc-f456789abcd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옥외소화전설비의 설치 개수가 6개일 때, 확보해야 할 최소 수원의 수량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27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54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81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08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97a8091b-2c3d-44da-b602-ab010203145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7a8091b-2c3d-44da-b602-ab010203145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수원은 설치 개수 중 최대 4개 × <span class='math-tex'>\\(13.5\\,\\,{\\rm m}^3\\)</span>로 산정하므로 <span class='math-tex'>\\(54.0\\,\\,{\\rm m}^3\\)</span>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ef012345-6789-44dd-b6cd-0456789abcdef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질의 폭발성, 반응성, 강산성 등은 위험성을 분류할 때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?</p><p>① 화학적 위험성</p><p>② 물리적 위험성</p><p>③ 생리적 위험성</p><p>④ 기계적 위험성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a8091b2c-3d4e-45eb-c713-b0102031456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8091b2c-3d4e-45eb-c713-b0102031456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폭발성·반응성·강산성 등은 화학적 위험성에 해당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01234567-89ab-45f0-c7de-156789abcdef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지정수량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등에 설치해야 하는 경보설비의 종류가 <u>아닌</u> 것은?</p><p>① 자동화재탐지설비</p><p>② 비상경보설비</p><p>③ 자동화재속보설비</p><p>④ 휴대용 확성기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091b2c3d-4e5f-460c-d824-c1020314567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91b2c3d-4e5f-460c-d824-c1020314567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기본 경보설비 범주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, 비상경보설비, 확성장치(휴대용 포함), 비상방송설비 등이 포함되고, 자동화재속보설비는 별도 요건에 해당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12345678-9abc-4603-d8ef-26789abcdef0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소화약제와 그 주된 소화 효과의 연결이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물 - 냉각 효과</p><p>② 포소화약제 - 질식 효과</p><p>③ 이산화탄소 - 억제 효과</p><p>④ 제3종 분말소화약제 - 질식 및 억제 효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b2c3d4e-5f60-4711-e935-d2031456789a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b2c3d4e-5f60-4711-e935-d2031456789a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이산화탄소의 주된 효과는 산소 농도 저하에 의한 질식 효과이며, 억제 효과는 분말 등이 대표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3456789-abcd-4714-e901-3789abcdef01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정기점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정기점검 대상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연 1회 이상 정기점검을 실시해야 한다.</p><p>② 정기점검은 반드시 탱크안전성능시험자에게 대행하게 하여야 한다.</p><p>③ 정기점검을 실시한 관계인은 점검 결과를 30일 이내에 시·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한다.</p><p>④ 이동탱크저장소는 정기점검 대상에 포함되지만, 지하탱크저장소는 제외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2c3d4e5f-6071-4822-fa46-e31456789ab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c3d4e5f-6071-4822-fa46-e31456789ab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기점검은 연 1회 이상 실시합니다. 다른 보기는 일부 조건 또는 과거 기준과 혼동된 내용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3456789a-bcde-4825-fa12-489abcdef012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질이 연소할 때 열과 빛을 발생하는 산화 반응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?</p><p>① 연소</p><p>② 폭발</p><p>③ 발화</p><p>④ 인화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d4e5f60-7182-4933-0b57-f4156789ab0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d4e5f60-7182-4933-0b57-f4156789ab0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연소는 산화 반응으로 열과 빛을 내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456789ab-cdef-4928-0b23-59abcdef01234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설비의 소요 단위를 산정할 때, 외벽이 내화구조인 제조소용 건축물의 기준 면적은?</p><p>①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<p>②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75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<p>③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<p>④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4e5f6071-8293-4a42-1c68-06156789ab0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e5f6071-8293-4a42-1c68-06156789ab0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/취급소의 외벽 내화 건축물은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당 1 소요 단위로 산정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56789abc-def0-4a2b-1c34-6abcdef01234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위치, 구조 또는 설비의 변경 없이 저장·취급하는 위험물의 품명, 수량 또는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하고자 할 때, 관계인이 시·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하는 시기는?</p><p>① 변경한 날부터 14일 이내</p><p>② 변경한 날부터 30일 이내</p><p>③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1일 전까지</p><p>④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7일 전까지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5f607182-93a4-4b53-2d79-1726789ab00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f607182-93a4-4b53-2d79-1726789ab00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치·구조·설비의 변경 없이 품명·수량·배수를 변경할 경우,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1일 전까지 신고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6789abcd-ef01-4b5c-2d45-7bcdef012345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의 지붕을 가벼운 불연 재료로 덮어야 하는 주된 이유는?</p><p>① 화재 시 열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</p><p>② 내부 폭발 시 압력을 위로 방출시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</p><p>③ 외부 화재로부터 열을 차단하기 위해</p><p>④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60718293-a4b5-4c64-3e8a-283789ab004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0718293-a4b5-4c64-3e8a-283789ab004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벼운 불연 지붕은 내부 폭발 시 상부로 압력을 방출시켜 수평 방향 피해와 구조체 손상을 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789abcde-f012-4c67-3e56-8cdef0123456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소화설비, 경보설비, 피난설비의 분류가 옳은 것은?</p><p>① 소화설비 : 옥내소화전설비, 연결송수관설비</p><p>② 경보설비 : 자동화재탐지설비, 비상조명등</p><p>③ 피난설비 : 유도등, 완강기</p><p>④ 소화활동설비 : 스프링클러설비, 제연설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718293a4-b5c6-4d75-4f9b-39456ab0056c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18293a4-b5c6-4d75-4f9b-39456ab0056c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유도등과 완강기는 피난구조설비에 해당합니다. 다른 보기들은 분류가 잘못 섞여 있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89abcdef-0123-4d78-4f67-9def01234567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의 정기점검 대상이 되는 '예방규정을 정해야 하는 제조소등'의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을 취급하는 제조소</p><p>②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을 저장하는 옥외저장소</p><p>③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</p><p>④ 지정수량의 200배 이상을 저장하는 지하탱크저장소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8293a4b5-c6d7-4e86-50ad-4a56ab0067de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293a4b5-c6d7-4e86-50ad-4a56ab0067de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200배 기준은 지하탱크저장소가 아니라 옥외탱크저장소에 해당합니다. 지하탱크저장소는 별도로 정기점검 대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9abcdef0-1234-4e89-5067-af0123456789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4류 위험물 화재 시 포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유면을 덮어 공기(산소)를 차단하는 소화 방법은?</p><p>① 냉각소화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제거소화</p><p>④ 억제소화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93a4b5c6-d7e8-4f8c-61be-5b6ac0078ef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3a4b5c6-d7e8-4f8c-61be-5b6ac0078ef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포는 유면을 덮어 산소 공급을 차단하므로 질식소화에 해당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abcdef01-2345-4f8f-6178-bc123456789ad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물이 연소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산소 농도를 의미하는 용어는?</p><p>① 연소 하한계</p><p>② 인화점</p><p>③ 최소점화에너지 (MIE)</p><p>④ 한계산소지수 (LOI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a4b5c6d7-e8f9-4001-728f-6c7ad0890ef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4b5c6d7-e8f9-4001-728f-6c7ad0890ef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LOI(한계산소지수)는 연소 지속에 필요한 최소 산소 농도를 의미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bcdef012-3456-4012-7289-cd23456789ab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선임하거나 해임한 경우, 며칠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해야 하는가?</p><p>① 7일</p><p>② 14일</p><p>③ 30일</p><p>④ 60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b5c6d7e8-f901-4123-8390-7d8ae0910ff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5c6d7e8-f901-4123-8390-7d8ae0910ff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안전관리자 선임 또는 해임 시 14일 이내 신고가 원칙입니다.</p>"
}
}
],
"contents": [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,
"units": [
{
"id": "6a27064a-1666-4d91-98d3-fd8a1a7ca87a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29234567-89ab-4821-f901-233445566789",
"56789abc-def0-4a2b-1c34-6abcdef012345",
"6789abcd-ef01-4b5c-2d45-7bcdef0123456",
"89abcdef-0123-4d78-4f67-9def012345678",
"bcdef012-3456-41aa-839a-d23456789abc",
"ef012345-6789-44dd-b6cd-0456789abcdef",
"456789ab-cdef-4928-0b23-59abcdef01234",
"3456789a-bcde-4825-fa12-489abcdef0123",
"18292345-6789-471f-e890-122334455678",
"56789abc-def0-4b54-2c34-566789ab0123",
"9abcdef0-1234-4e89-5067-af0123456789b",
"bcdef012-3456-4012-7289-cd23456789abe",
"07182923-4567-460e-d789-012233445567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,
"units": [
{
"id": "28bc3579-60a1-4cdc-bab0-9de4e00d297e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f7d0b3c4-6e2a-4f2b-8c8a-0a92d5c4e9a1",
"c3d4e5f6-7081-42ba-9345-6d7e8f901223",
"e5f60718-9234-44dc-b567-8f9012233445",
"f6071829-2345-45ed-c678-901223344556",
"6789abcd-ef01-4c65-3d45-6789ab012345",
"89abcdef-0123-4e87-5067-ab0123456789",
"9abcdef0-1234-4f98-6178-b0123456789a",
"abcdef01-2345-4099-7289-c123456789ab",
"cdef0123-4567-42bb-94ab-e3456789abcd",
"abcdef01-2345-4f8f-6178-bc123456789ad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,
"units": [
{
"id": "315e0931-fd44-4f90-a5f9-42c3e7f5cfc2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a1b2c3d4-5e6f-47a8-9123-4b5c6d7e8f91",
"b2c3d4e5-6f70-41a9-8234-5c6d7e8f9012",
"d4e5f607-8192-43cb-a456-7e8f90122334",
"bcdef012-3456-41aa-839a-d23456789abc",
"def01234-5678-43cc-a5bc-f456789abcde",
"12345678-9abc-4603-d8ef-26789abcdef01",
"3456789a-bcde-4932-0a12-3445566789ab",
"01234567-89ab-45f0-c7de-156789abcdef0",
"a1b2c3d4-5e6f-47a8-9123-4b5c6d7e8f91",
"e5f60718-9234-44dc-b567-8f9012233445",
"9abcdef0-1234-4f98-6178-b0123456789a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
]
}
Applied: 2025-11-05 16:12:10
Elements Added
68
Elements Updated
0
차시 목록 Affected
3
Summary: 68 elements added, 3 lessons affected
View Patch JSON
{
"elements": [
{
"_id": "a0f3b2c1-4d5e-6f70-8192-a3b4c5d6e7f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연소의 4요소에 포함되지만, 연소의 3요소에는 포함되지 <u>않는</u> 것은?</p><p>① 가연물</p><p>② 산소 공급원</p><p>③ 점화원</p><p>④ 연쇄반응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b1c2d3e4-f5a6-4b7c-98d0-1e2f3a4b5c6d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1c2d3e4-f5a6-4b7c-98d0-1e2f3a4b5c6d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연소의 3요소는 가연물, 산소 공급원, 점화원이며, 연소의 4요소는 여기에 화학적 연쇄반응을 더한 것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c2d3e4f5-a6b7-4c8d-90e1-2f3a4b5c6d7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산불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진행 방향의 나무를 미리 베어내는(벌목) 소화 방법은 다음 중 어느 원리에 해당하는가?</p><p>① 제거소화</p><p>② 질식소화</p><p>③ 냉각소화</p><p>④ 억제소화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d3e4f5a6-b7c8-4d9e-a001-2a3b4c5d6e7f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d3e4f5a6-b7c8-4d9e-a001-2a3b4c5d6e7f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거소화는 연소 반응에 관련된 가연물 자체나 주변의 가연물을 제거하여 연소를 중지시키는 방법입니다. 산불의 진행 방향 목재를 미리 제거하는 것은 전형적인 제거소화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e4f5a6b7-c8d9-4ea0-b112-3a4b5c6d7e8f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물의 증발잠열(기화잠열)이 크기 때문이다. 물의 증발잠열 값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1.0\\,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\\,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539\\,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670\\,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f5a6b7c8-d9e0-41a1-b223-4b5c6d7e8f9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f5a6b7c8-d9e0-41a1-b223-4b5c6d7e8f9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물은 비열과 증발잠열이 커서 냉각 효과가 우수합니다. 증발잠열은 약 <span class='math-tex'>\\(539\\,\\,{\\rm kcal}/{\\rm kg}\\)</span>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a1b2c3d-4e5f-4601-9203-a4b5c6d7e8f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나트륨(Na), 마그네슘(Mg)과 같은 금속 화재 시 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것이 위험한 주된 이유는?</p><p>① 물과 반응하여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②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(수소)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③ 물과 반응하여 다량의 산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</p><p>④ 물이 금속 표면에서 끓어넘쳐 화재를 확산시키기 때문에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b2c3d4e-5f60-4712-9304-b5c6d7e8f90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b2c3d4e-5f60-4712-9304-b5c6d7e8f90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나트륨, 마그네슘 등 가연성 금속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므로 화재가 확대될 수 있어 물 사용을 금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c3d4e5f-6071-4823-a415-c6d7e8f9012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에 적용되는 기본 안전거리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 (단, 방화상 유효한 담 또는 벽의 설치로 인한 거리 단축은 고려하지 않음)</p><p>①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건축물: <span class='math-tex'>\\(10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② 학교, 병원, 극장 등 다수인을 수용하는 시설: <span class='math-tex'>\\(30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③ 지정문화재: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④ 사용전압 <span class='math-tex'>\\(35,000{\\rm V}\\)</span> 초과 특고압가공전선: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 이상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4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d4e5f60-7182-4934-b526-d7e8f9012a3b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d4e5f60-7182-4934-b526-d7e8f9012a3b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사용전압 <span class='math-tex'>\\(35{,}000{\\rm V}\\)</span> 초과 특고압가공전선의 기본 안전거리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 이상입니다. 나머지 선택지는 기본 기준과 일치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4e5f6071-8293-4a45-b637-e8f9012a3b4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외벽이 <u>비내화구조</u>인 위험물 저장소용 건축물의 연면적이 <span class='math-tex'>\\(450{\\rm m}^2\\)</span>일 때, 건축물에 대한 소요 단위는?</p><p>① 3 단위</p><p>② 6 단위</p><p>③ 9 단위</p><p>④ 15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5f607182-93a4-4b56-c748-f9012a3b4c5d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f607182-93a4-4b56-c748-f9012a3b4c5d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저장소 건축물은 외벽 비내화 시 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75{\\rm m}^2\\)</span>당 1 단위입니다. <span class='math-tex'>\\(450/75=6\\)</span> 단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60718293-a4b5-4c67-d859-012a3b4c5d6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외벽이 내화구조인 옥내저장소(연면적 <span class='math-tex'>\\(300{\\rm m}^2\\)</span>)에 제2류 위험물인 유황(지정수량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kg}\\)</span>) <span class='math-tex'>\\(5{,}000{\\rm kg}\\)</span>을 저장할 때, 이 옥내저장소의 총 소요 단위는?</p><p>① 3 단위</p><p>② 5 단위</p><p>③ 7 단위</p><p>④ 52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718293a4-b5c6-4d78-e96a-12a3b4c5d6e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18293a4-b5c6-4d78-e96a-12a3b4c5d6e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건축물 소요단위: 내화 옥내저장소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당 1단위이므로 <span class='math-tex'>\\(300/150=2\\)</span> 단위. 위험물 소요단위: 유황은 지정수량의 10배가 1단위이므로 <span class='math-tex'>\\(5{,}000/(100\\times10)=5\\)</span> 단위. 합계 <span class='math-tex'>\\(2+5=7\\)</span> 단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8293a4b5-c6d7-4e89-f07a-23b4c5d6e7f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삽을 포함한 마른 모래의 능력 단위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ell\\)</span>당 0.5 단위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80\\ell\\)</span>당 1.0 단위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당 1.0 단위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90\\ell\\)</span>당 2.5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93a4b5c6-d7e8-4f90-a1ab-34c5d6e7f809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3a4b5c6-d7e8-4f90-a1ab-34c5d6e7f809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기타 소화설비 기준에서 삽 1개 포함 마른 모래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ell\\)</span>당 0.5 단위입니다. 팽창질석/팽창진주암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당 1.0 단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a3b4c5d6-e7f8-4091-a2bc-45d6e7f8091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지정수량의 25배를 저장하는 옥내저장소에 필요한 소화설비의 능력 단위는 총 3 단위이다. 이 장소에 삽을 포함한 팽창질석(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) 1포대를 비치했을 때, 추가로 확보해야 할 능력 단위는?</p><p>① 1.0 단위</p><p>② 1.5 단위</p><p>③ 2.0 단위</p><p>④ 2.5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b4c5d6e7-f809-41a2-b3cd-56e7f8091a2b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4c5d6e7-f809-41a2-b3cd-56e7f8091a2b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필요 능력 단위 3 중에서 팽창질석 <span class='math-tex'>\\(160\\ell\\)</span> 1포는 1.0 단위이므로 추가 확보분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.0-1.0=2.0\\)</span> 단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b5c6d7e8-f901-42a3-b4ce-67f8091a2b3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인화성 액체가 채워진 저장탱크 주위에 화재가 발생하여 탱크 벽면이 장시간 화염에 노출될 때, 탱크 내부의 비등 현상으로 인한 압력 상승으로 탱크가 파열되고 내부의 액체가 급격히 증발하며 폭발하는 현상은?</p><p>①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② 슬롭오버 (Slopover)</p><p>③ 블레비 (BLEVE)</p><p>④ 풀 파이어 (Pool Fire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c6d7e8f9-0123-43b4-c5df-78091a2b3c4d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c6d7e8f9-0123-43b4-c5df-78091a2b3c4d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BLEVE는 가열로 탱크 강도가 저하되고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탱크가 파열되며 액체가 순간 증발해 폭발하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c7d8e9f0-1234-44c5-d6e0-8091a2b3c4d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중질유 탱크 화재 시 소화용수나 포소화약제를 방사할 때, 유류의 뜨거운 액 표면에서 물이 급격히 비등하여 유류가 탱크 외부로 분출되는 현상은?</p><p>① 보일오버 (Boilover)</p><p>② 슬롭오버 (Slopover)</p><p>③ 블레비 (BLEVE)</p><p>④ 증기운 폭발 (UVCE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d8e9f012-3456-45d6-e7f1-091a2b3c4d5e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d8e9f012-3456-45d6-e7f1-091a2b3c4d5e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슬롭오버는 점성이 큰 중질유 화재에서 소화용수나 포가 유류의 뜨거운 표면에 유입되어 급비등하며 유류가 밖으로 분출되는 현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d9e0f123-4567-46e7-f802-91a2b3c4d5e6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위험물 제조소에서,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에 7개의 옥내소화전이 설치되어 있다. 이 제조소에 필요한 최소 수원의 수량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39.0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46.8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54.6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62.4\\,\\,{\\rm m}^3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e0f12345-6789-47f8-0913-a2b3c4d5e6f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e0f12345-6789-47f8-0913-a2b3c4d5e6f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수원의 수량은 그 층의 설치 개수 중 최대 5개에 대해 <span class='math-tex'>\\(7.8\\,\\,{\\rm m}^3\\)</span>씩 계산합니다. <span class='math-tex'>\\(5\\times7.8=39.0\\,\\,{\\rm m}^3\\)</span>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e1f23456-789a-4809-1a24-b3c4d5e6f70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외소화전설비의 설치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방호 대상물의 각 부분에서 호스 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가 <span class='math-tex'>\\(40{\\rm m}\\)</span>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.</p><p>② 옥외소화전의 설치 개수가 4개일 때, 수원의 수량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3.5{\\rm m}^3 \\times 4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<p>③ 옥외소화전 4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, 노즐 선단의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50{\\rm kPa}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④ 옥외소화전 4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260\\ell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f2345678-9abc-491a-2b35-c4d5e6f70819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f2345678-9abc-491a-2b35-c4d5e6f70819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외소화전 4개 동시 사용 시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350{\\rm kPa}\\)</span> 이상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450\\ell\\)</span> 이상이 기준입니다.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260\\ell\\)</span>는 옥내소화전 기준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f2a34567-8b9c-4a1b-2c36-d4e5f607182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폐쇄형 스프링클러 설비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헤드 30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, 각 선단의 방수 압력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kPa}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② 헤드 30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, 방수량은 1분당 <span class='math-tex'>\\(50\\ell\\)</span>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③ 수원의 수량은 설치된 헤드 개수에 <span class='math-tex'>\\(1.6{\\rm m}^3\\)</span>를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한다.</p><p>④ 방호 대상물의 각 부분에서 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2.5{\\rm m}\\)</span>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0ab1c2d3-e4f5-4b6c-7d80-91a2b3c4d5e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ab1c2d3-e4f5-4b6c-7d80-91a2b3c4d5e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폐쇄형 스프링클러는 기준 헤드 수(최대 30개) 동시 사용 시 각 선단 방수 압력 <span class='math-tex'>\\(\\ge 100{\\rm kPa}\\)</span>, 방수량 <span class='math-tex'>\\(\\ge 80\\ell/{\\rm min}\\)</span>, 수원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2.4{\\rm m}^3\\)</span>×기준 헤드 수 이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bb2c3d4-e5f6-4c7d-8e91-a2b3c4d5e6f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취급 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거리가 <u>먼</u> 것은?</p><p>① 공기를 이온화한다.</p><p>②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70\\%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<p>③ 설비에 접지를 한다.</p><p>④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<span class='math-tex'>\\(21\\%\\)</span> 이상으로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cc3d4e5-f607-4d8e-9a12-b3c4d5e6f70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cc3d4e5-f607-4d8e-9a12-b3c4d5e6f70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정전기 억제에는 접지, 습도 상승, 이온화가 효과적입니다. 산소 농도 조절은 정전기 제거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1cd3e4f5-6071-4d8e-9f23-b4c5d6e7f80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의 환기설비와 배출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환기설비는 자연 배기 방식, 배출설비는 강제 배기 방식이 원칙이다.</p><p>② 환기설비의 급기구는 낮은 곳에, 배출설비의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한다.</p><p>③ 환기설비의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<span class='math-tex'>\\(2{\\rm m}\\)</span> 이상 높이에 설치한다.</p><p>④ 배출설비의 배출 능력은 1시간당 배출 장소 용적의 10배 이상이어야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2de4f560-7182-4e9f-a034-c5d6e7f8091a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de4f560-7182-4e9f-a034-c5d6e7f8091a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배출설비의 능력은 국소 방식 기준 1시간당 장소 용적의 20배 이상입니다. 나머지 항목은 설치 원칙과 일치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2df4e560-7182-4a9b-a145-c6d7e8f9012b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성 증기가 체류할 우려가 있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 면적에 국소방식 배출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. 이 장소의 용적이 <span class='math-tex'>\\(400{\\rm m}^3\\)</span>일 때, 배출설비가 갖추어야 할 시간당 최소 배출 능력은?</p><p>① <span class='math-tex'>\\(4{,}000{\\rm m}^3/{\\rm hr}\\)</span></p><p>② <span class='math-tex'>\\(7{,}200{\\rm m}^3/{\\rm hr}\\)</span></p><p>③ <span class='math-tex'>\\(8{,}000{\\rm m}^3/{\\rm hr}\\)</span></p><p>④ <span class='math-tex'>\\(12{,}000{\\rm m}^3/{\\rm hr}\\)</span>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e05f671-8293-4bac-b256-d7e8f9012b3c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e05f671-8293-4bac-b256-d7e8f9012b3c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국소 방식의 배출설비는 1시간당 용적의 20배 이상 확보해야 하므로 <span class='math-tex'>\\(400\\times20=8{,}000{\\rm m}^3/{\\rm hr}\\)</span>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3e16f782-93a4-4cbd-c367-e8f9012a3b4d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포소화약제 중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여 유동성과 내유성이 좋아 유류 표면에 수성막을 형성함으로써 질식 소화하는 약제는?</p><p>① 단백포</p><p>② 불화단백포</p><p>③ 합성계면활성제포</p><p>④ 수성막포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4f27f893-a4b5-4dce-d478-f9012a3b4d5e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f27f893-a4b5-4dce-d478-f9012a3b4d5e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수성막포(AFFF)는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며 유류 표면에 수성막을 형성해 질식 소화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4f38f9a4-b5c6-4edf-e589-012a3b4c5d6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주된 소화 효과는?</p><p>① 질식 효과</p><p>② 제거 효과</p><p>③ 억제 효과</p><p>④ 유화 효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5a49fab5-c6d7-4f00-f69a-12a3b4c5d6e7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5a49fab5-c6d7-4f00-f69a-12a3b4c5d6e7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이산화탄소는 산소 농도를 낮춰 질식소화를 유도하며, 방출 시 기화열에 의한 냉각 효과도 있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5a5afb16-c7d8-4001-07ab-23b4c5d6e7f8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(Halon)의 주된 소화 효과는?</p><p>① 질식 효과</p><p>② 냉각 효과</p><p>③ 부촉매 (억제) 효과</p><p>④ 제거 효과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6b6b0c27-d8e9-4112-18bc-34c5d6e7f809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6b6b0c27-d8e9-4112-18bc-34c5d6e7f809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할론계 약제는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부촉매 작용이 주된 소화 원리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6b7c1d38-e9f0-4223-29cd-45d6e7f8091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인 제1인산암모늄이 열분해 시 생성되어 A급 화재(일반화재)에 대한 방진(방염) 효과 및 탈수탄화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은?</p><p>① 오르토인산 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H}_3{\\rm PO}_4\\)</span>)</p><p>② 메타인산 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HPO}_3\\)</span>)</p><p>③ 이산화탄소 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CO}_2\\)</span>)</p><p>④ 수산화나트륨 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NaOH}\\)</span>)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7c8d2e49-f001-4334-3ade-56e7f8091a2b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7c8d2e49-f001-4334-3ade-56e7f8091a2b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3종 분말(<span class='math-tex'>\\({\\rm NH}_4{\\rm H}_2{\\rm PO}_4\\)</span>)의 열분해 생성물 중 메타인산은 방진(방염) 작용을, 오르토인산은 탈수탄화효과를 제공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7c9e3f5a-0123-4445-4bef-67f8091a2b3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등에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지정수량의 5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등</p><p>②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등</p><p>③ 지정수량의 5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등</p><p>④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등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8d0f406b-1234-4556-5c00-80a91b2c3d4e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8d0f406b-1234-4556-5c00-80a91b2c3d4e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등(일부 제외)에 경보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.</p>"
}
},
{
"_id": "8d10517c-2345-4667-6d11-91ba2c3d4e5f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설정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 (단, 예외는 고려하지 않음)</p><p>①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걸치지 않도록 한다.</p><p>②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걸치지 않도록 한다.</p><p>③ 하나의 경계구역 면적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{,}000{\\rm m}^2\\)</span> 이하로 한다.</p><p>④ 하나의 경계구역의 한 변의 길이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\\)</span> 이하로 한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9e21628d-3456-4778-7e22-a2cb3d4e5f60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9e21628d-3456-4778-7e22-a2cb3d4e5f60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원칙적으로 하나의 경계구역 면적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600{\\rm m}^2\\)</span> 이하이며, 한 변의 길이는 <span class='math-tex'>\\(50{\\rm m}\\)</span> 이하입니다. 특정 조건에서만 <span class='math-tex'>\\(1{,}000{\\rm m}^2\\)</span>까지 허용됩니다.</p>"
}
},
{
"_id": "9e32739e-4567-4889-8f33-b3dc4e5f6071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주유취급소 건축물의 2층 이상을 점포나 휴게음식점 용도로 사용할 경우, 피난을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피난설비는?</p><p>① 완강기</p><p>② 피난사다리</p><p>③ 유도등</p><p>④ 공기호흡기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af4384af-5678-499a-9044-c4ed5f607182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af4384af-5678-499a-9044-c4ed5f607182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주유취급소 중 해당 용도의 2층 이상 부분과 옥내주유취급소에는 피난설비를 설치해야 하며, 출입구·통로·계단 등에 유도등을 갖춥니다.</p>"
}
},
{
"_id": "af5495b0-6789-49ab-9155-d5fe60718293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6류 위험물(산화성 액체) 화재 시 적응성이 <u>없는</u> 소화설비는?</p><p>① 옥내소화전설비</p><p>② 스프링클러 설비</p><p>③ 물분무소화설비</p><p>④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4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bf65a6c1-789a-4abc-a266-e60718293a4b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bf65a6c1-789a-4abc-a266-e60718293a4b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6류 위험물은 산소를 함유하거나 산소를 발생시켜 질식소화의 효과가 제한됩니다. 물 계열 설비는 냉각·희석으로 적응성이 있으나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는 적응성이 없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bf76b7d2-89ab-4bcd-b377-f718293a4b5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 물질(알칼리금속 등) 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는?</p><p>① 탄산수소염류 분말소화설비</p><p>② 인산염류 분말소화설비</p><p>③ 이산화탄소 소화설비</p><p>④ 물분무소화설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cf87c8e3-9abc-4cde-c488-081a2b3c4d5e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cf87c8e3-9abc-4cde-c488-081a2b3c4d5e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금수성 물질은 물과 반응하므로 주수는 금지이며, 이산화탄소와도 반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탄산수소염류 분말, 건조사, 팽창질석 등이 적응성 있습니다.</p>"
}
},
{
"_id": "cf98d9f4-abcd-4def-d599-192a3b4c5d6e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의하는 용어이다. ( ) 안에 알맞은 말은?</p><p>( )이라 함은 위험물을 제조할 목적으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허가를 받은 장소를 말한다.</p><p>① 제조소</p><p>② 저장소</p><p>③ 취급소</p><p>④ 제조소등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dfa9ea05-bcde-4ef0-e6aa-2a3b4c5d6e7f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dfa9ea05-bcde-4ef0-e6aa-2a3b4c5d6e7f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는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제조할 목적으로 취급하기 위해 허가를 받은 장소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dfbafb16-cdef-4001-f7bb-2b3c4d5e6f70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, 제조소등의 설치 허가 등에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을 무엇이라 하는가?</p><p>① 법정수량</p><p>② 지정수량</p><p>③ 허가수량</p><p>④ 취급수량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efcb0c27-def0-4112-08cc-3c4d5e6f708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efcb0c27-def0-4112-08cc-3c4d5e6f708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지정수량은 위험물의 종류별 위험성을 고려해 정한 수량으로, 설치 허가의 최저 기준이 됩니다.</p>"
}
},
{
"_id": "efdc1d38-ef01-4223-19dd-4d5e6f708192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5류 위험물(자기반응성 물질)의 화재 시 주수소화(물)는 가능하지만, 질식소화(이산화탄소, 할로겐화합물, 분말)가 효과적이지 <u>못한</u> 주된 이유는?</p><p>①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가 물에 잘 녹기 때문에</p><p>② 물질 자체가 다량의 산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</p><p>③ 물질이 물보다 가벼워 물로 덮을 수 없기 때문에</p><p>④ 연소 온도가 매우 낮아 질식 효과가 필요 없기 때문에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2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f0ed2e49-f012-4334-2aee-5e6f708192a3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f0ed2e49-f012-4334-2aee-5e6f708192a3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5류 위험물은 산소를 함유하여 외부 산소 차단의 효과가 작습니다. 따라서 질식소화보다 대량의 물에 의한 냉각이 주된 방법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f0fe2f5a-0123-4445-3bff-60718293a4b5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소화약제 중 제1종 분말소화약제(탄산수소나트륨)와 제3종 분말소화약제(인산암모늄)의 가장 큰 차이점은?</p><p>① 제1종은 B, C급 화재에, 제3종은 A, B,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.</p><p>② 제1종은 A, B, C급 화재에, 제3종은 B,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.</p><p>③ 제1종은 주된 소화 효과가 억제소화이고, 제3종은 냉각소화이다.</p><p>④ 제1종은 알칼리성이고, 제3종은 산성으로 금속에 부식성이 없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01ff305b-1234-4556-4c10-718293a4b5c6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01ff305b-1234-4556-4c10-718293a4b5c6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1·2·4종 분말은 B, C급에, 제3종 분말(인산암모늄)은 탈수탄화·방진 작용으로 A급까지 포함한 ABC급 적응성을 보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0101346c-2345-4667-5d21-8293a4b5c6d7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등의 옥외에 설치된 공작물(예: 증류탑)의 수평 최대 투영면적이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{\\rm m}^2\\)</span>이고 외벽이 내화구조로 간주될 때, 이 공작물에 대한 소요 단위는?</p><p>① 1 단위</p><p>② 1.5 단위</p><p>③ 2 단위</p><p>④ 3 단위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4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1202457d-3456-4778-6e32-93a4b5c6d7e8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1202457d-3456-4778-6e32-93a4b5c6d7e8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옥외 공작물은 외벽을 내화로 간주합니다. 제조소·취급소 기준은 <span class='math-tex'>\\(100{\\rm m}^2\\)</span>당 1단위이므로 <span class='math-tex'>\\(150/100=1.5\\)</span>이고, 소요 단위는 절상하여 2단위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1213568e-4567-4889-7f43-a4b5c6d7e8f9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의 보유 공지 기준으로 옳은 것은?</p><p>①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인 경우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②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인 경우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③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를 초과하는 경우 <span class='math-tex'>\\(10{\\rm m}\\)</span> 이상</p><p>④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를 초과하는 경우 <span class='math-tex'>\\(1{\\rm m}\\)</span> 이상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1",
"level": 2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2324679f-5678-499a-8054-b5c6d7e8f901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2324679f-5678-499a-8054-b5c6d7e8f901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의 보유 공지 너비는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이면 <span class='math-tex'>\\(3{\\rm m}\\)</span> 이상, 초과하면 <span class='math-tex'>\\(5{\\rm m}\\)</span> 이상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232578a0-5678-4aab-8165-b6d7e8f9012a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다음 중 연소의 3요소(가연물, 산소 공급원, 점화원)가 모두 갖추어진 조합은?</p><p>① 목재, 산소, 질소</p><p>② 휘발유, 이산화탄소, 성냥불</p><p>③ 마그네슘, 과염소산칼륨, 불꽃</p><p>④ 수소, 헬륨, 정전기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1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343689b1-6789-4bbc-9276-c7e8f9012a3b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343689b1-6789-4bbc-9276-c7e8f9012a3b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가연물(마그네슘), 산소 공급원(산화제: 과염소산칼륨), 점화원(불꽃)이 모두 갖추어진 조합입니다.</p>"
}
},
{
"_id": "34379ac2-6789-4bbc-a386-c8f9012a3b4c",
"_type": 1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위험물 제조소 건축물의 구조 기준으로 <u>틀린</u> 것은?</p><p>① 지하층이 없도록 해야 한다.</p><p>② 지붕은 가벼운 불연 재료로 덮어야 한다.</p><p>③ 출입구에는 자동 폐쇄식의 갑종 방화문을 설치해야 한다.</p><p>④ 액체 위험물 취급 바닥은 위험물이 스며들지 않는 재료로 하고 집유설비를 갖춘다.</p>",
"style": 1,
"cnum": 4,
"answer": "3",
"level": 3,
"kl": [],
"sol": 1,
"head": 0,
"sol_text": [
"4548abd3-789a-4ccd-b497-d9f012a3b4c5"
],
"head_text": []
}
},
{
"_id": "4548abd3-789a-4ccd-b497-d9f012a3b4c5",
"_type": 3,
"_json_data": {
"main": "<p>제조소는 지하층이 없어야 하며, 지붕은 가벼운 불연 재료, 액체 위험물 취급 바닥은 불침윤성과 집유설비가 필요합니다. 자동 폐쇄식 갑종 방화문은 ‘연소 우려 외벽’ 출입구에 한정되며 모든 출입구에 의무가 아닙니다.</p>"
}
}
],
"contents": [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,
"units": [
{
"id": "6a27064a-1666-4d91-98d3-fd8a1a7ca87a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2c3d4e5f-6071-4823-a415-c6d7e8f9012a",
"0bb2c3d4-e5f6-4c7d-8e91-a2b3c4d5e6f7",
"1cd3e4f5-6071-4d8e-9f23-b4c5d6e7f809",
"2df4e560-7182-4a9b-a145-c6d7e8f9012b",
"cf98d9f4-abcd-4def-d599-192a3b4c5d6e",
"dfbafb16-cdef-4001-f7bb-2b3c4d5e6f70",
"1213568e-4567-4889-7f43-a4b5c6d7e8f9",
"232578a0-5678-4aab-8165-b6d7e8f9012a",
"2324679f-5678-499a-8054-b5c6d7e8f901",
"34379ac2-6789-4bbc-a386-c8f9012a3b4c",
"0a1b2c3d-4e5f-4601-9203-a4b5c6d7e8f9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,
"units": [
{
"id": "28bc3579-60a1-4cdc-bab0-9de4e00d297e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
],
"ids": [
"a0f3b2c1-4d5e-6f70-8192-a3b4c5d6e7f0",
"c2d3e4f5-a6b7-4c8d-90e1-2f3a4b5c6d7e",
"b5c6d7e8-f901-42a3-b4ce-67f8091a2b3c",
"c7d8e9f0-1234-44c5-d6e0-8091a2b3c4d5"
],
"copy": [
0,
0,
0,
0
]
}
]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,
"units": [
{
"id": "315e0931-fd44-4f90-a5f9-42c3e7f5cfc2",
"_mode": "append",
"types": [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,
1
],
"ids": [
"e4f5a6b7-c8d9-4ea0-b112-3a4b5c6d7e8f",
"4e5f6071-8293-4a45-b637-e8f9012a3b4c",
"60718293-a4b5-4c67-d859-012a3b4c5d6e",
"8293a4b5-c6d7-4e89-f07a-23b4c5d6e7f8",
"a3b4c5d6-e7f8-4091-a2bc-45d6e7f8091a",
"d9e0f123-4567-46e7-f802-91a2b3c4d5e6",
"e1f23456-789a-4809-1a24-b3c4d5e6f708",
"f2a34567-8b9c-4a1b-2c36-d4e5f6071829",
"3e16f782-93a4-4cbd-c367-e8f9012a3b4d",
"4f38f9a4-b5c6-4edf-e589-012a3b4c5d6e",
"5a5afb16-c7d8-4001-07ab-23b4c5d6e7f8",
"6b7c1d38-e9f0-4223-29cd-45d6e7f8091a",
"7c9e3f5a-0123-4445-4bef-67f8091a2b3c",
"9e32739e-4567-4889-8f33-b3dc4e5f6071",
"af5495b0-6789-49ab-9155-d5fe60718293",
"bf76b7d2-89ab-4bcd-b377-f718293a4b5c",
"f0fe2f5a-0123-4445-3bff-60718293a4b5",
"0101346c-2345-4667-5d21-8293a4b5c6d7",
"b5c6d7e8-f901-42a3-b4ce-67f8091a2b3c"
],
"copy": [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,
0
]
}
]
}
]
}
View Snapshot Before
{
"__type": 2,
"__version": 2,
"course": {
"_id": "cc207fa8-ec63-4158-a940-82ea884bba6a",
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",
"_type": 2,
"_sub_type": 0,
"_cdate": "2025-11-05 06:23:27.776906+00:00",
"_udate": "2025-11-05 06:25:20.695110+00:00",
"_year": 2025,
"contents": [
{
"id": "cd8857d6-957f-4b7d-a377-d77cfdba5a69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,
"units": [
{
"id": "6a27064a-1666-4d91-98d3-fd8a1a7ca87a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,
"units": [
{
"id": "28bc3579-60a1-4cdc-bab0-9de4e00d297e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,
"units": [
{
"id": "315e0931-fd44-4f90-a5f9-42c3e7f5cfc2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c62ff678-c9dc-4329-bca2-2c67a576b1e7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f439f805-7c30-467d-846f-532e6fbff566",
"units": [
{
"id": "7ad978b7-31c5-492e-9b92-f704091edd72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70162ca8-25bd-4bfb-acfa-105b2d15c6c1",
"units": [
{
"id": "4488bca5-18a2-4e4e-9539-3eb860071167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5c9f0498-6a67-48e7-9237-9ce642b8156c",
"units": [
{
"id": "ea471a96-69b2-43ef-b0e9-23a66c75626d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83cdbca5-9bc8-4208-a9bb-54927b00e74e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3f02d849-1a4c-4b83-a972-e006de91f39d",
"units": [
{
"id": "e3718baf-f3b4-410f-b543-ac9edce47ce6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ac484452-1bc1-4b4f-b062-5e63fa863846",
"units": [
{
"id": "125c432b-9b15-4fd9-bd61-113ee07518ae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c7fd441a-30bd-4ba9-abb0-7368c7a34645",
"units": [
{
"id": "9ac0ea3d-a288-4aa8-b3f6-fae908f7372f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2c9e5616-e63e-4f88-98bd-34c94a449bf9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e2ab61b0-61b8-4a0c-889f-16fe8a7aa19c",
"units": [
{
"id": "c3da667b-99c7-4937-a089-191f8841858c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96384914-9e5d-4fd7-be66-e5ecc8dcfb55",
"units": [
{
"id": "5f38ab4e-a094-4bb3-90bc-be638341ab29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748d49c8-942c-41b2-80dd-0b6ec1d44fb8",
"units": [
{
"id": "429dca1a-dc0d-43f2-81d7-10fb0f0e7477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703c1aa3-b1b0-4d93-9ae2-91de8cfd7d2c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d64f32b1-18cd-44c1-a764-2014d752f1a1",
"units": [
{
"id": "4ebff6ae-6d77-4ca5-933b-9345cc6c015a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574a136d-6bcf-440d-af4c-f794861d44d5",
"units": [
{
"id": "7d75f4c9-9b7d-4d30-b823-13bbfcdc1728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e5e3a2a1-3be3-440f-9fb6-fb7c3a22f3af",
"units": [
{
"id": "1b8f60dc-f419-41d2-8332-42919dff7607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815a59e0-c5f2-4668-ac50-5dd9bb347bbb",
"units": [
{
"id": "de86b3ed-3460-48e3-b6a6-6ac702de4618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f01f0b46-60d2-44fa-a281-4a40f38be2d0",
"units": [
{
"id": "b099a3be-b947-4a14-b2ab-3e961e96fd4d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6a1c2354-369c-49db-99d5-60261362c40b",
"units": [
{
"id": "1a787a0e-f706-4004-a073-ab03a5bd1fe1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43657111-dbc8-4c4c-bd3b-626d5524172a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281f2d9a-1b8d-48f7-a013-307f4e8d320e",
"units": [
{
"id": "bfc903d9-b130-41ca-a95b-42c1196082e3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1a8636c9-bed6-4062-90a7-4f64cd93b737",
"units": [
{
"id": "6a8d49ce-2155-46a8-92fc-62eb56cf2357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d697c5a4-5a69-4ae5-bb82-8ed8952ba873",
"units": [
{
"id": "46b8bc1a-edb6-4ae2-b1d2-ab8db690a693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660d703b-c496-44a0-9246-729aea2aba2f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f264c2c0-c941-49f0-b674-bbd4e45f4819",
"units": [
{
"id": "4d2db000-e726-47db-892f-74c5c1d0e364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6c1a78fe-31ff-427c-b742-c7569b10a082",
"units": [
{
"id": "edebfb10-20e5-400b-8a1c-43de65c7f9a1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49c44c68-c63f-4be9-9f04-aaf1d105816a",
"units": [
{
"id": "edb97ddc-2ed1-4388-9468-83b01d70b7d9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e060b189-9d2d-4862-8a56-5a3f6bfa0ced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79c0770e-5c1a-4df0-909f-254f2bdc1d7e",
"units": [
{
"id": "881ff12d-b044-4f85-8c30-7e180590eee8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d550bc3a-0e9f-40f2-80df-c0d4946eca2c",
"units": [
{
"id": "8c8e92ed-d118-4e34-80ce-0fb88f7067c0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59dbe73b-3865-40dc-91b8-0e77961f9b8e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cdf13502-d113-4ba7-a364-ea1b7e7eac2d",
"units": [
{
"id": "343c97cd-4ced-4f3f-b24b-de232d1499e5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a0c09a5d-c5b4-4f21-8b9b-942bc629e292",
"units": [
{
"id": "67fec6c3-54b2-412a-a43c-d16a02a2b949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696e8483-5423-40dd-8248-a6993b5a027c",
"units": [
{
"id": "7f0c1a67-acf9-4043-b5d1-376b49974ae9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2522508f-e1ae-4ff2-9415-afda95b094a7",
"units": [
{
"id": "c49bb247-2ff7-4c09-a939-39949692e7a8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42a7795b-8b25-4434-89ce-fdf2a5a0ed9a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8e41eed9-8290-4e7d-a59d-cd46754950b3",
"units": [
{
"id": "96fff7b2-2053-48a1-8b9d-7dfe8dabe04f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8893f382-9a17-487d-8766-9ae65a14ccbe",
"units": [
{
"id": "3ef28895-fd75-410a-82e1-9643c3ea592a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8e8c113e-7034-410f-8fdf-589a86feaf1d",
"units": [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b7b99e56-31e0-49ea-aec4-8787e94f5b9d",
"units": [
{
"id": "ae9ec625-c1c3-4527-8dec-4fe85cac06a6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,
{
"id": "5aa6ba19-f1c7-4f0b-8f6a-7b790e32fe4d",
"units": [
{
"id": "c45e2ade-9cb0-4778-a1cd-a7e1915f811c",
"types": [],
"ids": [],
"copy": []
}
],
"heads": [],
"heads_copy": []
}
],
"kls": [],
"lists": [
{
"id": "cd8857d6-957f-4b7d-a377-d77cfdba5a69",
"type": 0,
"title": "1. 화재 및 소화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,
"type": 11,
"title": "1. 물질의 화학적 성질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6a27064a-1666-4d91-98d3-fd8a1a7ca87a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,
"type": 11,
"title": "2. 화재 및 소화이론의 이해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28bc3579-60a1-4cdc-bab0-9de4e00d297e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약제 및 소방시설의 기초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315e0931-fd44-4f90-a5f9-42c3e7f5cfc2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c62ff678-c9dc-4329-bca2-2c67a576b1e7",
"type": 0,
"title": "2. 제1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f439f805-7c30-467d-846f-532e6fbff566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1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7ad978b7-31c5-492e-9b92-f704091edd72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70162ca8-25bd-4bfb-acfa-105b2d15c6c1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1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4488bca5-18a2-4e4e-9539-3eb860071167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5c9f0498-6a67-48e7-9237-9ce642b8156c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1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ea471a96-69b2-43ef-b0e9-23a66c75626d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83cdbca5-9bc8-4208-a9bb-54927b00e74e",
"type": 0,
"title": "3. 제2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3f02d849-1a4c-4b83-a972-e006de91f39d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2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e3718baf-f3b4-410f-b543-ac9edce47ce6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ac484452-1bc1-4b4f-b062-5e63fa863846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2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125c432b-9b15-4fd9-bd61-113ee07518ae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c7fd441a-30bd-4ba9-abb0-7368c7a34645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2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9ac0ea3d-a288-4aa8-b3f6-fae908f7372f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2c9e5616-e63e-4f88-98bd-34c94a449bf9",
"type": 0,
"title": "4. 제3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e2ab61b0-61b8-4a0c-889f-16fe8a7aa19c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3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c3da667b-99c7-4937-a089-191f8841858c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96384914-9e5d-4fd7-be66-e5ecc8dcfb55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3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5f38ab4e-a094-4bb3-90bc-be638341ab29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748d49c8-942c-41b2-80dd-0b6ec1d44fb8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3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429dca1a-dc0d-43f2-81d7-10fb0f0e7477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703c1aa3-b1b0-4d93-9ae2-91de8cfd7d2c",
"type": 0,
"title": "5. 제4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d64f32b1-18cd-44c1-a764-2014d752f1a1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1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4ebff6ae-6d77-4ca5-933b-9345cc6c015a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574a136d-6bcf-440d-af4c-f794861d44d5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2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7d75f4c9-9b7d-4d30-b823-13bbfcdc1728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e5e3a2a1-3be3-440f-9fb6-fb7c3a22f3af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1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1b8f60dc-f419-41d2-8332-42919dff7607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815a59e0-c5f2-4668-ac50-5dd9bb347bbb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2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de86b3ed-3460-48e3-b6a6-6ac702de4618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f01f0b46-60d2-44fa-a281-4a40f38be2d0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1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b099a3be-b947-4a14-b2ab-3e961e96fd4d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6a1c2354-369c-49db-99d5-60261362c40b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2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1a787a0e-f706-4004-a073-ab03a5bd1fe1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43657111-dbc8-4c4c-bd3b-626d5524172a",
"type": 0,
"title": "6. 제5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281f2d9a-1b8d-48f7-a013-307f4e8d320e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5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bfc903d9-b130-41ca-a95b-42c1196082e3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1a8636c9-bed6-4062-90a7-4f64cd93b737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5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6a8d49ce-2155-46a8-92fc-62eb56cf2357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d697c5a4-5a69-4ae5-bb82-8ed8952ba873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5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46b8bc1a-edb6-4ae2-b1d2-ab8db690a693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660d703b-c496-44a0-9246-729aea2aba2f",
"type": 0,
"title": "7. 제6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f264c2c0-c941-49f0-b674-bbd4e45f4819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6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4d2db000-e726-47db-892f-74c5c1d0e364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6c1a78fe-31ff-427c-b742-c7569b10a082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6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edebfb10-20e5-400b-8a1c-43de65c7f9a1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49c44c68-c63f-4be9-9f04-aaf1d105816a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6류)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edb97ddc-2ed1-4388-9468-83b01d70b7d9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e060b189-9d2d-4862-8a56-5a3f6bfa0ced",
"type": 0,
"title": "8. 위험물 운송·운반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79c0770e-5c1a-4df0-909f-254f2bdc1d7e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 운송기준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881ff12d-b044-4f85-8c30-7e180590eee8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d550bc3a-0e9f-40f2-80df-c0d4946eca2c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 운반기준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8c8e92ed-d118-4e34-80ce-0fb88f7067c0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59dbe73b-3865-40dc-91b8-0e77961f9b8e",
"type": 0,
"title": "9. 위험물 제조소 등의 유지관리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cdf13502-d113-4ba7-a364-ea1b7e7eac2d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 제조소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343c97cd-4ced-4f3f-b24b-de232d1499e5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a0c09a5d-c5b4-4f21-8b9b-942bc629e292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 저장소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67fec6c3-54b2-412a-a43c-d16a02a2b949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696e8483-5423-40dd-8248-a6993b5a027c",
"type": 11,
"title": "3. 위험물 취급소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7f0c1a67-acf9-4043-b5d1-376b49974ae9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2522508f-e1ae-4ff2-9415-afda95b094a7",
"type": 11,
"title": "4.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점검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c49bb247-2ff7-4c09-a939-39949692e7a8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42a7795b-8b25-4434-89ce-fdf2a5a0ed9a",
"type": 0,
"title": "10. 위험물 저장·취급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8e41eed9-8290-4e7d-a59d-cd46754950b3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 저장 기준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96fff7b2-2053-48a1-8b9d-7dfe8dabe04f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8893f382-9a17-487d-8766-9ae65a14ccbe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 취급 기준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3ef28895-fd75-410a-82e1-9643c3ea592a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8e8c113e-7034-410f-8fdf-589a86feaf1d",
"type": 0,
"title": "11. 위험물안전관리 감독 및 행정처리",
"level": 1,
"units": []
},
{
"id": "b7b99e56-31e0-49ea-aec4-8787e94f5b9d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시설 유지관리감독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ae9ec625-c1c3-4527-8dec-4fe85cac06a6",
"types": []
}
]
},
{
"id": "5aa6ba19-f1c7-4f0b-8f6a-7b790e32fe4d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행정사항",
"level": 2,
"units": [
{
"id": "c45e2ade-9cb0-4778-a1cd-a7e1915f811c",
"types": []
}
]
}
]
},
"elements": []
}
Applied: 2025-11-05 15:25:21
Elements Added
0
Elements Updated
0
차시 목록 Affected
45
Summary: 45 lessons affected
View Patch JSON
{
"_id": "cc207fa8-ec63-4158-a940-82ea884bba6a",
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",
"_type": 2,
"_sub_type": 0,
"_cdate": "2025-11-05 06:23:27.776906+00:00",
"_udate": "2025-11-05 06:24:44.459663+00:00",
"_year": 2025,
"contents": [
{
"id": "cd8857d6-957f-4b7d-a377-d77cfdba5a69"
},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
},
{
"id": "c62ff678-c9dc-4329-bca2-2c67a576b1e7"
},
{
"id": "f439f805-7c30-467d-846f-532e6fbff566"
},
{
"id": "70162ca8-25bd-4bfb-acfa-105b2d15c6c1"
},
{
"id": "5c9f0498-6a67-48e7-9237-9ce642b8156c"
},
{
"id": "83cdbca5-9bc8-4208-a9bb-54927b00e74e"
},
{
"id": "3f02d849-1a4c-4b83-a972-e006de91f39d"
},
{
"id": "ac484452-1bc1-4b4f-b062-5e63fa863846"
},
{
"id": "c7fd441a-30bd-4ba9-abb0-7368c7a34645"
},
{
"id": "2c9e5616-e63e-4f88-98bd-34c94a449bf9"
},
{
"id": "e2ab61b0-61b8-4a0c-889f-16fe8a7aa19c"
},
{
"id": "96384914-9e5d-4fd7-be66-e5ecc8dcfb55"
},
{
"id": "748d49c8-942c-41b2-80dd-0b6ec1d44fb8"
},
{
"id": "703c1aa3-b1b0-4d93-9ae2-91de8cfd7d2c"
},
{
"id": "d64f32b1-18cd-44c1-a764-2014d752f1a1"
},
{
"id": "574a136d-6bcf-440d-af4c-f794861d44d5"
},
{
"id": "e5e3a2a1-3be3-440f-9fb6-fb7c3a22f3af"
},
{
"id": "815a59e0-c5f2-4668-ac50-5dd9bb347bbb"
},
{
"id": "f01f0b46-60d2-44fa-a281-4a40f38be2d0"
},
{
"id": "6a1c2354-369c-49db-99d5-60261362c40b"
},
{
"id": "43657111-dbc8-4c4c-bd3b-626d5524172a"
},
{
"id": "281f2d9a-1b8d-48f7-a013-307f4e8d320e"
},
{
"id": "1a8636c9-bed6-4062-90a7-4f64cd93b737"
},
{
"id": "d697c5a4-5a69-4ae5-bb82-8ed8952ba873"
},
{
"id": "660d703b-c496-44a0-9246-729aea2aba2f"
},
{
"id": "f264c2c0-c941-49f0-b674-bbd4e45f4819"
},
{
"id": "6c1a78fe-31ff-427c-b742-c7569b10a082"
},
{
"id": "49c44c68-c63f-4be9-9f04-aaf1d105816a"
},
{
"id": "e060b189-9d2d-4862-8a56-5a3f6bfa0ced"
},
{
"id": "79c0770e-5c1a-4df0-909f-254f2bdc1d7e"
},
{
"id": "d550bc3a-0e9f-40f2-80df-c0d4946eca2c"
},
{
"id": "59dbe73b-3865-40dc-91b8-0e77961f9b8e"
},
{
"id": "cdf13502-d113-4ba7-a364-ea1b7e7eac2d"
},
{
"id": "a0c09a5d-c5b4-4f21-8b9b-942bc629e292"
},
{
"id": "696e8483-5423-40dd-8248-a6993b5a027c"
},
{
"id": "2522508f-e1ae-4ff2-9415-afda95b094a7"
},
{
"id": "42a7795b-8b25-4434-89ce-fdf2a5a0ed9a"
},
{
"id": "8e41eed9-8290-4e7d-a59d-cd46754950b3"
},
{
"id": "8893f382-9a17-487d-8766-9ae65a14ccbe"
},
{
"id": "8e8c113e-7034-410f-8fdf-589a86feaf1d"
},
{
"id": "b7b99e56-31e0-49ea-aec4-8787e94f5b9d"
},
{
"id": "5aa6ba19-f1c7-4f0b-8f6a-7b790e32fe4d"
}
],
"kls": [],
"lists": [
{
"id": "cd8857d6-957f-4b7d-a377-d77cfdba5a69",
"type": 0,
"title": "1. 화재 및 소화",
"level": 1
},
{
"id": "278e8086-e4d5-46fe-a4f9-952a2cf0db3e",
"type": 11,
"title": "1. 물질의 화학적 성질",
"level": 2
},
{
"id": "08fe7b13-18fd-4192-8653-baa83d5f8a38",
"type": 11,
"title": "2. 화재 및 소화이론의 이해",
"level": 2
},
{
"id": "e7e8dc17-a4fa-467f-9a81-6034b7ac3181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약제 및 소방시설의 기초",
"level": 2
},
{
"id": "c62ff678-c9dc-4329-bca2-2c67a576b1e7",
"type": 0,
"title": "2. 제1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
},
{
"id": "f439f805-7c30-467d-846f-532e6fbff566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1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70162ca8-25bd-4bfb-acfa-105b2d15c6c1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1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5c9f0498-6a67-48e7-9237-9ce642b8156c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1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83cdbca5-9bc8-4208-a9bb-54927b00e74e",
"type": 0,
"title": "3. 제2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
},
{
"id": "3f02d849-1a4c-4b83-a972-e006de91f39d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2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ac484452-1bc1-4b4f-b062-5e63fa863846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2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c7fd441a-30bd-4ba9-abb0-7368c7a34645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2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2c9e5616-e63e-4f88-98bd-34c94a449bf9",
"type": 0,
"title": "4. 제3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
},
{
"id": "e2ab61b0-61b8-4a0c-889f-16fe8a7aa19c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3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96384914-9e5d-4fd7-be66-e5ecc8dcfb55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3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748d49c8-942c-41b2-80dd-0b6ec1d44fb8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3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703c1aa3-b1b0-4d93-9ae2-91de8cfd7d2c",
"type": 0,
"title": "5. 제4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
},
{
"id": "d64f32b1-18cd-44c1-a764-2014d752f1a1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1)",
"level": 2
},
{
"id": "574a136d-6bcf-440d-af4c-f794861d44d5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4류) (2)",
"level": 2
},
{
"id": "e5e3a2a1-3be3-440f-9fb6-fb7c3a22f3af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1)",
"level": 2
},
{
"id": "815a59e0-c5f2-4668-ac50-5dd9bb347bbb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4류) (2)",
"level": 2
},
{
"id": "f01f0b46-60d2-44fa-a281-4a40f38be2d0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1)",
"level": 2
},
{
"id": "6a1c2354-369c-49db-99d5-60261362c40b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4류) (2)",
"level": 2
},
{
"id": "43657111-dbc8-4c4c-bd3b-626d5524172a",
"type": 0,
"title": "6. 제5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
},
{
"id": "281f2d9a-1b8d-48f7-a013-307f4e8d320e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5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1a8636c9-bed6-4062-90a7-4f64cd93b737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5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d697c5a4-5a69-4ae5-bb82-8ed8952ba873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5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660d703b-c496-44a0-9246-729aea2aba2f",
"type": 0,
"title": "7. 제6류 위험물 취급",
"level": 1
},
{
"id": "f264c2c0-c941-49f0-b674-bbd4e45f4819",
"type": 11,
"title": "1. 성상 및 특성 (제 6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6c1a78fe-31ff-427c-b742-c7569b10a082",
"type": 11,
"title": "2. 저장 및 취급방법의 이해 (제 6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49c44c68-c63f-4be9-9f04-aaf1d105816a",
"type": 11,
"title": "3. 소화방법 (제 6류)",
"level": 2
},
{
"id": "e060b189-9d2d-4862-8a56-5a3f6bfa0ced",
"type": 0,
"title": "8. 위험물 운송·운반",
"level": 1
},
{
"id": "79c0770e-5c1a-4df0-909f-254f2bdc1d7e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 운송기준",
"level": 2
},
{
"id": "d550bc3a-0e9f-40f2-80df-c0d4946eca2c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 운반기준",
"level": 2
},
{
"id": "59dbe73b-3865-40dc-91b8-0e77961f9b8e",
"type": 0,
"title": "9. 위험물 제조소 등의 유지관리",
"level": 1
},
{
"id": "cdf13502-d113-4ba7-a364-ea1b7e7eac2d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 제조소",
"level": 2
},
{
"id": "a0c09a5d-c5b4-4f21-8b9b-942bc629e292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 저장소",
"level": 2
},
{
"id": "696e8483-5423-40dd-8248-a6993b5a027c",
"type": 11,
"title": "3. 위험물 취급소",
"level": 2
},
{
"id": "2522508f-e1ae-4ff2-9415-afda95b094a7",
"type": 11,
"title": "4.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점검",
"level": 2
},
{
"id": "42a7795b-8b25-4434-89ce-fdf2a5a0ed9a",
"type": 0,
"title": "10. 위험물 저장·취급",
"level": 1
},
{
"id": "8e41eed9-8290-4e7d-a59d-cd46754950b3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 저장 기준",
"level": 2
},
{
"id": "8893f382-9a17-487d-8766-9ae65a14ccbe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 취급 기준",
"level": 2
},
{
"id": "8e8c113e-7034-410f-8fdf-589a86feaf1d",
"type": 0,
"title": "11. 위험물안전관리 감독 및 행정처리",
"level": 1
},
{
"id": "b7b99e56-31e0-49ea-aec4-8787e94f5b9d",
"type": 11,
"title": "1. 위험물시설 유지관리감독",
"level": 2
},
{
"id": "5aa6ba19-f1c7-4f0b-8f6a-7b790e32fe4d",
"type": 11,
"title": "2.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행정사항",
"level": 2
}
],
"elements": []
}
View Snapshot Before
{
"__type": 2,
"__version": 2,
"course": {
"_id": "cc207fa8-ec63-4158-a940-82ea884bba6a",
"_title": "2026년 위험물기능사",
"_type": 2,
"_sub_type": 0,
"_cdate": "2025-11-05 06:23:27.776906+00:00",
"_udate": "2025-11-05 06:25:20.633185+00:00",
"_year": 2025,
"contents": [],
"kls": [],
"lists": []
},
"elements": []
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