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담화 자료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?
① ‘나·랏:말ᄊᆞ·미’로 보아 관형격 조사 ‘ㅅ’이 쓰였음을 알 수 있다.
② ‘中듀ᇰ國·귁·에달·아’로 보아 부사격 조사 ‘에’가 비교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.
③ ‘니르·고·져·호ᇙ·배이·셔·도’로 보아 주격 조사 ‘ㅣ’가 쓰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.
④ ‘ᄆᆡᇰ·ᄀᆞ노·니’로 보아 어두 자음군을 확인할 수 있다.
⑤ ‘·날·로·ᄡᅮ·메’로 보아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.
객관식: 2~5, 단답: 0, OX: 2
객관식: "1"~"5", OX: "1"=O/"2"=X
Total: 56 solutions
차시 스코프: 0b974ad7... (이 문항이 속한 차시에 등록된 head만 선택 가능)
💡 Head는 차시 스코프입니다. 문항은 자신이 속한 차시의 heads 목록에서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.