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보기>를 참고하여 ㉠~㉤을 분석한 내용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?
<보기>
중세 국어에는 현대 국어와 쓰임이나 형태가 다른 조사가 있었다. 현대 국어의 주격 조사에는 ‘이/가’가 있다. 그러나 중세 국어에서는 주격 조사로 ‘이/ㅣ/ø’가 쓰였다. 또한 현대 국어와 달리 중세 국어에는 관형격 조사로 ‘ㅅ’이 쓰이기도 하였는데, 이는 높임의 대상이 되는 명사나 높임의 의미가 없는 무정 명사 뒤에 쓰였다. 부사격 조사 ‘에’는 현대 국어의 ‘과/와’와 같이 비교를 나타내는 조사로 쓰이기도 하였다.
한편, 명사형 어미의 쓰임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현대 국어에서는 명사형 어미 ‘-(으)ㅁ/-기’를 쓰는 것과 달리, ‘·날·로·ᄡᅮ·메’에서와 같이 명사형 어미 ‘-옴/-움’이 주로 쓰였다.
① ㉠: 관형격 조사로 ‘ㅅ’이 쓰였다.
② ㉡: 비교를 나타내는 조사로 부사격 조사 ‘에’가 쓰였다.
③ ㉢: 주격 조사로 ‘ㅣ’가 쓰였다.
④ ㉣: 주격 조사로 ‘이’가 쓰였다.
⑤ ㉤: 명사형 어미로 ‘-움’이 쓰였다.
객관식: 2~5, 단답: 0, OX: 2
객관식: "1"~"5", OX: "1"=O/"2"=X
Total: 56 solutions
차시 스코프: b695f19c... (이 문항이 속한 차시에 등록된 head만 선택 가능)
💡 Head는 차시 스코프입니다. 문항은 자신이 속한 차시의 heads 목록에서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