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보기>의 밑줄 친 ‘서르’는 현대 국어와 형태만 다르고 의미는 같은 단어이다. 이와 같은 단어는 ③의 ‘ᄆᆞ·ᄎᆞᆷ:내’으로, 형태는 달라졌지만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에서 마찬가지로 그 의미(뜻)가 같다.
① ‘놈’은 중세 국어에서 ‘사람’이라는 의미로 쓰였지만 현대 국어에서는 ‘남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’로 쓰이고 있다. 즉, 지칭 대상이 줄어들어 의미가 축소된 단어이다.
② ‘젼·ᄎᆞ’는 ‘까닭’이라는 의미로 쓰였지만 현재는 사라진 단어이다.
④ ‘어린’은 중세 국어에서 ‘어리석은’이라는 의미로 쓰였지만 현대 국어에서는 ‘나이가 어린’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.
⑤ ‘어엿비’는 중세 국어에서 ‘불쌍히’, ‘가엽게’라는 의미로 쓰였지만 현대 국어에서는 ‘어여쁘다’, 즉 ‘예쁘다’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.
객관식: 2~5, 단답: 0, OX: 2
객관식: "1"~"5", OX: "1"=O/"2"=X
Total: 56 solutions
경고: 이 문항이 어느 차시 유닛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. Head 선택은 차시에 추가된 후 의미가 있습니다.
💡 Head는 차시 스코프입니다. 문항은 자신이 속한 차시의 heads 목록에서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