③의 ‘:어엿·비너·겨’에는 글자의 왼쪽에 ‘방점’을 찍어 소리의 높낮이를 표기하는 성조가 나타나 있을 뿐 현대 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글자는 사용되지 않았다.
① ‘나·랏:말ᄊᆞ·미’의 ‘ᄊᆞ’에 ‘ㆍ(아래아)’가 사용되었다.
② ‘:몯 ᄒᆞᇙ’의 ‘ᄒᆞᇙ’에 ‘ㆍ(아래아)’와 ‘ㆆ(여린히읗)’이 사용되었다.
④ ‘ᄆᆡᇰ·ᄀᆞ노·니’의 ‘ᄆᆡᇰ’에 ‘ㆍ(아래아)’와 ‘ㆁ(옛이응)’이 사용되었다.
⑤ ‘:수·ᄫᅵ’의 ‘ᄫᅵ’에 ‘ㅸ(순경음 비읍)’이 사용되었다.
객관식: 2~5, 단답: 0, OX: 2
객관식: "1"~"5", OX: "1"=O/"2"=X
Total: 56 solutions
경고: 이 문항이 어느 차시 유닛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. Head 선택은 차시에 추가된 후 의미가 있습니다.
💡 Head는 차시 스코프입니다. 문항은 자신이 속한 차시의 heads 목록에서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