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보기>에서 설명하는 중세 국어의 특징이 나타난 예로 알맞지않은 것은?
<보기>
중세 국어에는 ‘ㆁ(옛이응), ㆆ(여린히읗), ㅸ(순경음 비읍), ㅿ(반치음), ㆍ(아래아)’ 등과 같이 현대 국어에는 쓰이지 않는 글자들이 존재하였다.
① 나·랏:말ᄊᆞ·미
② :몯 ᄒᆞᇙ
③ :어엿·비너·겨
④ ᄆᆡᇰ·ᄀᆞ노·니
⑤ :수·ᄫᅵ
객관식: 2~5, 단답: 0, OX: 2
객관식: "1"~"5", OX: "1"=O/"2"=X
Total: 56 solutions
차시 스코프: b695f19c... (이 문항이 속한 차시에 등록된 head만 선택 가능)
💡 Head는 차시 스코프입니다. 문항은 자신이 속한 차시의 heads 목록에서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